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nephelus fasciatu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7초

Mucosubstance Histochemistry of the Epidermis in Yellowtail, Striped Beakperch, Brown Spotted Grouper, Sea Chub, and Multicolorfin Rainbowfish

  • Jeong, Gil-Nam;Jo, Un-Boc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183-189
    • /
    • 2007
  •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mucosubstances of the epidermis in various teleostean species, conventional histochemical stainings were used on the skin in five species of order Perciformes, i. e., yellowtail, Seriota quinqueradiat, striped beakperch, Oplegnathus fasciatus, brown spotted grouper, Epinephelus chlorostigma, sea chub, Ditrema temmincki and multicolorfin rainbowfish, Halichoeres poecilopterus.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periodic acid Schiff (PAS), alcian blue (AB) pH at 2.5, AB pH at 1.0, AB pH at 2.5-PAS, AB pH at 1.0-PAS, aldehyde fuchsin (AF) pH at 1.7-AB pH at 2.5 and high iron diamine (HID)-AB pH at 2.5. The epidermis of all five species consisted of three layers: superficial, middle, and basal layer. The superficial layer was comprised of rather flattened cells. In particular, the outermost layer of striped beakperch and middle layer of sea chub consisted of mucus-secreting cells. Mucous cells, the unicellular glands, were found in epidermis but varied in number in different body regions and species. Although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he amount in various species and body regions, the secretory contents of the mucous cells in the five teleostean species contained acidic mucopolysaccharides. In yellowtail, striped beakperch, and multicolorfin rainbowfish, the property of mucosubstances was identified as sialomucin, while it was sulphomucin in brown spotted grouper and sea chub.

해수사육 무지개송어 (Oncorhynchus mykiss)에 미치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 (Effect of Fish Pathogenic Viruses on Mariculture of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 김위식;장민석;김종오;전영호;오명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83-1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무지개송어의 해수면 양식장으로의 이동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담수 무지개송어 유래 병원체인 infectious hematopoietic necrosis virus (IHN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IPNV)를 사용하여 주요 해산 양식 어종인 넙치, 조피볼락, 돌돔, 참돔 및 능성어에 주사한 후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또한 해산 양식 어종 유래 병원체인 marine birnavirus (MABV), hirame rhabdovirus (HIRRV) 및 nervous necrosis virus (NNV)를 사용하여 무지개송어에 대한 병원성 및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IHNV와 IPNV는 주요 해산 양식 어종에 감염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또한 무지개송어는 해산 유래 위해 병원체인 MABV와 NNV에 감염되거나 HIRRV에 의해 폐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해수사육 무지개송어는 어류 병원성 바이러스들에 의해 영향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색강지에 대한 돌돔과 능성어의 선택반응 (Selective Response of Rock bream and Sea bass to the Color Nettings)

  • 안희춘;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1권1호
    • /
    • pp.35-40
    • /
    • 1985
  • 색망지에 대한 돌돔과 능성어의 선택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및 흑색의 다섯가지 색망지를 사용하여 시어의 반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조내에 색망지를 설치하지 않고 백색 배경 하에서 조사하였을 때, 돌돔과 능성어는 양 가쪽 구간중 어느 한 쪽으로 편중하여 분포하는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2. 돌돔은 수조의 양 가쪽 구간에 색망지를 설치한 경우가 설치하지 아니한 때보다 중간 구간에 많이 모였으나, 능성어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3. 돌돔이 많이 선택한 색망지의 순위는 황색, 흑색, 청색, 녹색, 적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4. 능성어가 많이 선택한 색망지의 순위는 녹색, 흑색, 적색, 청색, 황색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고흥반도 주변 해역에 분포하는 어류(魚類)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Fishes off Koheung Peninsula, Korea)

  • 한경호;양근석;진동수;유동재;오성현;황동식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3-157
    • /
    • 2001
  • 전라남도 고흥반도 연안 해역 연안에서 1999년 2월, 5월, 8월 및 11월에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어획물을 채집하여 어류(漁類)의 종조성 및 이절변동(季節變動)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2강(綱) 13목(目) 54과(科) 94속(屬) 123종(種), 7,197 개체, 445,529g였다. 농어목(目) (Perciformes), 쏨뱅이목(目) (Scorpaeniformes), 가자미목(目) (Pleuronectiformes) 및 복어목(目) (Tetraodontiformes) 어류가 총 102종(種)으로 전체 출현종수(出現種數)의 82.9%를 차지하였으며, 과별(科別)로는 망둑어과(科) (Gobiidae) 어류가 13종(種) 출현하여 가장 많은 종(種)이 출현하였다. 총 123종(種)의 어류 중 개체수(個體數)는 주둥치 (Leiognathus ruchalis), 전어 (Konosirus punctatus), 멸치 (Engraulis japonicus), 준치 (Ilisha elongata), 갈치 (Trichiurus japonicus), 보구치 (Argyrosomus argentatus), 망상어 (Ditrema temmincki), 복섬 (Takifugu niphobles), 쥐노래미 (Hexagramus otakii) 및 농어 (Lateolabrax japonicus) 의 10종(種)이 전(全) 개체수(個體數)의 71.4%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생체량(生體量)은 숭어 (Mugil cephalus),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 농어, 전어, 쥐노래미, 붕장어 (Conger myriaster), 꼼치 (Liparis tanakai), 방어 (Seriola quinqueradiata), 갈치,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 및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순으로 이들 11종(種)이 전(全) 생체량(生體量) 의 50.7%를 차지하여 우점하였다. 출현(出現) 개체수(個體數)와 생체량(生體量)은 고수온기인 봄, 여름 및 가을에 높았으며, 저수온기의 겨울에 낮게 나타나 수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계절별 출현종수(出現種數)는 수온이 낮은 2월에 43종(種)이 출현하여 적었고, 수온이 상승하기 시작한 5월에 80종(種)으로 가장 많았다. 종 다양성지수는 2.55~2.94로 비교적 높았으며, 5월에 가장 높았으며, 8월에 가장 낮았다. 조사 기간 중 매번 출현한 어종(魚種)은 준치, 전어, 숭어, 볼락 (Sebastes inermis), 조피볼락, 황점볼락 (Sebastes oblongus), 쏨뱅이, 노래미 (Hexagrammos agramus), 쥐노래미, 농어, 주둥치,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두줄망둑 (Tridentiger trigonocephalus), 줄망둑 (Acentrogobius pflaumi) 및 문치가자미로 본 해역에 우점하는 연안 정착성 주거종이었다. 고흥반도 해역에서 경제성을 갖는 어종은 전어, 멸치, 준치, 볼락, 조피볼락, 황점볼락, 쏨뱅이, 양태, 노래미, 쥐노래미, 농어, 붉바리 (Epinephelus akaara), 능성어 (Epinphelus septemfasciatus), 방어, 보구치, 갈치, 덕대 (Pampus echinogaster),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돌가자미 (Kareius bicoloratus), 문치가자미 및 검복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