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ythema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35초

다형홍반 치험 1례 (A Case of Erythema Multiforme(EM))

  • 홍철희;심은기;박준영;송성필;홍석훈;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58
    • /
    • 2004
  • Background and Objective: Erythema multiforme(EM) is related disorders of skin and mucous membranes which is typically associated with antecedent medications or infections. etc. EM is an erythematous maculopapular cutaneous eruption of variable form. However, the pathophysiology of the EM remains obscure. Treatment at present is symptomatic and supportive. There is no report on EM treated with oriental medical treatment. Methods: We conducted one patient with EM seen at Won-Kwang University Kwang-Ju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2004. We treated EM in a twenty-two years old man by a herbal medicine(Joa-Chang-Bang), a herbal medicine for external use, acupunture, moxa, COTDE-made cosmetics, and P-Tx(carbon). Conclusions. We had a significant results. So we report this case to estimate the efficiency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and management on EM.

  • PDF

Post-acne Erythema Successfully Treated with 595-nm Picosecond-domain Neodymium:Yttrium-aluminum-garnet Laser

  • Kim, Jae-Hong;Choe, Sung Jay;Kim, Tae-Gyun
    • Medical Lasers
    • /
    • 제9권1호
    • /
    • pp.84-87
    • /
    • 2020
  • Post-acne erythema (PAE)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during or after treatment of acne vulgaris with any modality. A variety of therapeutic options have been described with various clinical outcomes and side effects. We report here on treating a patient with PAE using 595-nm picosecond-domain neodymium:yttrium-aluminum-garnet (Nd:YAG) laser. After four sessions of treatment, the patient displayed nearly complete improvement and no remarkable adverse effects.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first case of the effective treatment of PAE using a 595-nm picosecond-domain Nd:YAG laser. We recommend that using a 595-nm picosecond-domain Nd:YAG laser can be both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option for treating PAE.

개 피부에서 Histamine에 의한 팽진과 발적에 대한 loratadine, cetirizine과 terfenadine의 억제효과 (Effects of Loratadine, Cetirizine, and Terfenadine on Histamine-Induced Wheal and Erythema Responses in Normal Canine Skin)

  • Jeong, A-Young;Jeong, Hyo-Hoon;Heo, Woo-Phil;Eom, Ki-Dong;Jang, Kawng-Ho;Oh, Tae-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6-190
    • /
    • 2002
  • 아토피성 피부염은 면역계재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이 주요 증상이며 이의 치료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개에서 제2세대 항히스타민제의 임상적용을 위해 피부에 히스타민에 의해 유발된 팽진과 발적에 대한 loratadine, cetirizine과 terfenadine의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3종의 항히스타민제는 대조군에 비해 매우 유의하게 발적반응을 억제하였으며(p<0.01) cetirizine이 다른 제제에 비해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3종의 항히스타민제는 팽진 반응을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loratadine의 억제효과가 일정하며 지속적이었다. 따라서 제 2세대 항히스타민제인 loratadine과 cetirizine은 개에서 아토피성 피부염의 소양증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로 사료된다. 특히 스테로이드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치료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PME88 멜론SOD의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ME88 MelonSOD on the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 조세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01-408
    • /
    • 2009
  • PME88 멜론(글리아딘과 결합된 식물 추출물) superoxide dismutase(SOD)의 섭취는 체내에 존재하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를 포함한 항산화 효소의 활성 및 총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전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minimal erythema dose (MED) 값의 변화, 홍반점수의 변화, 분광비색계 측정값을 분석함으로써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광노화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MED 값의 변화 분석에서는 PME88 멜론SOD 섭취 군에서는 시험 물질을 28일 동안 섭취한 후 MED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4일과 28일 사이에 그 유의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홍반의 심한 정도(홍반점수) 분석에서 28일 동안 섭취 후 위약 군이 PME88 멜론SOD 투여군보다 1.25 MED의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경우 홍반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분광비색계 측정값 분석에서 0.64 MED$_{D14}$, 0.80 MED$_{D14}$, 1.0 MED$_{D14}$에서 $a^*$변수(색변화에 가장 민감한 변수, 홍반의 색조 변화를 반영)가 위약 군에서 PME88 멜론 SOD 투여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주간의 시험기간 동안 대변에 대한 횟수나 성향의 이상 징후 및 거부반응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면 PME88 멜론SOD의 섭취는 안전하게 UV로 인한 피부의 광노화를 억제하는데 유용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酒차鼻의 韓方治驗 (Treatment of Rosacea with Herb-medication and Acupuncture.)

  • 남혜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28-236
    • /
    • 2002
  • Persistent facial telangiectasia, erythema and flushing are the major cosmetic problems in patients with rosacea. However various therapeutic modalities for rosacea are not effective. Five patients who had a history of rosacea which poorly controlled by oral and topical medications, were given Herb-medication and Acupuncture treatment. The size of erythema and the number of papules had been gradually decreased and finally all the symptoms were gone except telangiectasia.

  • PDF

삼황사심탕가미방(三黃瀉心湯加味方)이 생쥐에 유발된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mhwangsasim-tang Gamibang on Atopic Dermatitis in Mice)

  • 이호찬;정민영;최정화;박수연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7-347
    • /
    • 2017
  •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 (AD) is chronic skin disease characterized by allergic hypersensitivity reactions. Samhwangsasim-tang Gamibang(SHSST) can treat skin disease by cooling down blood heat, clearing away congenital fever and detoxicat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HSST on AD induced by oxazolone in mice.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HSST on skin tickness, skin lesions, erythema and melanin index, water content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vivo. The effects on body weights and spleen body weight ratio were also investigated in mice with AD. Results : In our results, oral administration of SHSST ameliorated skin lesion such as flare, erythema, exudate and petechia and lowered skin thickness induced by oxazolone. In addition, SHSST lowered erythema index and elevated water content compared to AD control respectively. In the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ral administration of SHSST prevented epidermal hyperplasia and spongiotic changes which is a hallmark of skin inflammation respectively. Finally, SHSST did not affect spleen/body weight ratio. Conclusions : These data imply that SHSST can ameliorate skin lesion of AD such as flare, erythema, exudate and petechia, and be used to treat AD patients with relative safety.

중년여성의 자각하는 유.수분 유형과 비침습적 방법으로 측정한 안면피부상태 (Condition of Facial Skin by Non-invasive Measurement and Lipid.Moisture Type of the Facial Ski by Subjective Self-consciousness in Some Middle-aged Women)

  • 강수경;류소연;박종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79-283
    • /
    • 2005
  • 일부 도시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안면부위별 피부상태를 파악하고자 비침습적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유 수분, 멜라닌 홍반 정도를 관찰하였고, 주관적으로 자각하는 유 수분 유형을 조사하여 객관적 측정값들과의 관련성을 보고자 하였다. 안면부위별 측정 결과, 수분량은 눈가>이마>볼, 유분량은 이마>눈가>볼 부위 순이었으며, 홍반지수는 이마>볼>눈가, 멜라닌지수는 눈가>이마>볼 부위 순이었다. 객관적 유분 측정값과 주관적으로 자각하는 유분유형은 일치성을 나타내었다. 유분량 홍반지수, 멜라닌지수의 각 측정값들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