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ror Correction Model

검색결과 625건 처리시간 0.027초

외삽기법을 이용한 전리층 보정정보 영역 확장 (Extending Ionospheric Correction Coverage Area by using Extrapolation Methods)

  • 김정래;김민규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4-81
    • /
    • 2014
  • The coverage area of GNSS regional ionospheric correction model is mainly determined by the disribution of GNSS ground monitoring stations. Outside the coverage area, GNSS users may receive ionospheric correction signals but the correction does not contain valid correction information. Extrapolation of the correction information can extend the coverage area to some extent. Three interpolation methods, Kriging, biharmonic spline and cubic spline, are tested to evaluate the extrapolation accuracy of the ionospheric delay corrections outside the correction coverage area. IGS (International GNSS Service) ionosphere map data is used to simulate the corrections and to compute the extrapolation error statistics. Among the three methods, biharmonic method yields the best accuracy. The estimation error has a high value during Spring and Fall. The error has a high value in South and East sides and has a low value in North side.

자유 공간 모델과 하타 모델을 이용한 러시아 PNG 지역의 경로 손실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th Loss Prediction for the PNG of Russia Using the Free Space Model and the Hata Model)

  • 박경태;조형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87-9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800 ~ 900 MHz 주파수 대역에서 러시아 PNG 지역에 오쿠무라-하타 모델을 적용하여 경로 손실식을 구하였다. 기존의 경로 손실 모델을 이용하여 러시아 PNG 지역의 새로운 경로 손실 특성식을 구하기 위해서, 최소 자승 평균 기법을 적용하여 기존 모델에 대한 수정치를 구하였다. 자유 공간 및 하타 모델과 측정치의 수정치가 28, 13 dB 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값을 적용하여 러시아 PNG 지역에 맞는 새로운 경로손실 모델을 제시하였다.

Soft Error Adaptable Deep Neural Networks

  • Ali, Muhammad Salman;Bae, Sung-Ho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41-243
    • /
    • 2020
  • The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of deep learning algorithms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specialized hardware architectures. However, soft errors (bit flip) may occur in these hardware systems due to voltage variation and high energy particles. Many error correction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counter this problem. In this work, we analyze an error correction mechanism based on repetition codes and an activation function. We test this method by injecting errors into weight filters and define an ideal error rate range in which the proposed method complements the accuracy of the model in the presence of error.

  • PDF

A Study on Accuracy Improvement of SBAS Ionospheric Correction Using Electron Density Distribution Model

  • Choi, Bong-Kwan;Han, Deok-Hwa;Kim, Dong-Uk;Kee, Changdon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8권2호
    • /
    • pp.59-68
    • /
    • 2019
  • This paper proposed a method to estimate the vertical delay from the slant delay, which can improve accuracy of the ionospheric correction of SBAS. Proposed method used Chapman profile which is a model for the vertical electron density distribution of the ionosphere. In the proposed method, we assumed that parameters of Chapman profile are given and the vertical ionospheric can be modeled with linear function. We also divided ionosphere into multi-layer. For the verification, we converted slant ionospheric delays to vertical ionospheric delays by using the proposed method and generated the ionospheric correction of SBAS with vertical delays. We used International Reference Ionosphere (IRI) model for the simulation to verification. As a result, the accuracy of ionospheric correction from proposed method has been improved for 17.3% in daytime, 10.2% in evening, 2.1% in nighttime, compared with correction from thin shell model. Finally, we verified the method in the SBAS user domain, by comparing slant ionospheric delays of users. Using the proposed method, root mean square value of slant delay error decreased for 23.6% and max error value decreased for 27.2%.

RC 고층 건물에서 계측 결과를 이용한 기둥축소 해석보정의 효과에 대한 변수 연구 (A Parametric Study on Effects of Column Shortening Analytical Correction Using Measured Results in RC Tall Buildings)

  • 송은석;김재요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38-47
    • /
    • 2020
  • RC 고층건물에서 발생하는 기둥축소의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계측결과를 이용한 해석보정에 대한 변수연구가 수행되었다. 해석보정의 변수는 해석보정 시행기준, 해석보정 값, 계측 위치이며, 변수에 따른 해석보정 모델을 41층 규모의 RC 건물의 시공단계해석에서 적용하여 변수에 따른 보정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보정 횟수와 전체 보정량에 따른 층별 오차 값의 감소율을 비교하였으며, 해석보정의 시행기준은 일정한 간격을 기준으로 해석보정 할 경우, 해석보정 값은 오차 값만큼 보정할 경우, 계측 위치는 매 층 계측이 될 경우에 오차가 최소화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로부터 실제 해석 모델에 대하여 여러 해석보정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가장 적합한 해석보정 모델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주택가격지수 모형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the forecasting models with real estate price index)

  • 임성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6호
    • /
    • pp.1573-1583
    • /
    • 2016
  • 주택가격은 대내외적으로 경기관련 많은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변량분석의 경우 이와 관련된 변수들간의 상호관련성을 검정하여야 한다. 그랜저 인과성 검정결과 변수들간에 서로 인과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수들 사이에 공적분 존재유무를 확인한 결과 공적분이 존재하므로 오차수정항이 포함된 벡터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ARIMA 및 VAR 모형과의 예측력 실증비교 결과 벡터오차수정모형에 의한 예측력이 이들 두 모형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usal Relationship among Bioethanol Production, Corn Price, and Beef Price in the U.S.

  • Seok, Jun Ho;Kim, GwanSeon;Kim, Soo-Eun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7권3호
    • /
    • pp.521-544
    • /
    • 2018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mpact of ethanol mandate on the price relationship between corn and beef using the monthly time-series data from January 2003 through December 2013. In addition, we examine the non-linearity in ethanol, corn, and beef markets. Based on the threshold cointegration test, we find the symmetric relationship in pairs with ethanol production-corn price and ethanol production-beef price whereas there is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prices of corn and beef. Employing the threshold vector error correction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s, we also find that the corn price in the U.S is caused by both ethanol production and beef price in a long-run when the beef price is relatively high. On the other hand, the corn price does not cause both ethanol production and beef price in the long run.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y that demanders for corn such as ethanol and beef producers have price leadership on corn producers.

공적분·벡터오차수정모형을 활용한 벙커유 가격의 장기균형 수렴에 관한 실증분석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Long-term Balance of Bunker Oil Prices Using the Co-integration Model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 안영균;이민규
    • 무역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5-86
    • /
    • 2019
  • This study performs a factor analysis that affects the bunker oil price using the Co-integration model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VECM). For this purpose, we use data from Clarkson and the analysis results show 17.6% decrease in bunker oil price when the amount of crude oil production increases at 1.0%, 10.3% increase in bunker oil price when the seaborne trade volume increases at 1.0%, 1.0% decrease in bunker oil price when total volume of vessels increases at 1.0%, and 0.003% increase in bunker oil price when 1.0% increase in world GDP, respective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estimates the speed of convergence to long-term equilibrium and identifies the price adjust mechanism which naturally exists in bunker oil marke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future study can provide statistically more meaningful econometric results if it can obtain data during more long-periods and use more various kinds of explanatory variables.

띄어쓰기 및 철자 오류 동시교정을 위한 통계적 모델 (A Joint Statistical Model for Word Spacing and Spelling Error Correction Simultaneously)

  • 노형종;차정원;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2호
    • /
    • pp.131-13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띄어쓰기 오류와 철자 오류를 동시에 교정 가능한 전처리기를 제안한다. 제시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전처리기 알고리즘이 각 오류를 따로 해결하는 데에서 오는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의 noisy-channel model을 확장하여 대화체의 띄어쓰기 오류와 철자 오류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N-gram과 자소변환확률 등의 통계적 방법과 어절변환패턴 사전을 이용하여 최대한 사전을 적게 이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교정 후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현재 단계에서는 만족할 만한 성능을 얻지는 못하였지만 오류 분석을 통하여 이와 같은 방법론이 실제로 효용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앞으로 더 많은 개선을 통해 일상적인 대화체 문장에 대해서 효과적인 전처리기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반도 지역 SBAS 대류층 지연 보정 모델의 정확도 검증 (Accuracy Verification of the SBAS Tropospheric Delay Correction Model for the Korean Region)

  • 김동욱;한덕화;기창돈;이철수;이충희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3-2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 지역에서 SBAS (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대류층 지연 보정 모델의 정확도 성능을 검증하였다. 정확도 분석을 위한 대류층 지연량 참값으로 IGS (International GNSS Service)에서 제공하는 정밀 대류층 천정 지연량인 ZPD(zenith path delay)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대류층 지연 모델인 Saastamoinen 모델 및 Hopfield 모델과 성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SBAS 대류층 지연 보정 모델의 잔여 오차는 약 50 mm 수준으로, Saastamoinen 모델 및 Hopfield 모델보다 성능이 떨어졌다. 이 대류층 지연 모델에 의한 잔여오차는 SBAS 정확도 요구조건에는 문제가 없지만, 사용자 측위 성능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만약 한반도 기상 환경에 적합하도록 SBAS 대류층 보정 모델의 기상 파라미터를 수정한다면, 더 좋은 성능의 SBAS 서비스를 한반도에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