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O114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Escherichia coli O114에 의한 용혈성 요독 증후군 2례 (Two cases of Hemolytic Uremic Syndrome Associated with Esecherichia coli O114)

  • 류수정;한혜원;유수진;이병선;이재규;김미나;김의종;박영서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1호
    • /
    • pp.102-108
    • /
    • 2002
  • 저자들은 stx2 유전자 양성인 E.coli O114 에 의한 용혈성 요독 증후군 2례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두 환자 모두 설사와 구토가 1-2일 지속된 후 급작스럽게 요량 감소와 빈혈, 혈소판감소증을 보였으며 10일 간의 복막 투석 치료를 받았으며 급성기에 혈압 증가와 함께 전신성 강직 간대성의 경련이 15-20분 간 있었다. 15여 일 경과 후 후유증 없이 회복되었다. 대변 배양액의 PCR에거 eae와 stx2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colony hybridization을 시행하여 O114 혈청형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는 E.coli O114에 의해 유발된 용혈성 요독 증후군의 첫 국내 보고이다.

  • PDF

활성탄에 침착시킨 $TiO_2$와 ZnO가 자외선에 의하여 활성화되었을때 Escherichia coli의 살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UV excited $TiO_{2}$ and ZnO coating on activated carbon for Escherichia coli)

  • 최명신;정문호;김영규
    • 환경위생공학
    • /
    • 제10권3호
    • /
    • pp.105-114
    • /
    • 1995
  • There has been increasing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not only removal of organic materials but also sterilization of microbial cell in the drinking water purification research, so there has been many researches on that area.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iO_{2}$ and ZnO coated on activated carbon on Escherichia coli. In this study, the sterilization power was analyzed by (1) variation of $TiO_{2}$ and ZnO concentration coated on activated carbon (2) variation of UV intensity. In addition, the kinetics between exposure time and sterilization velocity was viewed by the method of Chick.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urvival ratio of E. coli decreased as time goes on in application of $TiO_{2}$, ZnO and $TiO_{2}{\cdot}ZnO$. In $TiO_{2}$ and ZnO, the effect increased upto certain concentration, but decreased there-after. In $TiO_{2}{\cdot}ZnO$, the effect of sterilization was in similar way among 3 combinations. 2. Survival ratio of E. coli decreased proportionately to an increase of light intensity in ZnO and $TiO_{2}{\cdit}ZnO$. In $TiO_{2}$, the survival ratio differed over extent of irradiation but the difference over the light intensity was not significant. 3. When Chick's law of sterilization was applied, m values of three concentrations of $TiO_{2}$ were 1.57,0.98, 1.96 respectively. M values of three concentration of ZnO were 1.10, 1.18,0. 11 respectively and those of three combination of $TiO_{2}{\cdot}ZnO$ were 1.17, 1.24, 1.74 respectively.

  • PDF

도마의 재질별 식중독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Various Chopping Boards against Food-borne Bacteria)

  • 김지영;이형재;조정용;임현철;최경철;김두운;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14-120
    • /
    • 2012
  • 해마다 반복되는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한 접근 방법으로써 시판품의 다양한 도마(항균처리 plastic 재질 3종, 항균처리 않은 plastic재질 1종, 나무재질(홍송, 고무나무, 편백나무, 박달나무, 대나무)를 대상으로 세균성 식중독의 주요한 원인균인 Escherichia coli O157:H7, S. Typhimurium, V. vulnificus, V. cholerae, V. parahaemolyticus 및 S. aureus의 6종 미생물에 대하여 저지환 시험과 real-time PCR을 이용한 정량법을 이용하여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Plastic 재질의 도마들은 E. coli O157:H7, S. Typhimurium, S. aureus의 식중독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항균력이 표시된 도마와 표시되어있지 않은 도마들 간의 항균력 차이는 크지 않았다. 나무 재질의 도마는 V. vulnificus에 대해서 항균력을 나타내었고, 5종의 나무 재질의 도마들 중 대나무 도마는 E. coli O157:H7, S. Typhimurium, V. cholerae, V. vulnificus의 4종의 균에 대해 저지환 시험에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real-time PCR로 정량한 결과에서는 S. aureus에 대해 생육억제력을 나타내어 5종의 식중독균에 대하여 가장 광범위한 항균력을 보였다. 이는 대나무에 함유된 polyphenol과 organic acid 등의 작용으로 추측된다. 항균력이 있다고 표시된 도마에서도 시험 대상 균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항균력이 나타났으며, 재질별로 항균력에 차이가 나타났던 결과들로부터 도마에 대한 위생상의 지나친 신뢰는 큰 위험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조리의 최종관리자들에 의한 일상적인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분포 및 항생제 내성유형 (Serological Distribution and Properties of Antibiotic Resistance of Escherichia coli from Patients with Diarrhea)

  • 차인호;진성현;박은희;박성아;조현철;이영숙;정석훈;이영길;이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62-272
    • /
    • 2000
  • 설사환자에 대한 기초 역학자료의 일환으로 부산지역의 설사환자로부터 분리한 대장균의 혈청형 분 포와 항생제 내성유형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부산시 관내의 설사환자 1,239명의 분변으로부터 대장균을 분리한 결과 1,239명중 621명의 환자분변으로부터 721주의 대장균을 분리 동정 하였다. 2. 설사 환자의 월별 발생 분포는 8월에 131명으로 가장 높은 발생율을 나타낸 반면, 1월에 59 명으로 가장 낮은 발생율을 보였다. 그러나 1월에 발생한 설사환자를 제외하고는 계절에 크게 관계없이 연중 지속적으로 고른 발생 분포를 나타내었다. 연령별 발생분포는 1세 이하의 유아와 10세 이하의 어 린이가 633명으로 전체 설사환자의 50% 이상을 나타내었고, 50대의 경우 123명, 40대의 경우 114명, 60 대의 경우 99명, 30대의 경우 79명, 10대의 경우 74명, 20대의 경우 63명의 순으로 높은 발생율을 나타 내었으며 70세 이상의 노인들은 54명으로 가장 갖은 발생율을 보였다. 3. 혈청형별 분포는 혈청형 O44 가 121주(16.8%)로서 가장 높은 분포도를 나타내었으며, O153 (8.6%), O1(7.5%), 등에는 분리균 모두 내 성을 나타내었다. 공시약제에 대한 분리주의 내성유형은 14제 내성형(26.1%), 13제 내성형(22.3%), 12제 내성형(17.3%), 11제 내성형(14.8%), 10제 내성형(8.5%), 9제 내성형(6.0%) 등의 순으로 높은 분포를 보 였으며, 본 실험에 공시된 16종의 항생제에 대한 설사환자유래 대장균의 내성유형은 총 125종류로 분류 되었다. 특히 Am Cb Cl Co Cp Em Gm Mx Nb Pg St Tb Tc Tm 의 14제 내성형이 전체 분리균주의 24.3%로 가장 높은 내성유형을 나타내었다.

  • PDF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Staphylococcus aureus using duplex real-time PCR assay with melting curve analysis on fresh lettuce

  • Lee, Na-Ri;Kwon, Kyung-Yoon;Choi, Sung-Wook;Koo, Min-Seon;Chun, Hyang-Sook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4-11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신선편의 채소와 과일에서 주로 검출되는 대장균(E. coli Ol577:H7), 리스테리아(L. monocytogenes), 살모넬라(Salmonella, spp.), 형색포도상구균(S. aureus)을 검출하고 동정할 수 있는 real time PCR 방법을 melting curve 분석을 활용하여 single tube 반응으로 두 종의 식중독균을 동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장균의 ${\beta}$-glucuronidase (uidA), 황색포도상구균의 thermonuclease (nuc), 리스테리아의 hemolycin (hly), 살모넬라의 tetrahionate reductase (ttr) 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4종의 프라이머 세트에 대한 real-time PCR의 melting curve 분석을 통하여 황색포도상구균과 대장균 동시분석 시 $T_m$ 값이 $80.6{\pm}0.9^{\circ}C$$86.9{\pm}0.5^{\circ}C$, 리스테리아와 살모넬라 동시분석 시 Tm 값이 $80.4{\pm}0.6^{\circ}C$$88.1{\pm}0.11^{\circ}C$로 확인하였고, 그 결과 정제되어진 각 식중독균의 genomic DNA를 주형으로 한 duplex real-time PCR 방법이 uniplex real-time PCR 방법과 마찬가지로 10 genome equivalents 까지 검출할 수 있는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양배추에 네 종의 식중독균을 접종하고, 증균배양 없이 DNA를 추출하여 duplex real-time PCR 을 수행한 결과 모든 식종목균에서 $10^3$ CFU/g의 검출 한계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개발된 melting curve 분석을 이용한 duplex real-time PCR 방법은 식품안전 증진을 위한 시간, 노동력, 비용 절감에 있어서 유효한 방법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약용식물 추출물이 저온식품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 양의주;한정;이인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114
    • /
    • 1999
  • In order to study the natural preservation of food, sixteen kinds of medicinal plants were extracted by 80% methanol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investigated against various kinds of microorganisms. The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showed good eff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except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 Especially, the extracts of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virganrea shower goo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bacteria to the cooling preservation foods, and Artemisia annua was decreased of the TMA(Trimethylamine) test. the result thus indicate that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fischeri extract inhibitory effe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so that it may be potential as a natural preservatives.

  • PDF

애기달맞이꽃(Oenothera laciniata Hill)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 김지영;이정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5-259
    • /
    • 2007
  • The solvent extracts of Oenothera laciniata, which were extracted by using several solvents with different polarities, were prepared for utility as a natural preservative. The O. laciniata extract by 80% ethanol was sequentially fractionated with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and butanol.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cell growth inhibition were investigated on each strain with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O. laciniata extracts.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shown in ethanol, ethylacetate, and butanol fraction of O. laciniata. However n-hexane, dichloromethane and water fraction showed weak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tested microorganisms. Among the five fractions,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microorganisms tested, such as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 polyphenolic compounds widely occurring in the traditional medicine plants have been reported to possess high antibacterial activity. The polyphenolic compounds from ethanol, n-hexane, dichloromethane, ethylacetate, butanol, and water fraction were 63.96 mg/g, 8.49 mg/g, 28.11 mg/g, 172.64 mg/g, 114.56 mg/g, and 34.91 mg/g, respectively. There are some relationships between antibacterial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in natural plant. The ethylacetate fraction could b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a food preservative.

오이와 고추생산 환경에서의 GAP 모델 개발을 위한 위해요소 조사 (An Investigation of the Hazards Associated with Cucumber and Hot Pepper Cultivation Areas to Establish a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Model)

  • 심원보;이채원;정명진;김정숙;류재기;정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08-114
    • /
    • 2014
  • 오이와 고추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해요소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오이와 고추 재배지에서 총 72점의 시료를 채취하여 미생물학적(위생지표세균, 병원성미생물, 곰팡이) 위해요소와 화학적(중금속, 잔류농약) 위해요소를 조사하였다.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중 위생지표세균과 곰팡이는 오이 재배지에서 ND-7.2와 ND-4.8 log CFU/g (g, mL, hand, or $100cm^2$) 범위로 검출되었고, 고추 재배지에서는 ND-6.8와 0.4-5.3 log CFU/g (g, mL, hand, or $100cm^2$) 범위로 검출되었다. 특히 대장균군은 고추재배지의 토양에서 최대 5.6 log CFU/g까지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은 S. aureus는 오이 농장의 장갑에서만 1.4 log CFU/$100cm^2$으로 검출되었고, B. cereus는 대부분의 시료에서 ND-4.8 log CFU/g (g, mL, hand, or $100cm^2$) 범위로 검출되었다. L. monocytogenes, E. coli O157:H7 및 Salmonella spp.는 검출되지 않았다. 화학적 위해요소에 해당하는 중금속은 Zn, Cu, Ni, Pb 및 Hg이 국내 허용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잔류농약의 경우 오이에서는 모든 성분이 불검출 되었으나 고추에서 hexaconazole 성분이 0.016 mg/kg (기준치: 0.3 mg/kg)으로 검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