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0157:H7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수지상세포에 있어서 베로독소 수용체의 발현조절 (Regulation of Gb3 Expression on Dendritic Cells)

  • 임석환;김기영;김형천;김영희;손용해;오양효;박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82-492
    • /
    • 2007
  • Shiga-like toxin(SLT)을 생산하는 Esherichia coli에 의한 감염은 설사, 출혈성 대장염(hemorrhagic colitis) 및 용혈성 요독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5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SLT-I의 병인으로는 다양한 숙주 매개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E. coli 0157:H7(ATCC 43890)로 부터 정제한 SLT-I이 포유동물 세포들에 대한 세포독성과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SLT-I의 수용체인 glycolipid globotriaosylceramide(Gb3)의 발현과 SLT-I의 세포독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SLT-I 과 SLT-I B를 순수분리 정제하고 SLT-I B-FLTC 접합체를 제조하여 vero 세포,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를 대상으로 세포독성능을 측정하고 세포독성능의 차이가 SLT-I의 수용체인 Gb3의 발현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Flow cyotmetry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의 종양괴사인자 생산능은 ELISA법으로 시행하였다. SLT-I은 대식세포(Raw264.7)로부터 $TNF-{\alpha}$의 생산을 증가시켰다. 연구 대상 세포 중 SLT-I에 감수성을 나타낸 Vero 세포와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는 Gb3 발현이 각각 83%와 68%로 높았으며, 29%의 낮은 Gb3 발현을 보인 Raw264.7 세포는 감수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위의 결과로부터 SLT-I에 감수성을 보이지 않은 Raw264.7세포를 대상으로 Gb3 발현 정도와 SLT-I의 세포독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Gb3의 발현을 증가시킨 후 SLT-I의 세포독성을 재차 평가하였다. 이 결과 $TNF-{\alpha}$의 처리에 의하여 6 hrs에 Gb3의 발현이 정점(43.5%)에 이르렀으며 36 hrs에 정상 수준(25.0%)으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Gb3의 발현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SLT-I의 세포독성에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SLT-I에 의한 세포독성은 세포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며 또한, Gb3의 발현정도에만 의존적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E. coli 0157의 감염증 병인 연구에 있어 SLT-I과 Gb3의 발현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국내 액상 발효유용 유산균 스타터 미생물의 동정 및 생리적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Starters Isolated from the Commercial Drink-Yogurt Products)

  • 전상록;송태석;김지연;신원철;허송욱;윤성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09-516
    • /
    • 2007
  • Starters of lactic acid bacteria(LAB) were isolated from the commercial yoghurt products and the four isolates have been studied on their identification and som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For the purpose of identification, microscopic examination, API test, and 16s rRNA gene sequencing were conducted. Isolate A from a yogurt product of local dairy company A was shown to be Gram-positive rod-shaped bacterium. All strains isolated were turned out to be as Lactobacillus paracasei by using a API 50 CHL kit. In contrast, isolate A was identified as a strain of Lactobacillus helveticus based on the 16S rRNA sequencing data, and L. casei ssp. casei for both B and D and L. paracasei for C. All the isolates survived the simulated gastric juice, pH 2.0 within 3 hours and sharply decreased in viability so that no viable cell was observed after 4.5 hours incubation. In addition, the four isolated strains were almost identical in antibiotic susceptibility to six different kinds of antibiotics including erythromycin ($15\;{\mu}g$), ampicillin ($10\;{\mu}g$), gentamycin ($10\;{\mu}g$), neomycin ($30\;{\mu}g$), but rather resistant to colistin ($10\;{\mu}g$) and streptomycin ($10\;{\mu}g$). It was noteworthy that four isolates were confirmed to produce antibacterial substanc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of Gram-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Gram-negative Escherichia coli 0157:H7 as test organisms based on the inhibitory zones on an MRS soft agar medium. At presence, the inhibitory factor is unknown so that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ascertain the active factor responsible for the inhibitory activities.

도시텃밭과 옥상정원에서 재배되는 농산물의 생물학적 안전성 조사 (Monitoring of Biosafety of Agricultural Products from Urban Community Gardens and Roof Gardens in Korea)

  • 김진원;유용만;나원석;;최인욱;윤영남;이영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3호
    • /
    • pp.400-407
    • /
    • 2014
  • 도시농업은 정서적 안정뿐만 아니라 수확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곳으로, 생산되는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가 요구되나 이에 대한 자료가 없다. 본 과제에서는 2012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서울시내 도시텃밭 4곳과 옥상농원 6곳에서 채취한 배추 및 상추 260 표본을 대상으로 세균 및 기생충 오염수준을 정량적으로 혹은 정성적으로 평가하였다. 조사한 농산물에 부착되어 있는 총호기성균과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6.1{\pm}0.8log\;CFU{\cdot}g^{-1}$(범위, $5.4{\pm}0.6-7.1{\pm}0.8log\;CFU{\cdot}g^{-1}$) 및 $4.0{\pm}0.7lo\;CFU{\cdot}g^{-1}$(범위, $2.3{\pm}0.6-6.1{\pm}0.9log\;CFU{\cdot}g^{-1}$)이었다. 대장균군은 전체 표본의 59.6%에서 발견되었다. 농산물별로 분석 시 배추와 상추의 총호기성균 및 대장균군 오염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농산물 재배 장소별로 분석 시 옥상농원에 비하여 도시텃밭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다(p > 0.05). 대장균은 전체 야채의 3.1%에서 발견되었으며, 오염수준은 $1.5{\pm}0.2log\;CFU{\cdot}g^{-1}$이었다. 식중독 유발 세균 중 황색포도상구균은 조사한 농산물의 1.5%에서 검출되었으나, 그 외의 Salmonella spp., Listeria monocytogenes, E. coli 0157:H7은 모든 표본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2개의 배추 표본(전체 농산물의 0.8%)에서 미확인된 기생충란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서울시내 도시농업으로 생산되는 농산물에서 세균학적 오염이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재배 과정 중 생물학적 오염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