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osion Index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31초

계류수의 음이온과 하상재료가 수서곤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ream Anion and River-Bed Materialson Aquatic Insects)

  • 서문원;전근우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89-97
    • /
    • 1999
  • 산지계류에 서식하는 수서곤충의 종류와 서식조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강원대학교 산림과학대학 부속연습림내의 봉명천을 대상으로 수서곤충, 음이온 및 하상재료를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지점별 수서곤충의 종다양도, 종풍부도 및 균등도는 사방댐의 상류역이 하류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2. 음이온은 A, B, C, D 및 E 지점 모두 유사하였지만 하류역인 F지점에서는 상류역에 비해 최소 1.5배에서 최대 89배 이상의 이온이 검출되었다. 3. 하상재료는 상류역이 하류역보다 입경이 크게 나타났으나, 사방댐 직하부는 사방댐에 의해 하류역보다 자갈의 구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4. 수서곤충의 수는 음이온 농도에 반비례하였고, 하상재료의 크기와는 정비례하였으며, 특히 호박돌의 분포도에 크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홍수터에서의 홍수위험도 예측을 위한 홍수터 안정성 평가 지수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lood plain stability evaluation Index for flood risk assessment in floodplain)

  • 구영훈;송창근;박용성;김영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69-69
    • /
    • 2016
  • 하천은 크게 하도와 홍수터 그리고 제방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다른 국가들과 다르게 대하천사업 이후 하천의 홍수터에 생태공원이나 체육시설 등과 같은 다양한 친수시설들을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홍수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호우에 의한 하천의 홍수위 상승은 이러한 친수시설의 침식과 퇴적 등과 같은 침수피해를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Ku et al., 2013). 따라서 이와 같은 홍수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홍수터를 포함한 복단면에서의 수치해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2차원 수치해석이 바람직한 것으로 제안되고 있다(Sato et al., 1989). 또한 하천에서의 2차원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침식과 퇴적에 관한 친수시설 안정성 평가 지수를 산정할 수 있으며, 산정된 지수를 통해 홍수터에서의 홍수피해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국가에서는 국내와 다르게 홍수터에 대한 활용이 거의 없기 때문에 홍수에 따른 홍수터에서의 위험도를 평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며, 한국에서도 홍수터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에 대한 연구는 Song et al.(2016)이 다른 국가에서 활용하고 있는 제내지에서의 홍수위험도 평가 지수를 홍수터에 도입하여 실제 태풍에 의한 홍수위험도를 간접적으로 평가한 연구 정도가 대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instein-Krone 공식(1962)을 이용하여 침식과 퇴적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Transient Erosion and Deposition Index(TEDI)와 Steady Erosion and Deposition Index(SEDI)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지수를 실제 자연하천에 적용하여 태풍 사상에서의 산정된 지수를 통해 홍수터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PDF

The classification of biotop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habitat on the coastal sand dune ecosystem

  • Lee, Jeom-Sook;Jeon, Ji-Young;Ihm, Byung-Sun;Myeong, Hyeon-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3호
    • /
    • pp.167-175
    • /
    • 2012
  • Coastal sand dune systems are particularly fragile and threaten the environment. However, these systems provide fundamental ecosystem services to the nearby urban areas, acting, for example, as protective buffers against erosion. In this paper, we attempt to classify the biotope types of coastal sand dune ecosystems and select an index for the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value. The types of biotopes are categorized based on the vegetation map; floras are examined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s of hinterlands on coastal sand dunes. In addition, a naturalization rate and an urbanization index for each biotope type in hinterlands are analyzed. In the ecosystem of coastal sand dunes,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ws a higher value in sand dunes with areas of road, residential, and idle land in farm villages, rice fields, and fields. On the contrary, a lower value in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is present when typical biotope types, such as sand dune vegetation and natural Pinus thunbergii forests, are widely distributed. Based on these results,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ation rate should be used as critical indices for the assessment of the ecosystem of costal sand dunes.

신속평가방법(Rapid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한 습지평가 및 평가항목의 개선 (Wetland Assessment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Index Using Rapid Assessment Method (RAM))

  • 최종윤;김성기;윤종학;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50권3호
    • /
    • pp.314-324
    • /
    • 2017
  • 국내 습지의 가치와 등급을 평가하고 적용방안을 고찰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146개 습지를 대상으로 신속평가방법 (Rapid Assessment Method)을 이용한 습지평가를 수행하였다. 각 습지에서 평가된 8개 대항목과 주변 피복 비율 간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Self-Organizing Map(SOM)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분석을 실시하였다. 총 8개의 항목 중,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와 '미적 레크레이션' 항목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대부분 2~3등급의 가치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SOM 분석 결과,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 항목이 높은 습지에는 대부분 어류 양서 파충류 서식처 항목이 낮은 성향을 보였는데, 이는 어류 등은 식생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선호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습지 내 수생식물의 높은 풍부도는 미적인 부분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미적 레크레이션 점수가 높은 습지는 대부분 식생다양성 야생동물 서식처가 높았다. 또한, 침식조절 기능의 경우 홍수 저장 조절 기능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침식조절 기능이 높은 습지는 홍수 저장 조절 기능 또한 높은 경향을 가진다. 국내 습지에 신속평가방법을 적용한 결과, 일부 항목이 국내 습지 특성이나 범위에 맞지 않아 개선이 요구되며, 습지 보전 측면에서 '접근성'이나 '시각적 개방성' 등 항목들은 점수 체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신속평가방법을 국내 습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항목 내 평가기준의 조정 혹은 세분화, 현실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신속평가방법을 이용한 등급화는 습지의 보전이나 관리 방안 마련에 중요한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잔존하는 습지를 보존하여 멸종위기종 등 생물상 유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사료 內 Cu 및 Zn-Methionine Chelates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 and Zn-Methionine Chelates Supplem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 홍성진;임희석;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4호
    • /
    • pp.399-406
    • /
    • 2002
  • Methionine chelate 형태로 Cu 및 Zn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영양소 이용률, 혈청 IgG 수준, 근위의 손상정도(gizzard erosion index) 그리고 간과 배설물의 Cu와 Zn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갓 부화한 1,000수의 Ross$^{(R)}$ 병아리를 4처리 5반복, 반복당 50수(암수 각각 25수씩)를 배치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사료는 대조구 사료에 Cu와 Zn를 methionine chelate 형태로 100 ppm씩 단독 또는 혼합첨가하여 만들었다. 증체량은 chelate 첨가구들 모두 대조구 보다 높았고(P<0.05), 사료요구량은 chelate 첨가구들이 대조구 보다 낮았다(P<0.05). Cu와 Zn를 혼합하여 첨가한 처리구의 증체량과 사료효율은 Cu와 Zn를 단독 첨가한 처리구들보다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영양소 이용률은 Cu 및 Zn chelate 첨가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청 IgG 농도는 Cu와 Zn chelate 혼합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 0.05), 근위 궤양 정도는 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간과 배설물 내 Cu 및 Zn 함량은 사료에서 이들 광물질의 함량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P<0.05). 결론적으로 Cu와 Zn chelate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시 육계의 증체량과 사료효율을 개선시키고 혈청 IgG 농도를 증가시키며 간 내 Cu와 Zn 수준은 유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나 분 내 Cu와 Zn의 함량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eotechnical behavior of a beta-1,3/1,6-glucan biopolymer-treated residual soil

  • Chang, Ilhan;Cho, Gye-Chu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7권6호
    • /
    • pp.633-647
    • /
    • 2014
  • Biopolymers, polymers produced by living organisms, are used in various fields (e.g., medical, food, cosmetic, medicine) due to their beneficial properties. Recently, biopolymers have been used for control of soil erosion, stabilization of aggregate, and to enhance drilling. However, the inter-particle behavior of such polymers on soil behavior are poorly understood. In this study, an artificial biopolymer (${\beta}$-1,3/1,6-glucan) was used as an engineered soil additive for Korean residual soil (i.e., hwangtoh). The geotechnical behavior of the Korean residual soil, after treatment with ${\beta}$-1,3/1,6-glucan, were measured through a series of laboratory approaches and then analyzed. As the biopolymer content in soil increased, so did its compactibility, Atterberg limits, plasticity index, swelling index, and shear modulus. However, the treatment had no effect on the compressional stiffness of the residual soil, and the polymer induced bio-clogging of the soil's pore spaces while resulting in a decrease in hydraulic conductivity.

수정 IAS 지수를 이용한 강우침식인자 추정 (Estimation of Rainfall-runoff Erosivity Using Modified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Index)

  • 이준학;오경두;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8호
    • /
    • pp.619-62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월강우량을 이용하여 강우침식인자를 추정하는 기존의 방법인, Fournier 지수, modified Fournier 지수, IAS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지수 등의 적용성을 확인하고 더 합리적인 월강우량 기반의 강우침식인자 추정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월강우량 기반의 수정 IAS 지수를 새롭게 제안하였다. 이것은 연중가장 비가 많이 내린 두 달의 강우량의 합으로써 강우침식인자를 추정하는 기존의 IAS 지수의 개념을 확장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5년 이상의 21개 지점에 대한 월강우량 및 연 강우침식인자를 토대로 각 추정방법에 대한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정IAS 지수가 기존의 연강수량 및 월강우량을 이용한 추정방법 보다 우리나라 중서부 및 남서부 지역의 강우침식인자의 변동을 잘 나타내는 합리적인 지표임을 알 수 있었다.

토양 및 지형 조건에 따른 토양침식 잠재성 분석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Soil Erodibility Potential Depending on Soil and Topographic Condition - A Case Study of Ibang-myeon, Changnyeong-gun, Kyungsangnam-do, South Korea-)

  • 박인환;장갑수;이근상;서동조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1호
    • /
    • pp.1-12
    • /
    • 2006
  • Changes in the soil physical property and the topographic condition derived from agricultural activities like as farming activities, land clearance and cutting down resulted in environmental and economic problems including the outflow of nutrient from farms and the water pollution. Several theories on the soil conserv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reviewed to protect soil erosion in the regions having a high risk of erosion. This study was done using the USLE model developed by Wischmeier and Smith (1978), and model for the slope length and steepness made by Desmet and Govers (1996), and Nearing (1997) to evaluate the potential of the soil erodibility. Therefore, several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First, factors affecting the soil erosion based on the USLE could be extracted to examine the erosion potential in farms. Soil erodibility (K), slope length (L), and slope steepness (S) were used as main factors in the USLE in consideration of the soil, not by the land use or land cover. Second, the soil erodibility increased in paddy soils where it is low in soil content, and the very fine sandy loam exists. Analysis of the slope length showed that the value of a flat ground was 1, and the maximum value was 9.17 appearing on the steep mountain. Soil erodibility showed positive relationship to a slope. Third, the potential soil erodibility index (PSEI) showed that it is high in the PSEI of the areas of steep upland and orchard on the slope of mountainous region around Dokjigol mountain, Dunji mountain, and Deummit mountain. And the PSEI in the same land cover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lope rather than on the physical properties in soil. Forth, the analysis of land suitability in soil erosion explained that study area had 3,672.35ha showing the suitable land, 390.88ha for the proper land, and 216.54ha for the unsuitable land. For unsuitable land, 8.71ha and 6.29ha were shown in fallow uplands and single cropping uplands, respectively.

산불지역의 WEPP 매개변수 추정 (Estimation of WEPP's Parameters in Burnt Mountains)

  • 박상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6호
    • /
    • pp.565-574
    • /
    • 2008
  • 산불에 따른 토양의 반발수력 증대로 산지의 유출량과 토양침식량이 가중된다. WEPP모형을 산불지역에 적용하기 위한 주요 매개변수들의 최적 추정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산불지역에서 WEPP모형은 유출량이 적을 때 과대평가하고 많으면 과소평가하였으며 토양침식량이 적은 경우에도 과대 산정하는 경향이 있다. 산불지역에서 이 모형의 유출량 변화는 유효투수계수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토사유출량 변화는 유효투수계수, 초기포화도, 세류침식계수, 세류간침식계수가 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지역에서 WEPP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출량에 대해서는 유효투수조정계수를 도입하고, 토사유출량에 대해서는 세류침식조정계수와 세류간침식조정계수를 도입하였다. 유효투수조정계수는 강우사상의 최대강우강도와 식생인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세류침식조정계수는 입도분포의 토양성분 특성과 강우사상의 총강우량에 좌우되었으며 세류간침식조정계수는 최대강우강도와 식생고지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산불지역 사면에서 WEPP모형의 적용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 강릉시 산불지역에서의 토양유형의 분포와 침식양상파악을 위한 Landsat ETM 영상의 활용 (Application of Landsat ETM Image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Soil Types and Erosional Pattern in the Wildfire Area of Gangneung, Gangweon Province, Korea)

  • 양동윤;김주용;정공수;이진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764-773
    • /
    • 2004
  • 산불지역 토양의 침식양상을 구분하기위하여 강원도 강릉시 사천면 일대의 산불지역 토양을 조사하였다. 토양은 유기물의 분포양상 및 토양층의 두께, 토양층 발달의 완전성(성숙도)를 근거로 5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침식 현상은 토양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나뭇잎, 낙엽층, 뿌리, 재 그 밖의 유기물의 피복이 토양의 색과 영상 이미지 반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침식양상의 차이를 보이는 5개 유형의 토양의 Landsat ETM 영상은 토양 유형별로 상이한 반사특성을 보였다. 산불지역 토양의 정규식생지수(NDVI)와 무감독 분류는 토양유형에 따른 Landsat ETM 영상 차이를 잘 반영하기 못하였으나, 최대우도법에 의한 감독분류 기법의 적용시 산불지역에서 침식형태에 따른 토양유형 구분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산불지역에서 침식현상을 파악하고 예측하는데 Landsat ETM 영상의 활용이 매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