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ror Correction

검색결과 2,263건 처리시간 0.031초

The Design of Error Detection Auto Correction for Conversion of Graphics to DTV Signal

  • Ryoo-Dongwan;Lee, Jeonwoo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1
    • /
    • pp.106-109
    • /
    • 2002
  • In the integrated systems, that is integrated digital TV(DTV) internet and home automation, like home server, is needed integration of digital TV video signal and computer graphic signal. The graphic signal is operating at the high speed and has time-divide-stream. So the re-request of data is not easy at the time of error detection. therefore EDAC algorithm is efficient. This paper presents the efficiency error detection auto correction(EDAC) for conversion of graphics signal to DTV video signal. A presented EDAC algorithms use the modified Hamming code for enhancing video quality and reliability. A EDAC algorithm of this paper can detect single error, double error, triple error and more error for preventing from incorrect correction. And it is not necessary an additional memory. In this paper The comparison between digital TV video signal and graphic signal, a EBAC algorithm and a design of conversion graphic signal to DTV signal with EDAC function is described.

  • PDF

Blind QR Code Steganographic Approach Based upon Error Correction Capability

  • Chiang, Yin-Jen;Lin, Pei-Yu;Wang, Ran-Zan;Chen, Yi-Hu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7권10호
    • /
    • pp.2527-2543
    • /
    • 2013
  • A novel steganographic QR code algorithm, which not only coveys the secret into the widely-used QR barcode but also preserves the readability of QR content and the capability of error correction, is presented in this articl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applications for QR barcode, the designed algorithm conceals the secret into the QR modules directly by exploiting the error correction capability. General browsers can read the QR content from the QR code via barcode readers; however, only the authorized receiver can further reveal the secret from the QR code directly. The new mechanism can convey a larger secret payload along with adjustment of the QR version and error correction level. Moreover, the blind property allows the receiver to reveal the secret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embedded position of module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ew algorithm is secure, efficient and feasible for the low-power QR readers and mobile devices.

에러교정기법을 이용한 WBAN 서비스품질 최적화 설계 (WBAN Service Quality Optimization Design Using Error Correction Technique)

  • 이정재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657-662
    • /
    • 2019
  • 웨어러블 센서, 심전도조정기의 전력 소비는 네트워크 수명을 늘리기 위해 매우 낮아야 하며 WBAN노드에서 처리하는 데이터의 에러교정 및 인증등의 예상되는 서비스품질 제어는 중요하다. 따라서 서비스품질제어는 건강모니터링규정에서 WBAN을 구현하는 데 있어 가장 긴급한 관심사이다. 최적의 QoS제어를 위해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에러교정기법과 IEEE 802.15.6과 성능을 에너지효율 및 평균전송갯수면에서 비교평가 한다. 제안된 에러교정기법의 성능은 채널 추정을 이용하여 부호화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에너지 효율 및 전송율이 향상됨을 보인다.

금융 실현변동성을 위한 내재변동성과 인터넷 검색량을 활용한 딥러닝 (Deep learning forecasting for financial realized volatilities with aid of implied volatilities and internet search volumes)

  • 신지원;신동완
    • 응용통계연구
    • /
    • 제35권1호
    • /
    • pp.93-104
    • /
    • 2022
  • S&P 500과 RUSSELL 2000, DJIA, Nasdaq 100 4가지 미국 주가지수의 실현변동성(realized volatility, RV)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사람들의 관심 지표로 삼을 수 있는 인터넷 검색량(search volume, SV) 지수와 내재변동성(implied volatility, IV)를 이용하여 LSTM 딥러닝(deep learning) 방법으로 RV의 예측력을 높이고자하였다. SV을 이용한 LSTM 방법의 실현변동성 예측력이 기존의 기본적인 vector autoregressive (VAR) 모형, vector error correction (VEC)보다 우수하였다. 또한, 최근 제안된 RV와 IV의 공적분 관계를 이용한 vector error correction heterogeneous autoregressive (VECHAR) 모형보다도 전반적으로 예측력이 더 높음을 확인하였다.

Error Correction Code를 이용한 워터마킹 방법과 성능분석 (Watermarking Method using Error Correction Code and its Performance Analysis)

  • 심혁재;전병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제14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9-242
    • /
    • 2001
  • 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을 통신채널의 입장에서 해석한다면 워터마크는 신호로, 영상은 잡음으로 모델링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잡음 속에서 신호에 대한 에러를 최소화하는 것이 워터마크의 추출을 최대화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Error Correction Code는 에러가 많은 통신채널에서 많이 이용되기 때문에 워터마킹 방법에서도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DCT 기반의 구간화 워터마킹 방법에 Turbo code를 이용하여 강인성 면에서의 향상된 성능을 실험 결과로 보이며, Turbo code의 해밍거리를 이용하여 워터마킹의 보다 효율적인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 PDF

EFFICIENT ESTIMATION OF THE COINTEGRATING VECTOR IN ERROR CORRECTION MODELS WITH STATIONARY COVARIATES

  • Seo, Byeong-Seon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34권4호
    • /
    • pp.345-366
    • /
    • 2005
  • This paper considers the cointegrating vector estimator in the error correction model with stationary covariates, which combines the stationary vector autoregressive model and the nonstationary error correction model. The cointegrating vector estimator is shown to follow the locally asymptotically mixed normal distribution. The variance of the estimator depends on the co­variate effect of stationary regressors, and the asymptotic efficiency improves as the magnitude of the covariate effect increases. An economic application of the money demand equation is provided.

한국어 어휘 의미망(alias. KorLex)의 지식 그래프 임베딩을 이용한 문맥의존 철자오류 교정 기법의 성능 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Techniques using Knowledge Graph Embedding of Korean WordNet (alias. KorLex))

  • 이정훈;조상현;권혁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93-501
    • /
    • 2022
  • This paper is a study on context-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and uses the Korean WordNet (KorLex)[1]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words as a graph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correction[2] based on the vector information of the word embedded in the correction technique. The Korean WordNet replaced WordNet[3] developed at Princeton University in the United States and was additionally constructed for Korean. In order to learn a semantic network in graph form or to use it for learned vecto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transform it into a vector form by embedding learning. For transformation, we list the nodes (limited number) in a line format like a sentence in a graph in the form of a network before the training input. One of the learning techniques that use this strategy is Deepwalk[4]. DeepWalk is used to learn graphs between words in the Korean WordNet. The graph embedding information is used in concatenation with the word vector information of the learned language model for correction, and the final correction word is determined by the cosine distance value between the vectors. In this paper, In order to test whether the information of graph embedding affects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context- sensitive spelling error correction, a confused word pair was constructed and tested from the perspective of Word Sense Disambiguation(WSD). In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average correction performance of all confused word pairs was improved by 2.24% compared to the baseline correction performance.

영작문 자동 채점 시스템을 위한 문맥 고려 단어 오류 검사기 (Context-sensitive Word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for Automatic Scoring System of English Writing)

  • 최용석;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1호
    • /
    • pp.4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문맥 정보를 함께 고려해야만 인식할 수 있는 단어 오류에 대하여 오류 인식 방법과 수정 후보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문제는 기존의 영어권에서 이미 많이 다룬 연구 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어 자동채점 시스템에서 사용하도록 특화된 방법을 제안한다. 문맥 정보를 고려한 단어 오류 검사에서는 자주 혼동되어 사용되는 단어집합(confusion set)을 활용한다. 비영어권 사용자의 작문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기존의 영어권에서 구축한 혼동집합 이외에 자동으로 혼동집합을 구축하여 실험해 보았다. 또한 품사 중의성으로 인해 기존의 구문오류 검사기가 다루지 못하는 오류를 정의하고 오류 인식과 오류수정 후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한국어가 모국어이면서 초/중급 작문 수준의 수험생들이 작성한 영어 문장에 대해 평가해 본 결과, 약 70.48%의 f1 값을 얻어 기존의 영어권 결과에 비해 뒤지지 않는 성능을 보였다.

정지궤도 기상위성자료의 구름위치오류 개선을 위한 시차보정 (The Parallax Correction to Improve Cloud Location Error of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 이원석;김영섭;김도형;정주용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9-105
    • /
    • 2011
  • 정지궤도 기상위성자료의 시차오류(Parallax error)는 기상위성 산출물 중에서 구름과 관련된 산출물의 위치 오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강수의 유무와 강도를 옳게 분석하더라도 강수위치 선정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차오류를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보정방법을 검증 및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차오류에 의한 구름위치 보정은 첫째, 원래의 위성친정각파 구름고도를 입력 자료로 보정된 위성천정각을 산출한다. 둘째, 보정된 위성천정각과 위성방위각을 이용하여 위성시차오류를 보정하여 구름의 원래 위치에 가깝게 옮겨준다. 시차오류는 위성천정각이 증가하고 구름고도가 증가 할수록 더 크게 나타나며, 동아시아지역($20{\sim}50^{\circ}N$)에서는 최대 약 25km의 구름위치오류가 발생 할 수 있다. Terra MODIS(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meter)의 센서천정각 $20^{\circ}$이내의 관측 자료와 검증한 결과 시차 보정된 구름위치가 원래 위치에 가깝게 개선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정지위성 시차오류 보정방법은 향후 아시아지역의 여러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영상 활용성 증대에도 기여할 것이다.

음소 유사율 오류 보정을 이용한 어휘 인식 후처리 시스템 (Vocabulary Recognition Post-Processing System using Phoneme Similarity Error Correction)

  • 안찬식;오상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83-90
    • /
    • 2010
  • 어휘 인식 시스템에서 인식률 저하의 요인으로는 유사한 음소 인식과 부정확한 어휘 제공으로 인해 오인식 오류가 존재한다. 부정확한 어휘의 입력으로 특징을 추출하여 인식할 경우 오인식의 결과가 나타나거나 유사한 음소로 인식되며 특징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음소 인식 시 유사한 음소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음소가 갖는 특징을 기반으로 음소 유사율을 이용한 어휘 인식 후처리에서의 오류 보정 후처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음소 유사율은 모노폰으로 훈련시킨 훈련 데이터를 각각의 음소에 MFCC와 LPC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유사한 음소는 정확한 음소로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부정확한 어휘 제공으로 인하여 오인식되는 오류를 최소화하였다. 음소 유사율과 신뢰도를 이용하여 오류 보정율을 구하였으며, 어휘 인식 과정에서 오류로 판명된 어휘에 대하여 오류 보정을 수행하였다. 에러패턴 학습을 이용한 시스템과 의미기반을 이용한 시스템에 비해 시스템 성능 평가 결과 MFCC와 LPC는 각각 7.5%와 5.3%의 인식 향상률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