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stemology of the body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2초

몸의 인식론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pistemology of the Body and Christian Education)

  • 양금희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2권
    • /
    • pp.43-74
    • /
    • 2020
  • 이 논문은 몸의 인식론을 고찰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고찰한 논문이다. 본고는 메를로 퐁티, 다마지오, 넬슨의 몸의 인식론을 살펴보았는바, 이들은 철학과 뇌과학과 몸의 신학에서 각각 상이하게 연구하였지만, 모두 몸은 감각적이고 직접적 방법으로 세계를 인식하는 주체이며, 인간과 세계를 매개하는 통로가 되고, 인간의 자아형성에 결정적 역할을 한다고 보는 것에서 공통점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별히 몸의 신학은 몸이 세상을 이해하는 통로가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을 이해하는 통로가 되며, 무엇보다 몸을 '하나님의 육화(embodiment of God)'의 자리로 봄으로써, 결국은 육화된 우리의 몸이 참여하는 세상 또한 '하나님의 육화'의 자리가 되어야 함을 밝혔다. 본고는 또한 그러한 몸의 인식론을 바탕으로 하는 기독교교육을 '감각으로부터 시작하는 교육', '참여로서의 교육', 그리고 '성육신적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세 개념으로부터 본고는 몸의 인식이 전통적 지식중심교육이나 학교식(schooling) 교육의 대안적 관점을 제시하는바, 교리중심, 객관적 지식의 매개, 언어중심, 교육내용중심의 고정되고 패쇄적 패러다임을 넘어서서, 감각과 경험, 인격적 참여, 비언어적 경험, 교육의장 중심의 개방적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몸은 교육에 관한 새로운 메타포를 발견할 수 있는 자리로서 추후적으로도 기독교교육을 재개념화하는 기초적 은유를 퍼 올릴 수 있는 우물과 같은 개념임을 발견하였다.

"도덕경(道德經)"의 인식론과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사상 비교연구 (The epistemology of "Dodeok-gyeong(道德經)" and the idea of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the relation of each other)

  • 김도훈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06-119
    • /
    • 2004
  • This paper is mainly on the epistemology of "Dodeok-gyeong(道德經)" and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and the relation of each other. Amog the conclusions, following things are worth mention. The point of "Dodeok-gyeong" can be said as the epistemological "Do(道)". When it expressed as something, it cannot be the original form. This principle can be applied to "Hwangje-Naegyeong" in the flow of Gi(氣) and in the property of movement of Eumyang-Ohaeng(陰陽五行). In "Dodeok-gyeong", the notions of the relativity of all things, come out as inter promotion and interacting. It can be related to the typical etiology and pathology of the Eastern medicine, In "Dodeok-gyeong", the emphasis on woman which represents the 'Eum' also emerged well in "Hwangje-Naegyeong". "Dodeok-gyeong" emphasize on the relative value of the contrasted things, In the Easten ideas, the smallest thing can be the same as the largest thing with the exception of comparison of each other. As the same way, the human body can be the small cosmos, and the Heaven and human beings correspond to each other.

  • PDF

'불완전한 몸'의 질곡을 넘어 -50대 레즈비언의 생애이야기- (Beyond the "Deficient Body" -a Middle-Aged Lesbian's Life Story-)

  • 성정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2호
    • /
    • pp.85-109
    • /
    • 2012
  • 본 연구는 50대 레즈비언의 생애사연구로서, 연구참여자가 '지식의 주체'라는 페미니스트 인식론적 입장으로부터 '레즈비언 정체성'과 '레즈비언의 삶'에 관한 지식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구술자는 동성애 섹슈얼리티가 본질적이고 태생적인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것"이라는 생애사적 관점을 견지했으며, 구술자가 들려준 생애이야기는 동성애에 할당된 사회적 의미를 체현하고 '순응하는 몸'인 동시에 억압과 차별을 인식하고 타개하고자 실천하는 '저항하는 몸'에 관한 것이었다. 이 생애이야기에는 섹스-젠더-섹슈얼리티의 자연화된 고리를 끊어낼 만큼 고통스러웠던 화상과 '불완전한 몸'이라는 자의식으로부터 상처받은 삶의 굴곡뿐만 아니라, 이를 넘어 타자에게 진정으로 공감하고 위로하는 "복받은 몸"으로 의미를 재구성하는 놀라운 탄력성까지 오롯이 담겨져 있었다. 이렇게 연구참여자를 비정상과 병리 등의 의미가 부착된 이분법적 구분의 '성적 소수자'가 아니라, 사회적 불평등과 억압에서도 자신의 삶을 탄력적으로 살아가며 일상의 실천으로 변화를 만들어내는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에서 전혀 다른 전망을 요구한다.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어떻게 배치해할 것인가?"에 대한 전환적인 모색은 새로운 시대에 당면한 사회복지학이 제시해야 하는 중대한 전망이며, 이는 '성적 소수자'에게만 할당된 이슈가 아니라, 사회의 권력관계와 위계구조를 조직하고 억압과 불평등을 영속화하는 섹슈얼리티와 이에 연동하는 젠더에 관한 '우리 모두'의 아젠다인 것이다.

  • PDF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온택트(ontack)"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tact" Christian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 양금희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8권
    • /
    • pp.41-76
    • /
    • 2021
  • 본고는 코로나19 이후 가장 뉴노멀한 현상이 된 온택트(on-tact) 기독교교육이, 과연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결정적인 기독교교육의 형태로 남을 것인지에 대한 물음으로 시작된 논문이다. 그 물음에 답하기 위해서 본 고는 온택트 기독교교육이 대면교육은 대신할 수 없는 그만의 독자적 경험의 영역과 교육적 요소들을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 탐구하였는바, 특별히 "온택트 기독교교육의 유형", "디지털 교회 논의" 그리고 "디지털 인식론"을 중심으로 탐구하였다. "온택트 기독교교육의 유형"에 대한 탐구를 통해, 본고는 '참여'나 '소통'을 기준으로 해서 보았을 때, 온택트 기독교교육은 대면교육으로는 대치될 수 없는 독자적 경험의 영역과 교육적 요소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 "디지털 교회론"에 대한 숙고를 통해 본고는 온택트 교육이야말로 디지털 세대에게 기독교교육이 접근할 수 있는 결정적 통로라는 점을 발견하게 되었고, 네트워크 개념을 통해 공교회와 하나님나라에 대한 새로운 은유를 획득하고 그들을 재개념화 할 수 있었다. 본고는 또한 디지털 상에서 일어나는 몸과 기술 간의 확장된 몸의 인식은 디지털 상에서만 일어나는 독특한 인식방식임을 발견하였다. 이상과 같은 점을 바탕으로 해서 본고는 온택트 기독교교육이 단순히 코로나19시대의 대면교육을 보완하는 수단으로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대면교육이 대신할 수 없는 독자적 경험의 영역 및 교육적 힘을 가진 기독교교육이라는 점을 다시 확인하였고, 또한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핵심적 기독교교육의 장이자 형태로서 확장되어 갈 것이라고 예측한다.

페미니즘과 질적간호연구 (Feminism and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 이명선;이봉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65-575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describe feminism and to propose the integration of a feminist method into qualitative nursing methodology in order to expand the body of nursing knowledge. Method: The world view of feminism including philosophy,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was outlined, and a feminist grounded theory and feminist ethnography were suggested as a way of strengthening nursing research methodology using literature review. Results: Four different philosophical perspectives of feminism, that is, liberal feminism, radical feminism, Marxist feminism, and social feminism were described. Also epistemological perspectives including feminist empiricism, feminist standpoint, and postmodem feminism, were explained and were related to the methodology and methods of feminism. To enhance the strengths of nursing research within the feminist perspectives, feminist grounded theory and feminist ethnography were exemplified in the paradigm of qualitative nursing research.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ed that incorporation of feminist approaches within nursing is a valuable attempt to expand the body of nursing knowledge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services by rectifying male-oriented knowledge and by empowering women in the care of other people as well as themselves.

실재적 자연인식에 근거한 생태학적 건축 연구 (A Ecological-Architecture based on a real Perception of nature)

  • 손찬;신범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6-64
    • /
    • 2006
  • Human Being is being that have the reason as well as body, and first liaison consists through this body justly with outside. The essence of environmental problem such as today can speak that is a harmful traces for health that leave in air, water, soil that pass body. Actual nature is 'Ecological nature', that is necessary for human life directly in survival and offer the integrated relations with harmony. This grafting of principle, that is a construction for architecture and interior architecture in environment furtherance, is required. This is not a subject of usefulness and contemplation, but essential approach the cogredience, that is forming connection directly with nature, is required. Therefore, this research does Questel about 'Nature epistemology, which nature and human's relation can be integrated by alive practical relation. Through this, the Relatedness of 'Natural environment and construction surrounding' is accomplished 'the whole unity' and this research wish to investigate basis that a actual human work's environment can be completed as 'Ecological nature'.

대안적 수학교육 철학으로서의 체험주의 탐색 (Is it Possible for Johnson & Lakoff & Nunez's Experientialism to be a Philosophy of Mathematics Education?)

  • 이승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179-198
    • /
    • 2006
  • Kilpatrick(1992)은 수학교육이 전통적으로 수학 학습에 대한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주로 심리학에서 찾아왔음을 지적하고 있다. (Williams et at., 2000, 재인용). 이는 기존의 수학교육 연구가 대체적으로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교수공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왔음을 시사한다. Williams et al. (2000)은 최근의 수학교육 연구가 기존의 연구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지적하면서, 이를 학문으로서의 수학교육으로 특징짓고 있다. 본고는 학문으로서의 수학교육 연구라는 측면에서 현재 수학교육 연구에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는 체험주의의 인식론적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체험주의가 Dewey나 Merleau-Ponty와 같은 인식론적 가정을 공유하는 철학으로서 Hamlyn의 사회적 인식론이나 사회적 구성주의에 비해 수학적 지식의 보편성을 폭넓게 인정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 PDF

전쟁의 현상학-노먼 메일러의 『밤의 군대들』 (The Phenomenology of War in Mailer's The Armies of the Night)

  • 권택영
    • 영어영문학
    • /
    • 제54권2호
    • /
    • pp.217-234
    • /
    • 2008
  • Norman Mailer is one of the American writers who dramatize sensual pleasure in order to show how American idealism ends up being trapped and corrupted. The most remarkable cases are the tragic heroes of Scott Fitzgerald and the tough characters of Ernest Hemingway; while the former describes the victim of sensual pleasure, the latter brings the sensuality out from the darkness into 'the clean and well-lighted place.' In one of his most successful experimental fiction writings called 'New Journalism,' Mailer portrays the battle between the liberal left and the conservative right in the demonstration of 1967. Mailer achieves two things in this new technique. First, he demystifies the traditional epistemology grounded in the neutral and transparent narration and suggests that every narration can not escape mediation by a narrator. Secondly, he demonstrates that there is no clear distinction between good and bad. Rather, Good is nothing but a disguised form of Evil, and God is feasible only through the courageous action borrowed from Evil. In this technological world, devil is more powerful and attractive than God. This paper assumes the materiality of courage and focuses on the phenomenology of war carried out not from soul but from body, not from the consciousness but from the materiality.

조산원 출산 여성의 '자연출산' 의미와 경험 - 페미니스트 접근 (Meaning of 'Natural Childbirth' and Experiences of Women Giving Birth using Midwifery - A Feminist Approach)

  • 이은주;박영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5-148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s of 'Natural childbirth' from experiences of Korean women who gave birth to a baby in the midwifery using a feminist approach. Methods: This paper is a qualitative research study and applies a feminist epistemology and methodology to the experiences of women who gave birth in midwifery.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eleven participants. Results: Two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feminist content analyses and each main theme had three sub themes. A. transformation of control and knowledge on childbirth and the body 1) refusing coercive medicalization and building a new normality, 2) specific expectations about biological health and maternity rather than a return to nature, 3) the subject of pregnancy and childbirth, B. 'natural childbirth' practice as a new embodied discipline 1) helpers to support mothers, midwives, 2) helping the body to do 'natural childbirth', 3) from isolated labor to cooperative reproduc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omen desired to practice being a subject, consultation with professionals, self-discipline and named actors except for women as 'other subjects' in childbirth.

유·불·도 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순사상의 의의 (The Meaning of Daesoon Thoughts on the Basis of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 황준연
    • 대순사상논총
    • /
    • 제20권
    • /
    • pp.67-94
    • /
    • 2009
  • Kang Jeung-san whose real name is Kang Il-soon was a Korean born thinker who thought himself as Shangti(上帝). It is told that he made a Great Tour(大巡) upon this world. His thought was affected by Asian traditional philosophy such as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e founded a religious body, called Jeung-san-Gyo which could be formed a syncretism of East Asian traditional thoughts. We have to survey Asian traditional thoughts in order to understand Kang Jeung-san's religious thinking. According to the Great Tour Scripture(大巡典經), he have read Confucian moral books, holy Sutra of Buddha and the books of Daoism. In the field of Confucianism, he stressed upon the Book of Changes (Zou-yi; 周易). And for Buddhism, he showed great concern on a monk, Jin-mook(震黙) who lived 15th century in Chosun Dynasty. Jeung-san Shangti followed Daoistic way when he performed religious ritual. In case of performance, he was compared as a great Shaman who wanted to save the world. And the most typical ritual was called public business of Heaven and Earth(天地公事). He showed a great scale while he was touring the world in space. The most important thing, however, is to overcome the localization which seems still prevailing doctrine of the Jeung-san thought. For this, the followers of Jeung-san-Gyo should study world philosophy and accept the modernity so as to broaden Jeung-san thought to the rest of the wor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