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uption time

검색결과 174건 처리시간 0.021초

미맹출 유구치에 관한 증례 (UNERUPTED PRIMARY MOLAR)

  • 한연선;최병재;김성오;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44-449
    • /
    • 2002
  • 치아의 맹출은 치아가 구강내 교합평면에 도달하여 기능적인 위치를 차지할 때까지의 치아 이동 및 골조직 내에서의 발달로 이루어지는 생리학적인 양상으로 이해되어진다. 그러나 치아가 정상적으로 맹출해야 하는 시기를 지나서도 골조직 내에서 맹출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치아를 매복치라 일컫는다. 이러한 치아 매복의 주된 요인은 국소적인 것으로 악궁내 공간 부족, 치아 위치 이상, 과잉치, 맹출 경로의 감염, 낭종 및 안면 외상으로 인한 치배의 영향 등이 있다. 또한 쇄골두개이골증, 골다공증 등의 전신적 그리고 유전적 질환도 맹출 장애와 맹출 지연 등과 관련이 있다. 현재까지 매복치의 대부분은 영구치로 보고되었으며 반면에 유치의 매복에 대한 것은 극히 소수에 불과하고, 매복된 유치의 대다수는 제 2 유구치이다. 유치의 매복은 유착에 의해 이차적으로 생긴 저위교합과는 구별되어야 하며, 유치의 매복에 대한 병인은 유치 치배의 비정상적인 발달로 인해 조기에 유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정확하게 밝혀진 바는 없다. 유치의 맹출 실패로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계승 영구치 발달 및 맹출 방해, 낭종 형성이나 감염의 발생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의 구강 및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유구치의 매복이 관찰되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GPS TEC Responses to Solar Flare Eruption and Geomagnetic Storm in 2011

  • Chung, Jong-Kyun;Lee, Chi-Na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11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20권1호
    • /
    • pp.27.2-27.2
    • /
    • 2011
  • The Total Electron Content (TEC) measured from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can be continuously or peculiarly increased (positive ionospheric storm) or decreased (negative ionospheric storm) with solar and geomagnetic activities as well as the chemical and dynamic processes with thermosphere in the mid-latitudes. The ionospheric storm is not easy to predict owing to its difficult mechanism, and the real-time GPS TEC monitoring may be useful to follow ionospheric response to solar and geomagnetic storms.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has continuously monitor GPS TEC over Korea Peninsula in near real-time of 10 minutes to watch activities.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report the variation of GPS TEC over Daejeon and JeJu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solar flare eruption and geomagnetic storm events in 2011. These events in 2011 will be compared with the event in October 2003 and November 2004.

  • PDF

Hydroacoustic Records and Numerical Models of the Source Mechanisms from the First Historical Eruption of Anatahan Volcano, Mariana Islands

  • Park M.;Dziak R.P.;Matsumoto H.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대한지구물리학회.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232-237
    • /
    • 2004
  • Anatahan Volcano in the Commonwealth of the Northern Mariana Islands (CNMI) erupted for the first time in recorded history on 10 May 2003. The underwater acoustic records of earthquakes, explosions, and tremor produced during the eruption were recorded on a sound-channel hydrophone deployed in February 2003. Acoustic propagation models show the seismic to acoustic conversion at Anatahan is particularly efficient, aided by the slope of the seamount toward the hydrophone. The hydrophone records confirm the onset of earthquake activity at 01:53Z on 10 May, as well as the onset (at ${\~}$06:20Z) of continuous, low-frequency (5-40 Hz) acoustic energy that is likely volcanic tremor related to magma intrusion. The hydrophone recorded a total of 458 earthquakes associated with the eruption. To predict the character of acoustic signals generated from Anatahan, we developed a moment-tensor representation of a volcano-seismic source that is governed by the geometry of the sourc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gma. A buried magmatic pipe model was adopted, and numerically modeling source parameters such as the pipe radius and magma viscosity enable us to grasp the inward nature of Anatahan Volcano.

  • PDF

유착 유구치의 처치에 관한 증례보고 (MANAGEMENT OF ANKYLOSED PRIMARY MOLARS ; CASE REPORT)

  • 장미라;최병재;이종갑;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90-596
    • /
    • 1997
  • Ankylosis is defined as a fusion of alveolar bone with dentin and/or cementum and may occur at any time during or following active eruption. Ankylosed teeth maintain existing occlusal levels while adjacent teeth continue to erupt via deposition of alveolar bone. This may result in the clinical appearance of depression or submergence of ankylosed teeth below the occlusal plane. It is found more frequently in children of late mixed dentition and in mandibular primary molars. The problems arising from ankylosed teeth, due to their submerged positions, are elongation of the antagonist, tipping of the adjacent teeth, loss of arch length, food impaction and subsequent destruction of periodontal tissue, disturbance of succedaneous tooth eruption. The author observed several cases of ankylosed primary molars and properly managed.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Severe infraoccluded ankylosis results in loss of arch length and undesirable effect on eruption path of succedaneous tooth,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management are important. 2. The teeth without problems may be examined periodically and restored in order to maintain the normal occlusal function.

  • PDF

한국인(韓國人)의 유치(乳齒) 맹출시기(萌出時期)에 대(對)한 연구(硏究) (STUDIES ON ERUPTIVE STAGES OF PRIMARY DENTITION IN KOREAN INFANTS)

  • 조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7-18
    • /
    • 1977
  • The author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normal range of eruptive time, average age and order of eruption of primary teeth in korean infants. The examimation was given to 1757 healty infants(Male 1032, female 725) from afterbirth 4 months to 32 months. The results was as fallows. 1. The eruption of primary teeth was 0.57 months earlier in male than in female. 2. The average month of eruption of primary teeth was as follows; Upper primary central is $9.66{\pm}0.19$ months Upper primary lateral is $11.58{\pm}0.18$ months. Upper primary canine is $18.06{\pm}0.32$ months. Upper first primary molar is $16.45{\pm}0.29$ months. Upper second primary molar is $24.28{\pm}0.51$ months. Lower primary central is $7.50{\pm}0.12$ months. Lower primary lateral is $12.87{\pm}0.16$ months. Lower primary camine is $18.82{\pm}0.34$ months. Lower first primary molar is $17.66{\pm}0.37$ months. Lower second primary molar is $23.89{\pm}0.51$ months. 3. The eruptive order of the korean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merican and same to that of Japanese. 4. There is no significant right and left arch. 5. Generally, the eruption of primary teeth on the upper is 1.08 months earlier than on the lower; but the upper central is 2.16 months later than the lower and the upper second primary is 0.39 months later than the lower.

  • PDF

인도메타신의 투여가 치아 맹출 시 기질금속단백분해 효소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domethacin on the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canine permanent tooth eruption)

  • 강윤구;남종현;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1-102
    • /
    • 2006
  • 이 연구는 치낭과 그 주위 조직 세포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3과 -9의 발현에 대한 인도메타신의 영향을 관찰하여 인도메타신이 치아의 맹출에 미치는 영향의 일단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생후 10-12주된 10마리의 개를 실험군 8마리와 대조군 2마리로 나누고 실험군은 인도메타신을 체중에 대하여 통상적 복용량인 인도메타신 2 mg/Kg/day을 7일간 및 14일간 투여한 군과 과량의 8 mg/Kg/day을 7일간 및 14일간 투여한 군으로 나누고 대조군은 빈 캅셀을 placebo로 투여한 후 희생하고 맹출 중인 영구치 치배를 적출하여 조직 처리하고 H-E 염색 및 MMP-3과 -9에 대한 면븐염색 시행 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하였다. 관찰결과 대조군에서는 파골세포, 조골세포, 치주인대 세포, 법랑모세포 및 상아모세포에서 모두 MMP-3과 -9의 발현이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인도메타신 투여군에서 파골세포, 조골세포, 치주인대 세포는 MMP-3과 -9의 발현이 억제된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인도메타신의 투여기간이 길수록 투여량이 많을수록 더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법랑모세포와 상아모세포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MMP-3과 -9의 발현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prostaglandin (PG) 생합성 억제제인 인도메타신은 치낭의 파골세포, 조골세포 및 치주인대 세포에서 MhfP-3과 -9의 발현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인도메타신 투여로 치아 맹출이 억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저위교합된 상악 유구치에 의해 변위된 소구치 치배의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FOR TOOTH GERM OF PREMOLAR DISPLACED BY INFRAOCCLUDED UPPER DECIDUOUS MOLAR)

  • 정정화;김영진;김현정;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90-396
    • /
    • 2012
  • 저위교합이란 치아가 출은 이후 유착 등의 원인으로 맹출이 정지되어 주위조직이 정상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정상교합보다 낮아진 상태를 말한다. 저위교합을 방치하는 경우 이환치의 만기잔존과 대합치의 정출 및 인접치의 경사에 따른 공간상실, 교합압과 식편압입으로 인한 인접치의 치주 조직 파괴와 치아우식 감수성의 증가, 계승치의 맹출경로 변위 또는 매복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기검진을 통한 진단과 이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저위교합을 보이는 유구치의 치료방법으로는 후속 영구치의 유무, 저위교합의 발생 시기 및 진단 시기, 저위교합의 정도 등에 따라서 주기적인 관찰, 보존적 접근 방법, 수복치료, 교정적 방법을 통한 공간확장술과 발치 등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제2유구치의 저위교합 및 제2소구치 치배의 변위를 보이는 3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가철성 교정장치를 이용한 공간확장술 및 유구치의 발치를 시행함으로써 변위되었던 제2소구치 치배의 정상 맹출을 유도하였다.

구개측 매복된 상악 견치의 교정적 치험례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

  • 감동훈;김정욱;한세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7-133
    • /
    • 1998
  • An impacted tooth is defined pathologically as a tooth that remains under the mucosa of inside bone without eruption of the crown after a specific period of eruption. Clinically, the term includes those teeth, even before eruption period, that are not expected to erupt due to shape, position and alignment of tooth and lack of space. Canine is prone to impaction more than other teeth because it has the longest time to develop and a complex route from the place of formation to the site of eruption. The impaction incidence of maxillary canine is repoted 0.92$\sim$3.3% (Ferguson, 1990). In 1995 Orton reported that the incidence was 0.92$\sim$2.2% and palatal impaction was more frequent than labial impaction(85%:15%). In 1969 Johnston presented it was more common to woman than to man(3:1). The etiology includes systemic disease such as endocrine disorder, cleidocranial dysostosis, irradiation, Crouzon syndrome, ricketts, facial hemihypertrophy and hereditary and local problems such as ectopic position of the tooth, distance of tooth from its place of eruption, malformation of the tooth, presence of supernumerary teeth, trauma of tooth germ, infection of tooth germ, displacement of tooth germ or tooth by a neoplasm, ankylosis, overretention of deciduous predecessor, lack of space for the tooth in the dental arch and mucosal barrier due to gingival fibrosis.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as it has the longest root, provides guidance for lateral movement of the mandible and masticatory function and assumes an important role esthetically as it is located at mouth angle. If left untreated, it may cause migration and external, internal resorption of adjacent teeth, loss of arch length, formation of dentigerous cyst or tumors, infection and referred pain as well as malposition of the tooth. Therefore, periodic examination of the development and eruption of the maxillary canine is especially important in a growing child. This case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treatment of palatally impacted maxillary canine utilizing surgical exposure and orthodontic tooth movement on patients visiting SNUDH dept. of pediatric dentistry.

  • PDF

일본 니시노시마 화산 분화에 의한 한반도 남부 대기질 영향 분석 (Understanding Impact of the Volcanic Eruption of Nishinoshima, Japan on Air Quality in the South Korean Peninsula)

  • 장철우;윤성효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6-209
    • /
    • 2023
  •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일본 도쿄 남쪽 940 km 해상에 위치한 니시노시마 화산이 분화하였다. 2020년 7월 말 발생한 분화로 인한 화산재와 화산가스 일부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화산재 확산 수치모의 프로그램인 Ash3D를 이용하여 현지시각 2020년 7월 28일 0시에 화산폭발지수 3의 분화가 발생한 것으로 설정하고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화산재가 니시노시마 인근에서 동풍을 타고 7월 30일 새벽 오키나와에 도달한 이후 남풍을 타고 북상하여 8월 1일 제주도에 상륙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이동하면서 8월 2일에는 남부지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측정된 PM10 미세먼지농도는 제주도 고산기상관측소에서 8월 1일부터, 부산 구덕산기상관측소에서는 8월 2일부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니시노시마 화산 분화가 제주도 및 남부지방의 미세먼지 수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연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어린이에서의 영구치 맹출 시기 및 순서 (TIMING AND SEQUENCE OF ERUPTION OF PERMANENT TEETH IN A SAMPLE OF CHILDREN FROM YONSEI DENIAL HOSPITAL)

  • 강태성;최병재;권호근;손흥규;최형준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93-702
    • /
    • 2005
  • 치아의 정확한 맹출 시기와 그 순서는 어린이의 발육 성숙도의 지표로서 소아치과 임상 및 예방 교정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2001{\sim}2003$년에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어린이 중 만 5세부터 만 14세까지의 남자 654명, 여자 542명, 총 1,196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영구치의 맹출 시기 및 순서에 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 영구치의 맹출 시기는 중절치 남 만6.81세, 여 만6.78세, 측절치 남 만8.30세, 여 만7.98세, 견치 남 만10.28세, 여 만10.04세, 제1소구치 남 만9.74세, 여 만9.90세, 제2소구치 남 만10.87세, 여 만10.41세, 제1대구치 남 만6.25세, 여 만6.54세, 제2대구치 남 만12.21세, 여 만12.03세였다. 2. 하악 영구치의 맹출 시기는 중절치 남 만6.00세, 여 만6.06세, 측절치 남 만6.99세, 여 만6.74세, 견치 남 만9.83세 여 만9.17세, 제1소구치 남 만9.92세, 여 만9.75세, 제2소구치 남 만10.66세, 여 만10.39세, 제1대구치 남 만5.99세, 여 만5.75세, 제2대구치 남 만11.92세, 여 만12.17세였다. 3. 영구치의 맹출 순서는 상악에서 제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제1소구치, 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의 순이었고, 하악에서 제 1대구치, 중절치, 측절치, 견치, 제 1소구치, 제2소구치, 제2대구치의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