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ythrina caffr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열대 관상식물, Erythrina caffra와 Phytolacca dioica을 가해하는 점박이응애를 방제하기 위한 칠레이리응애의 적용 가능성 (A preliminary stud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in Erythrina caffra, Phytolacca dioica by Phytoseiulus persimilis Anthias-Henriot (Acarina: Tetranychidae, Phytoseiidae) in green house)

  • 함은혜;이준석;이봉우;안태현;최영철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55-158
    • /
    • 2014
  • 주로 식물원내 온실 환경에서 관리되는 열대 관상수 2종(Erythrina caffra와 Phytolacca dioica)에 발생한 점박이응애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서 칠레이리응애를 국부적으로 방사 처리하여 점박이응애의 밀도억제 효과를 검정하였다. 방제실험은 국립수목원내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내 온실에서 진행하였으며 대상 식물에 최초로 점박이응애의 발생이 확인된 후 바로 수목당 200개체의 칠레이리응애를 방사한 후 매 2주 간격으로 점박이응애의 엽당 밀도 변화를 기록, 관찰하였다. 조사결과 방사 후 2주차 조사 시 가장 높은 밀도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8주차 이후에는 대상 식물내에서 점박이응애를 확인할 수 없었다. 실험 시설의 특성상 대조구를 설치하지 못한 한계가 있었으나 방사 후 14일 내에 Erythrina caffra는 최초 조사 밀도 대비 10% 수준으로, Phytolacca dioica는 50%수준이하로 밀도를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국부적인 처리를 통한 식물원내 생물적방제 처리는 식물원내 국부적인 점박이응애의 방제에 있어서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Constituents of Erythrina caffra Stem Bark Grown in Egypt

  • El-Masry, Sawsan;Hammoda, Hala M.;Zaatout, Hala H.;Alqasoumi, Saleh I.;Abdel-Kader, Maged S.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11-216
    • /
    • 2010
  • A new 3-indolyl propionate alkaloid; (-) abrine (1), was isolated from the alcohol extract of Erythrina caffra stem bark together with the alkaloid (-) hypaphorine (2).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chloroform extract led to the isolation of one fatty alcohol; 1-octacosanol,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genus Erythrina, two dienoid alkaloids; erythraline and erysodine, and three isoflavonoids; 3S (+) 2'-O-methylphaseollidinisoflavan (3), (6aR, 11aR)- 3-hydroxy-10-dimethylallyl-9-methoxypterocarpan, known as sandwicensin (4) and 3R (-) rythbidin A (5). It is worth mentioning that this is the first report for the isolation of these isoflavonoids from E. caffra. The absolute configuration of 3S (+) 2'-O-methylphaseollidinisoflavan (3) was not previously reported. The isolated isoflavonoids showed promising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C-Flavonoidal Glycosides from Erythrina caffra Flowers

  • El-Masry, Sawsan;Hammoda, Hala M.;Radwan, Mohamed M.;Ross, Samir A.;Zaatout, Hala H.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217-222
    • /
    • 2010
  • A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ethanolic extract of Erythrina caffra flowers from an Egyptian origin yielded three C-flavonoidal glycosides; 5,7,4'-trihydroxyflavone-8-C-$\beta$-D-glucopyranoside (vitexin) (1), 5,7,4'-trihydroxyflavone-6-C-$\beta$-D-glucopyranosyl-(1 $\rightarrow$ 2)-$\beta$-D-glucopyranoside (isovitexin-2"-$\beta$-D-glucopyranoside) (2), 5, 7, 4'-trihydroxyflavone-6, 8-di-C-$\beta$-D-glucopyranoside (vicenin-2) (3) and one O-flavonoidal glycoside; kaempferol-3-O-$\beta$-D.glucopyranosyl) (1 $\rightarrow$ 2)-$\beta$-D-glucopyranoside (4). The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1 - 4) were elucidated using different spectral techniques (UV, 1D and 2D NMR and HRESIMS). This is the first report for the isolation of flavonoidal glycosides from Erythrina caffra. The antibacterial, antifungal, antimalarial, and antileishmanial activities of the isolates were evaluated. In addition, the cytotoxic activity of the ethanolic extract and the main fractions were tested using brine shrimp bioassay.

온실 내 천적을 통한 해충 관리연구 - Acalypha hispida 등 8종의 관상식물을 중심으로 (Methods for Pest Control of Tropical Plants in the Greenhouse: Application of Natural and Auxiliary Plants Mix)

  • 안태현;고여빈;배준규;이정호;이기철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9-49
    • /
    • 2019
  • 국립수목원은 열대유용식물의 BT산업 원천소재 확보 제공을 목적으로 열대자원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열대 및 아열대 전시원을 관리하고 있다. 온실의 특성상 일반 재배환경과는 다르게 여러 종류의 식물의 혼합 식재되어 있는 특성이 있어서 농업환경과 달리 해충의 급격한 돌발에 의한 온실 전체적인 피해의 위험성이 적은 반면에 안정된 환경으로 인해서 해충의 취약한 몇몇 수목의 경우 해충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 본 실험은 여러 종류의 식물이 혼재되어 있는 수목 온실 내에서 생물적 방제를 이용하여 주요 해충류인 진딧물류 및 가루 깍지벌레, 잎응애류 방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되었다. 진딧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열대식물 5종(Acalypha hispida, Justicia gendarussa, Hamelia patens, Ficus petersii, Hibiscus rosa-sinensis)을 중심으로 천적 방사 및 Banker plant 설치를 진행했다. 최초 조사일인 2015년 3월 10일, Tropical 1에 진딧물류의 발생이 많이 확인되어 포식성 천적인 미끌애꽃노린재를 투입했다. Tropical 2는 2015년 3월 17일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선발된 Banker plant를 적용하여 방제 되었다. 철모깍지벌레가 발견된 열대식물 3종(Sanchezia parvibracteata, Brillantaisia lamium, Pseuderanthemum atropurpureum)을 중심으로 적용 천적으로 어리줄풀잠자리, 애홍점박이 무당벌레와 깍지무당벌레를 선별했다. 천적을 대상으로 철모깍지벌레에 대한 포식능력을 조사했으며 애홍점박이 무당벌레가 어리줄풀잠자리 보다 2.8배, 깍지무당벌레보다 2.9배 포식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잎응애류가 발견된 열대식물 2종(Acalypha wilkesiana, Erythrina caffra)은 천적으로 사막이리응애와 칠레이리응애를 적용하였다. 괭이밥응애 성충과 알의 포식력을 검증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괭이밥응애를 먹이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괭이밥, 괭이밥응애, 사막이리응애를 효과적으로 조합한 응애류 방제를 위한 새로운 Banker plant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열대온실의 열대식물 관리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 방제의 관리 자료로 이용되어 새로이 온실을 조성하는 경우 식재기반조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추후 열대식물의 자원 식물로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