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osion.Deposition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4초

호안 건설 후 광양만 조간대 퇴적물의 퇴적학적 특성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Tidal Flat Sediments after the Construction of Sea Dyke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 류상옥;신용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9-669
    • /
    • 2006
  • 광양만에서 호안 건설 후 조간대 퇴적물의 분포 및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 퇴적물의 조직 특성과 퇴적률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평균 입도는 가을에 조립하고 겨울, 봄, 여름으로 갈수록 세립해지며, 여름에는 초기에 일시적으로 조립한 후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였다. 퇴적률은 봄에 퇴적되고 여름과 가을에 주로 침식되어 호안이 건설퇴기 이전인 2001-2003년 동안 관측한 결과와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연평균 퇴적률은 북측 조간대에서는 2001-2003년 동안 관측한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주변에 호안이 건설된 서측 조간대는 퇴적 환경에서 침식 환경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퇴적 환경의 변화는 아마도 호안 건설에 따른 수류의 변형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Chichibu산지 계반림의 입지환경 (Riparian forest and environment variables relationships, Chichibu mountains, central, Japan)

  • Ann, Seong-Wo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93-100
    • /
    • 2003
  • In most mountainous parts of the temperate zone of Japan along the Pacific Ocean, some climatic climax forests, whose main dominant species is Fagus crenate, F. japonica or Quercus mongolica var. grosseserrata, are distributed. In the riparian regions of the zone, however, there appear summer green forests composed of the different species from the climatic climax forests. Clima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overall distribution of vegetation, but some environmental factors, i.e., topography, soil type, soil moisture content, etc. have a great influence on vegetation formation. Riparian forests seem to be controlled by various geomorphologic disturbances, such as landslide, soil erosion and accumulation. The study aims to present the relationships among vegetation, soils and landform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riparian forests dominated by Fraxinus platypoda and Pterocarya rhoifolia establishment in the mountainous region of central Japan. The study area extends an area of 302 ha with a range of elevation between 925 m and 1,681 m at the Chichibu mountains. The landforms were corditied at sampling grids (25 $\times$ 25 m, n = 4,843) using a hierarchical system, and a brief description of the forest soil classification was also given. The mutual relationship analysis indicated that forest soils and landforms play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geomorphological process of riparian forest, and shaping the ultimate pattern of vegetation. At the study area, riparian forests were mainly found on the $B_E$ forest soil type and steep slopes ( > 30$^{\circ}$) at convex slopes along the stream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ion of slop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iparian forests. A mosaic of patchy distribution of those riparian forests on the slightly wetter $B_E$ forest soil type wa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study area. This particular soil which contained large talus gravels was found on the land formed by erosion and deposition of landslide.

격자기반 강우-유출-유사 모형의 유사량 산정에 관한 적용성 평가 (Applicability Evaluation to Grid-based Rainfall-Runoff-Sediment Model for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 최현구;박준형;한건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2-143
    • /
    • 2017
  • 유사의 침식 이송 퇴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하천에서의 정기적인 유사량 자료의 획득이 필수이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의 유사량 측정 계획으로는 유사량 추정에 어려움이 있어 이를 대체하기 위해 경험식이나 수치모형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역에서의 유사량 산정과 자료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 국내에서 개발된 격자기반 강우-유출-유사 모형인 K-DRUM 모형을 적용하였다. 17개의 중권역에 대한 유량과 유사량을 산정하고 실측자료와 비교를 통해 모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정량적인 평가를 위해 NSE, PBIAS, RSR 등을 기준항목으로 사용하였으며, 유량에 대한 모의결과는 강우의 경향을 잘 반영하며 높은 통계값을 나타내었다. 유사량의 경우 유역의 토양침식과정을 물리적으로 잘 반영하였으며, 실측자료를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하였을 때 그 유역에서 연속적인 유사량 자료를 산정하는데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포해역의 점착성 퇴적물 이동에 관한 2차원 수치모의 (A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Cohesive Sediment Transport in the Mokpo Coastal Zone)

  • 최종화;정태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287-294
    • /
    • 2012
  • 연안 해역은 해안구조물 건설과 간척 등의 연안 개발로 인해 해안의 퇴적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환경변화가 발생하였다. 특히 점착성 퇴적물은 오염물질을 흡착하고 이동하여 환경적으로 큰 변화를 야기한다. 목포해역은 최근에 많은 해안구조물의 건설로 인해 낙조우세가 점점 심해지는 등의 환경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점착성 퇴적물을 채취하여 수리실험하고 얻은 침식률 및 침식한계전단응력의 퇴적물 이동모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부유사 농도에 대한 모의 결과는 관측자료와 일치하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수리실험을 통해 결정된 침식률을 사용하는 것이 수치모의에서 정확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과정에서 침식률, 침식한계응력, 침강속도, 활성층 두께 등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남한강과 금당천 합류부 구간에서의 지류 유입유량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수치모의 (Numerical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s due to Tributary Inflow Variation at the Confluence of the Namhan River and the Geumdang Stream)

  • 지운;장은경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11호
    • /
    • pp.1027-1037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상변동 및 하상유지공 유실 문제가 발생했던 남한강과 금당천 합류부 지점을 대상으로 지류에서 유입되는 유량의 변화에 따른 흐름특성 및 하상변동 특성을 2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구간의 수치모의 분석결과, 본류에서는 흐름집중 현상에 의해 지류 유입유량에 관계없이 합류 전에 비해 합류 후 유속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류 유입유량이 클수록 지류하천의 하도 침식이 가속화되고 따라서 주하도가 형성되어 지류에서의 마름영역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로 인한 지류에서의 하도 침식은 지류에서의 유사발생량을 증가시키고 침식된 유사는 합류부 구간에 퇴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합류부 구간에서의 지류 유입부 퇴적은 본류 흐름을 좌안으로 집중시키고 좌안의 하상이 저하되는 현상을 야기하였다.

해안사구에서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 (The Effective Wind Velocity and the Patterns of Morphological Change in the Coastal Dune Area)

  • 서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667-681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태안반도 신두해안사구의 유효풍속과 지형변화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퇴적물의 유동은 8개의 횡단면에서 침식핀을 이용하여 1999년 7월부터 2000년 7월까지 고도변화를 측정한 후 계산되었다.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구지역에서의 지형변화와 유효풍속에 근거하여 퇴적기와 침식기가 구분되었다. 퇴적기는 11월부터 4월까지로 모래의 집적이 주로 전사구에서 일어났으며 순차적으로 사구평지로 이어졌다. 침식기는 5월부터 10일까지로 전사구의 말단부에서 소규모 침식과 퇴적이 반복되는 패턴을 보였다. 둘째. 조사기간 동안 조사지역에서의 전체 퇴적물수지는 $10.2\;m^3$/m/yr로 잉여로 나타났으나 지역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이차사구에서는 결핍되는 곳도 나타났다. 사구지역의 북단에서는 모래의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중앙부와 남부지역에서는 모래의 공급이 빈약했다.

  • PDF

조선루층군(朝鮮累層群) 상부 캠브리아계(系) 화절층(花折層)에 협재(挾在)된 Carbonate Flat Pebble Conglomerate의 성인(成因) (Origin of Carbonate Flat Pebble Conglomerate of the Upper Cambrian Hwajǒl Formation, Chosǒn Supergroup, Korea)

  • 박병권;한상준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2호
    • /
    • pp.177-184
    • /
    • 1985
  • The carbonate flat pebble conglomerates (CFPC) are interbedded as lenticular bed in the greenish rhythmite of the upper part of $Hwaj{\check{o}}l$ Formation, $Jos{\check{o}}n$ Supergroup. Pebbles are composed mainly of lime-mudstone with small amounts of bioclasts and silt-sized subangular quartz grains. The matrix among pebbles is composed mainly of sparry calcite with relatively much amounts of bioclasts, silt-sized subangular quartz grains and authigenic pyrite crystals or grains. The sparry calcite of the matrix seems to be the results of neomorphism of skeletal sands and bioclasts. The pebbles are well rounded and no plastic deformations are found. Some pebbles show the outer rim of glauconite. CFPC are not associated with any other intertidal features such as stromatolites, flaser bedding and channel structures. Also any features indicative of subaerial exposure such as dessication cracks, fenestrae and so on are not found in the bed. The sedimentological features of CFPC suggest that the following conditions appear to have been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CFPC : 1) episodic deposition of thin, permeable calcareous beds separated argillaceous beds; 2) preservation of these beds near the sediment-water interface where they could become rapidly cemented; 3) erosion and redeposition of the partially lithified beds by storms or other exceptional erosional events. Eventually storm erosion and redeposition together represent only one of several critical conditions in the genesis of CFPC. The CFPC are very common in Cambrian and lower Ordovician formations, and become very rare in the younger carbonate formations. The expansion of infauna after Ordovician Period eliminated the widespread potential for rapid submarine cementation which i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to form CFPC.

  • PDF

보령 소황리 전사구의 계절별 지형변화 특성과 그 의의 (Seasonal changes in coastal dunes and its implication, Sohwang-ri, in Chungnam Province)

  • 정필모;최광희;김윤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09-122
    • /
    • 2012
  • 충남 보령시 소황리 해안을 대상으로 지난 2년간 전사구의 지형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에서 식생 및 바람 자료를 획득하고 7개의 횡단면과 1개의 고정조사구($20m{\times}50m$)에서 지형변화를 정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사구의 성장은 주로 늦겨울에서 봄 사이에 활발하였으며, 북서풍이 강한 시기와 일치하였다. 특히, 3월부터 4월까지 전사구 전면부에 퇴적이 증가하였으며, 해안선에서 25m까지 최대 30cm 두께로 모래가 쌓였다. 강풍의 증가와 식생의 생장이 모래의 이동과 퇴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태풍이나 사리에 의해 해수면이 일시적으로 상승할 때, 사구지대의 하부가 침식되었다. 사빈-사구 경계부가 바닷물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만, 일부 구간에서는 사구 전면부 전체가 영향을 받아서 사구단애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침식단면은 원래의 모습을 회복하였다.

월성 원전 주변 수생 환경 자료 구축 (Construction of Aquatic Environmental Database Near Wolsong Nuclear Power Plant)

  • 서경석;민병일;양병모;김지윤;박기현;김소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35-243
    • /
    • 2019
  • 원자력 사고 후 대기로 누출된 방사성물질이 지표 토양내 침적된 후 강우에 의하여 주변 환경으로 이동하여 지표수계를 오염시킨다. 지표 토양내 침적된 방사성핵종의 거동 평가를 위하여 수립된 지표 수계 및 토양 유실 모델의 주요 입력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월성 원전이 위치한 낙동강권역의 하천과 호수에서의 물리적 특성과 주요 생물상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원전 주변 수생 환경의 조사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여러 기관에서 제공하는 수치지도, 수문자료, 수질 및 생태환경자료 등을 수집 분석하여 자료간 상호 연계성을 갖도록 체계적인 D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수생환경 자료는 지표수계에 흡착된 방사성물질의 중장기 거동 평가를 위하여 수립된 지표수계 유동, 토사유실 및 생태계 모델의 기본 입력자료로 제공되어 종합적인 방사선영향평가에 활용될 예정이다.

황폐계류(荒廢溪流)에 있어서 사방시설물(砂防施設物)에 의한 하도고정(河道固定)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Effects of Channel Bed Fixation by Erosion Control Dams in Torrential Streams)

  • 전근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3호
    • /
    • pp.269-277
    • /
    • 1990
  • 황폐계류(荒廢溪流)에서 발생하고 있는 토사재해(土砂災害)의 방재대책(防災對策)을 수립할 경우 우선 검토되어야 할 것은 하상면(河床面)의 미지형변화(微地形變化)와 사방시설(砂防施設)에 의해 기대되는 하도고정(河道固定)을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지계류(溪流)에서 발생되고 있는 하상미지형(河床微地形)의 특성과 사방시설(砂防施設)의 배치효과를 파악하고, 이어서 모형실험(模型實驗)에 의해 그 유효성을 확인하여 저(低)댐의 군적(群的)배치에 의한 하상미지형(河床微地形)의 변화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험결과에서 저(低)댐의 군적(群的)배치가 하도고정(河道固定)에 미치는 영향은 국소세굴(局所洗掘) 방지, 유로폭(流路幅)과 퇴적역(堆積域)의 확대였다. 1. 저(低)댐 군(郡)의 배치(L'/L=1)에 의해 국소세굴(局所洗掘)을 일으키는 유수(流水)의 편류현상(偏流現象)에 대하여 댐이 유수(流水)와 토사(土砂)를 분리하여 퇴적(堆積)을 촉진시킴과 동시에 유하수(流下水)를 분산시켜 소유력(掃流力)을 감소시켰다. 따라서 횡단면변동량(橫斷面變動量)(F.A.)은 무시설(無施設)시에 비하여 약65%가 저감(低減)되었다. 2. 유로폭(流路幅)에 대한 저(低)댐군(郡)의 배치효과는 사방시설(砂防施設)의 시공구간장(施工區間長)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전 구간에 사방시설(砂防施設)을 배치하였을 경우(L'/L=1)는 무시설(無施設)시 (L'/L=0)에 비해 1.53배 확보되었다. 3. 하도내(河道內)에 이종토사(移種土砂)가 퇴적(堆積)하기 위하여는 퇴적공간(堆積空間)이 필요하며, 퇴적토사(堆積土砂)가 안정하는 조건으로 소유력(掃流力)이 감소와 함께 퇴적역(堆積域)의 확보가 필요하다. 저(低)댐군(郡)의 배치에 의해 퇴적역(堆積域)은 약 2.10배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