• 제목/요약/키워드: Esophageal Perforation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7초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치험 1례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 - A Case Report -)

  • 류삼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12호
    • /
    • pp.1228-1231
    • /
    • 1991
  • One of the most lethal forms of mediastinitis is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 in which infection arising from the oropharynx spreads to the mediastinum. Despite the development of computed tomographic scanning to aid in the early diagnosis of mediastinitis, the past 30 years, in large part because of continued dependence on transcervical mediastinal drainage, Although transcervical drainage is usually effective in the treatment of acute mediastinitis due to a cervical esophageal perforation, these approach in the patient with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 fails to provide adequate drainage and pre-disposes to sepsis and a poor outcome. In addition to cervical drainage, aggressive, early mediastinal exploration - debridement and drainage through a subxiphoid incision or thoracotomy - is advocated to salvage the patient with descending necrotizing mediastinitis.

  • PDF

식도결장문합후 병발한 결장팽대부 확장증 -수술치험 1례- (Dilated Haustra of Colon after Esophagocolostomy -A Case Report-)

  • 이두연;백효채;배기만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69-671
    • /
    • 1996
  • 식도결장문합후 결장팽대부 확장은 매우 드문 부작용으로 천공의 위 험성이 높아서 매우 위험하다. 그 리하여 신속한 수술적 치료법이 요망된다. 기존의 수술방법에 의한 수술시야 확보 및 병변의 절제는 아 주 어렵다. 저자등은 내시경 자동봉합기(endo GIA)를 이용하여 결장팽대부 확장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제거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기 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치성감염후 발생한 급성 종격동염의 치험례 (ACUTE MEDIASTINITIS FROM ODONTOGENIC INFECTION : A CASE REPORT)

  • 장기영;신미정;김도균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7권3호
    • /
    • pp.296-301
    • /
    • 1995
  • Acute mediastinitis is almost always secondary to some other condition, and most cases are due to esophageal perforation. Although acute mediastinitis from odontogenic infection is extremely rare in the era of antibiotic drugs, some more fulminant odontogenic infections can produce complications including airway obstruction, necrotizing fascitis and extension of the infection to thorax. Irrespective of the changing incidence of etiologic factors, unless the pathophysiology of acute mediastinitis and its causes are understood and the conditions promptly recognized and properly treated, the result may be prolonged illness and even death. We experienced a case of odontogenic infection followed by acute mediastinitis and present review of literature.

  • PDF

1999년도 한국 신생아외과 현황 -대한소아외과학회 회원대상 전국조사(제 2 차)- (Current Status (1999) of Neonatal Surgery in Korea)

  • 김우기;김상윤;김신곤;김인구;김재천;김현학;박귀원;박우현;송영택;오수명;유수영;이두선;이명덕;이성철;이석구;서정민;정상영;정성은;정을삼;정풍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7권1호
    • /
    • pp.46-53
    • /
    • 2001
  •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neonatal surgery in Korea, a survey was made among the 36 member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ediatric Surgeons. The response rate was 75 % (26 surgeons in 20 hospitals). Five hundred fifty three neonatal surgical patients treated in 1999 were analyzed. Regional numbers of patie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egional population in most areas. Ano-rectal malformations (17 %), pyloric stenosis (16 %), Hirschsprung's disease (13 %), atresia/stenosis of the gut (11 %), esophageal atresia (8 %) were the most common anomalies treated. The majority of operations were done within the first week of life. Seventy one per cent of cases were major life threatening or so-called neonatal index cases. Over-all mortality was 8 per cent. Higher mortality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diaphragmatic hernia (26 %), gastro-intestinal perforation (18 %), NEC (18 %), and esophageal atresia(14 %). Higher mortality was observed in patients with extremely low birth weight (33%) and low birth weight (18 %). Associated anomalies were observed in 20 %. Prenatal ultrasound was performed in 36 per cent with sensitivity of 20 %. Result of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previous report (1994) and that of Japan (1998).

  • PDF

부식성 식도협착에 대한 식도재건술: 344 수술 (Reconstructive surgery for corrosive esophageal stricture)

  • 유회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6권4호
    • /
    • pp.584-593
    • /
    • 1983
  • Esophagea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344 patients with irreversible stricture of the esophagus resulting from caustic burns at National Medical Center from 1959 to 1982.There were 113 males and 231 females, and ranging from 2.5 to 58 years of age, and mean age was 26.5 years, and 25 cases were less than 10 years old. Caustic materials were 286 [83.2%] alkali and 50[14.5%] acid. The most frequent stricture site was upper thoracic esophagus as 56.7%, and the next was cervical as 31.4%, and lower, 11.9%. The stomach was involved in 10.8% totally, and hypopharyngeal stricture was also noticed in 3.2%, and in 3 cases, hypopharyngeal reconstruction was needed due to extensive scar change. In 329 of total 344 cases, colon interposition was performed without resection of the strictured esophagus except 4 cases which were complicated T-E fistula or perforation, and most of them, about 10-15 cm of terminal ileum with right half of the colon was used as the graft. The left colon with anti-peristalsis was used as graft only in 30 cases. The most common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anastomotic leak as 16.7% of total cases, and it was 12.5% from neck, 3.3% from ileocolostoma and 0.9% from cologastrostoma. Next common complication was neck stenosis [8.8%], aspiration pneumonia [6.4%], and graft necrosis [3.9%] in order. Overall operative mortality was 5.5% [14/329], and main causes of death were graft necrosis, sepsis due to anastomotic leak, gastric bleeding, and intestinal obstruction. Besides of colon interposition, according to shape or level of the stricture, plastic repair or segmental resection and direct anastomosis was done in 9, and 1 of them were complicated stenosis at the anastomotic site. In lower stricture, esophagogastrostomy was done in 10 cases, and 1 case expired due to hepatitis, and anastomotic stenosis was occurred in 2 cases at 1.5 months and 2.4 years later. During follow-up of 298 cases colon interposition from 6 months to 22 years, 82.6% was excellent, and 2.9% was complained of mild discomfort, and 4 cases were dead laterly, but 3 of them were not related to reconstruction.

  • PDF

전신 마취와 내시경적 상부위장관 종양절제술 (General Anesthesia and Endoscopic Upper Gastrointestinal Tumor Resection)

  • 김승현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1권3호
    • /
    • pp.125-129
    • /
    • 2023
  • Appropriate sedation and analgesia are crucial for successful endoscopic procedures, patient safety, and satisfaction. Endoscopic resection for upper gastrointestinal tumors requires a deep sedation level because the procedure is lengthy and induces moderate to severe pain. Continuous patient consciousness assessment and vigilant vital signs monitoring are required for deep sedation. General anesthesia may unintentionally occur even during deep sedation for endoscopic tumor resection, which may cause unexpected complications, especially in high-risk patients. Previous studies have revealed that general anesthesia increases the en bloc resection rate and decreases the procedure time. Complications, such as perforation, aspiration pneumonia, and cardiopulmonary instability, including hypoxemia, hypotension, and arrhythmia, occurre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sedation compared to those with general anesthesia. Therefore, general anesthesia demonstrated potential benefits in endoscopic treatment results and patient safety. General anesthesia should be considered a useful alternative for sedation in patients undergoing endoscopic gastrointestinal tumor resection. However, more high-quality prospective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general anesthesia in endoscopic upper gastrointestinal tumor resection because most studies comparing general anesthesia and sedation in these procedures have been retrospectively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inconsistent.

소아 부식식도염의 합병증 예측을 위한 조기 내시경 검사의 유용성 (Usefulness of early endoscopy for predicting the development of stricture after corrosive esophagitis in children)

  • 박지용;서정기;신지연;양혜란;고재성;김우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46-452
    • /
    • 2009
  • 목 적 : 소아 부식식도염 환자에서 후기 합병증 예측을 위한 조기내시경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빙초산과 가성소오다 등의 부식성물질 섭취 후 급성기에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과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내시경을 시행한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내시경 검사와 의무기록 조사 및 보호자 전화면담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다. 결 과 : 식도의 내시경 소견을 보면 grade 0, grade 1, grade 2a, grade 2b, grade 3인 경우가 각각 8명, 2명, 7명, 13명, 4명이었다. 구토, 침흘림, 삼킴곤란 등의 증상의 유무는 내시경상 식도 점막 손상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구강 손상의 유무는 내시경상 식도 점막 손상의 유무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4). 내시경 시행 후 점막째짐, 출혈, 천공 등의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협착은 12명(36.3%)의 환아에서 발생하였고, 식도의 협착은 11명, 유문부의 협착은 1명이었다. 식도 점막 손상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식도협착이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2). 식도협착이 있었던 11명 중 2명(18.1%)은 반복적인 식도확장술만으로 증상이 호전되었고, 나머지 7명(63.6 %)은 수술이 필요하였다. 결 론 : 부식성 물질을 실수로 섭취한 소아에서 내시경 검사는 안전하고 유용한 검사이며, 점막 손상의 정도와 부위를 확인함으로써 후기 합병증 발생 예측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조기에 식도내시경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소아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방법 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Endoscopic Removal Methods in 127 Cases of the Esophageal Foreign Bodies)

  • 김점수;양정수;정혜성;이민혜;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59-465
    • /
    • 2002
  • 목 적 :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의 최근 경향과 내시경적 적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소아에서 유연형 내시경을 통한 식도 이물 제거술이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1987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14년 6개월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와 이비인후과에서 식도 이물로 진단하여 유연형 내시경과 강직형 내시경으로 치료하였던 1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는 소아과에서 Olympus사의 XP-20, XQ-240과 Pentax사의 2731와 다양한 보조 기구를 사용하고 전신마취나 midazolam이나 diazepam 등의 약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결 과 : 1) 연도별 분포 : 1998년까지는 이물의 제거에 강직형 내시경이나 유연형 내시경이 비슷하게 이용되어 왔다. 1999년 이후부터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2) 연령별, 성별 분포 :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4례(6%)였고, 1-5세의 경우 43례(65.1%), 5-10세의 경우 17례(25.7%), 10-15세의 경우 2례(3.2 %)로 총 66례였다.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8례(13.5%), 1-5세는 42례(68.8%), 5-10세는 7례(11.5%), 10-15세는 4례(6.6%)로 총 61례였다. 두 경우 모두 1-5세가 호발 연령이었다. 남녀 비를 보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 1.64 : 1이었고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에는 1.13:1로 남아에서 다소 많았다. 3) 이물의 종류, 증상, 제거까지 걸린 시간 및 합병증 : 이물의 종류로는 유연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는 54례, 강직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 42례로 동전이 제일 많았고 임상 증상은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무증상이, 강직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연하 곤란이 제일 많았다. 식도 이물을 제거까지 걸린 시간은 대부분 이물을 삼킨 후 24시간 이내였다(108례, 85%). 24시간 이후에 이물을 제거 한 경우는 병원에 늦게 온 경우이며 17례(5%)였다. 이중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11례로 미란이 7례, 궤양소견을 보인 1례, 출혈 2례, 천공 소견을 보인 1례가 있었다. 4) 동반 질환 : 동반된 질환아 있었던 8례(7.5%)였으며 식도 협착이 5례, 뇌성 마비가 3례였다. 결 론 : 본 병원에 소아 내시경실이 생긴 이후 과거 10년 동안 소아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뚜렷한 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던 강직형 내시경을 이용한 이물의 제거가 최근 2-3년 전까지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연형 내시경은 전신 마취의 불편함 없이도 쉽게 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최근 2-3년 간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식도 이물의 제거가 빈번해졌다. 앞으로도 내시경의 발달과 그 보조 기구의 발달로 인하여 전신 마취 없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이물의 제거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처음에 시도하는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폐이식 후 발생한 소화기계 합병증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after Lung Transplantation)

  • 함석진;백효채;김지현;이두연;김창완;김정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3호
    • /
    • pp.280-284
    • /
    • 2010
  • 배경: 폐 이식 수술 후 관리가 급속하게 발전함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소화기계 합병증은 여전히 중요한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저자들은 폐 이식 후 발생한 소화기계 합병증과 그의 치료법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7월부터 2009년 3월까지 23명의 환자에서 시행한 25예의 폐 또는 심폐이식에 대한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소화기계 합병증은 폐 이식 후 발생한 소화기계 질환으로 정의 하였다. 30일내 사망한 8명의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은 중앙값 6.9개월(범위: 2개월 부터 111개월)로 수술 사망을 제외한 17예 중 11예(64.7%)에서 23회의 소화기계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만성 위염이 17예 중 4예(23.5%)에서 발생하여 가장 많았고, 2주 이상의 심한 설사가 3예에서 발생하였다. 3예에서 위궤양이 있었고 이중 1명의 환자는 궤양으로 인한 위천공으로 위 봉합술을 시행 받았다. 또한, 이 환자는 복부 수술 후 2개월 만에 궤양이 재발하여 위 출혈이 발생하였다. Cytomegalovirus에 의한 위염과 식도염이 각각 2예와 1예 있으며 식도 궤양은 2예 있었다. 식도 협착은 2예가 있었는데 스텐트를 삽입하여 치료하였다. 그밖에 장폐쇄, 황달을 동반한 담석, 위막성 대장염(pseudomembranous colitis), 내시경하 점막 절제술로 치료한 조기 위암이 각각 1예씩 있었다. 결론: 폐 이식 후 발생하는 소화기계 합병증은 발병률이 비교적 높은 편이며 폐 이식 후 환자의 영양 상태를 악화시켜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식도 절제술 및 위-식도문합술 후 만기 합병증으로 발생한 위-심막루 (Gastropericardial Fistula as a Late Complication after Esophagectomy with Esophagogastrostomy, A Case report)

  • 김태균;강정호;정원상;김영학;김혁;지행옥;이철범;함시영;전석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248-250
    • /
    • 2002
  • 환자는 56세 남자로 과거력상 15년 전 식도암으로 본원에서 식도 절제술 및 위- 식도 문합술 후 방사선 치료받았던 환자이며 그동안 특별한 치료없이 지내오다 최근 발생한 발열 및 오한, 마른 기침, 호흡곤란, 흉통을 주소로 본원 응급실을 방문 하였다. 응급처치 후 시행한 심초음파상 소량의 심낭삼출 및 심낭기종이 관찰되었으며 상부 위장관 조영술로 위-심막루가 확진 되어 응급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술 후 7일째 사망하였다. 식도절제술 및 위-식도문합술 후 양성 궤양으로 인한 위-심막루는 매우 드문 합병증으로 치명적 결과를 낳았으며 흉부 방사선, 심전도, 심초음파, 환자의 증상을 종합, 상부 위장관 조영술을 통한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가 즉각적으로 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