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medium koreanum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49초

음양곽(淫羊藿)이 토끼의 수축혈관에 미치는 이완효과 (Relaxation Effect of Epimedium Koreanum Extract on Rabbit Carotid Artery)

  • 노병진;박선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30-73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sorelaxant effect of Epimedium koreanum(EK) extract on rabbit carotid artery. In this study, to determine vasorelaxant effect of EK extract on rabbit carotid artery, arterial rings with intact or damaged endothelium were used for experiment using organ bath, and were contracted by norepinephrine(NE). After being contracted, arterial rings were treated with EK extract in a dose-dependent manner To study its mechanism, the contracted arterial rings induced by NE were pretreated with indomethacin(IM), $N_{\omega}$-nitro-L-arginine(L-NNA), methylene blue(MB) or tetraethylammonium chloride(TEA) and 0.1 $mg/m{\ell}$ EK extract was add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K extract on influx of extracellular calcium chloride($Ca^{2+}$) in rabbit carotid artery, in $Ca^{2+}$-free krebs solution, krebs solution containing 1 mM $Ca^{2+}$ was infused into the contracted arterial ring by NE after pretreatment of EK extract. To measure the cytotoxicity of the EK extract, cell viability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HUVEC)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nitric oxide(NO) was measured by Griess reagent. The EK extract significantly was relaxed the arterial ring with intact endothelium contracted by NE, but the vasorelaxant effect of the EK extract was inhibited in the arterial rings with damaged endothelium. The vasorelaxant effect of the EK extract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IM-pretreatedand and non-treated arterial rings. The vasorelaxant effect of EK extract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when arterial rings were pretreated with L-NNA, TEA, MB. And in $Ca^{2+}$-free krebs solution, increasing of arterial contraction by $Ca^{2+}$ addition were also inhibited by the treatment of EK, but not significant. The treatment of EK extract was increased NO concentration in HUVEC.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vasorelaxant effect of EK extract would be related with EDHF and NO production and increasing of cyclic GMP.

음양곽(淫羊藿)의 토끼 음경해면체 평활근 이완효과 (Relaxation Effec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in Isolated Rabbit Corpus Cavernosum Smooth Muscle)

  • 김태연;김호현;박선영;박종필;김정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69-177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xation effects and its underlying mechanisms of Epimedium koreanum Nakai(EK) in phenylephrine(PE) treated isolated rabbit corpus cavernosum smooth muscle. The dose-dependent relaxation responses of phenylephrine(PE, $1{\times}10^{-6}M$)-precontracted strips to EK at $0.01-3.0mg/m{\ell}$ were measured and also observed after endothelial denudation using organ bath. To analyze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EK-induced relaxation, $N{\omega}$-nitro-L-arginine(L-NNA), methylene blue(MB), tetraethylammonium chloride(TEA), indomethacin(IM) were pretreated before EK extract infused into precontracted strips induced by PE. To investigate cytotoxic activity and nitric oxide(NO) concentration of EK extract on EA.hy926 cells, mitochondrial dehydrogenase activity(MTT) assay and nitric oxide detection kit were used. The cavernous strips were significantly relaxed by EK extract at $0.3mg/m{\ell}$, $1.0mg/m{\ell}$, $3.0mg/m{\ell}$ and the relaxation responses of PE-precontracted strips denuded endothelium also inhibited in comparison with intact endothelium. The pretreatment of L-NNA, MB, TEA reduced EK extract-induc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but the pretreatment of IM didn't affect EK extract-induce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When EK extract was applicated on EA.hy926 cells, the N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Our findings have shown that EK extract exerts a relaxing effect on corpus cavernosum in part by suppressing influx of extracellular $Ca^{2+}$ through activating the NO-cGMP system.

음양곽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촉진 효과 (The Stimulatory Effec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Extract on Melanogenesis)

  • 이응지;배성윤;이용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65-270
    • /
    • 2009
  • 멜라닌 생합성을 활성화하여 자연스러운 모발의 흑화를 촉진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음양곽 메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에 연관된 생리 활성을 분석하였다. 음양곽 추출물은 $100\;{\mu}g/mL$ 이하에서 세포 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50\;{\mu}g/mL$ 농도에서 B16 melanoma 세포 내 멜라닌 생합성을 104 % 증가시켰고 tyrosinase의 활성을 95 %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stern blot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음양곽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으로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C3H/Hej 마우스를 이용한 동물 실험에서 음양곽 추출물을 도포한 등 부위 털의 멜라닌 생합성이 5 % (w/v) 도포 시 25 % 증가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음양곽 메탄올 추출물이 멜라닌 생합성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yrosinase의 활성 촉진, 멜라닌 생합성 기전과 melanocyte 생존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RP-2의 발현 증가를 통해 멜라닌 합성 촉진을 유도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음양곽 추출물의 효능을 이용해 모발의 흑화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 소재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음양곽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erial Part of Epimedium koreanum NAKAI)

  • 이종원;도재호;이성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32-736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양곽의 기능성 연구의 일환으로 폐놀 성 화합물의 추출방법과 DPPHdp 의한 수소공여능, linoleic acid의 산화방지활성 및 LDL에 의한 항산화활성 등을 중심으로 연구한 결과이다. 음양곽에 60% ethanol를 첨가하여 추출회 수별 폐놀성 화합물을 조사한 결과 3회까지 추출했을 때 약 96%가 추출되었기 때문에 추출 횟수는 3회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60% 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3회까지 추출했을 때 약 22%이었다. 추출 용매에 따른 폐놀성 화합물의 추출 효율은 물 추출구를 100%로 했 을 때, 60% ethanol 추출구는 140%, 그리고 60% ethanoldyddor으로 추출한 뒤 농축하여 물 로 부피를 재조정한 구는 133%로 조사되었다. 항산화활성 조사에서 DPPHdp 의한 수소\ulcorner 여활성은 반응초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반응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Linoliec acid 산화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는 700 ppm 농도에서 약95% 산화저해율을 나타났 으며, LDL에 대한 산화방지 효과는 500 ppm 농도에서 산화저해율이 약 70%로 나타났다.

  • PDF

삼지구엽초 용매별 분획 추출물의 면역관련 활성 (Immunological Activity of Solvent Fraction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 박명수;김서진;왕준;김광희;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0-115
    • /
    • 2012
  • 본 연구는 삼지구엽초의 기능성식품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써 우리나라 산야에서 존재하며 예로부터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삼지구엽초를 극성에 따라 용매별 분획 추출물들의 면역관련 활성을 검토하였다. 삼지구엽초 분획물별 생육촉진 활성은 B와 T cell 모두에서 에틸아세테이트와 물 분획 추출물이 대조구에 비해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도 증가하였다.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돌연변이 및 항돌연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삼지구엽초 추출물뿐만 아니라 각 용매별 분획물들도 돌연변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간접변이원 B(${\alpha}$)P에서는 TA98 균주에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98%,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84%로 가장 높은 억제효과를 보였다. 직접변이원 4NQO에서는 TA98 균주와 TA100 균주에서 클로로포름 분획 추출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가 70% 이상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TA98 균주에서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이 80%, TA100 균주에서는 부탄올 분획 추출물이 90%의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삼지구엽초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소재로서의 이용성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cariin 함량에 따른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추출조건 및 항산화 효과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thanol Extracts of Epimedium Koreanum Nakai Containing Different Icariin Quantity)

  • 김서진;오덕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59-364
    • /
    • 2007
  • 본 연구는 Icariin 함량별로 재배된 삼지구엽초의 추출조건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추출 수율은 열수 추출에서는 $90^{\circ}C$에서 7시간, 에탄을 추출에서는 70%와 $50^{\circ}C$에서 3시간 추출한 경우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열수추출보다 에탄을 추출이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에탄을 추출농도는 100%(추출수율 22.7%)보다는 50%와 70%농도에서 각각 추출수율이 각각 37.3%와 39.3%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에탄올 추출시 추출시간과 추출온도 보다는 추출 용매농도가 추출 수율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ariin 함량별 추출수율은 열수 추출과 에탄을 추출 모두 icariin 함량 $0.5{\sim}0.6%$인 대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icariin 함량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KE9412가 $70^{\circ}C{\cdot}7$시간에서 $34.9({\mu}g/mL),\;90^{\circ}C{\cdot}3$시간에서 $28.4({\mu}g/mL)$로 같은 추출조건에서 KE9405의 $114.3({\mu}g/mL)$$83.1({\mu}/mL)$에 비하여 각각 3.2배와 2.3배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70% 에탄올 $70^{\circ}C$7시간 추출물로부터 유기 용매별로 순차적으로 분획한 결과, 추출수율은 KE9405와 KE9412 모두 butanol 분획층에서 각각 36.2%와 42%로 가장 높았고 항산화 활성도 butanol 분획층에서 $39.2{\mu}g$으로 가장 높았으며, ethylacetate$(49.0{\mu}g)$, 물$(118.8{\mu}g)$, heaxane$(119.8{\mu}g)$, chloroform$(138.5{\mu}g)$층으로 나타났다.

Icariin 함량에 따른 삼지구엽초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면역활성 (Antimutagenicity and Immuno Activity of Extracts from Epimedium koreanum Nakai Containing Different Icariin Quantity)

  • 박명수;김서진;페레이둔 포가니;라만;어지현;은종방;오덕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38-945
    • /
    • 2011
  • 예로부터 삼지구엽초는(Epimedium koreanum Nakai)는 한방에서 강장, 강정, 이뇨 등의 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삼지구엽초의 주성분인 icariin의 함량에 따른 항돌연변이 및 면역활성을 탐색하여 향후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Ames test 결과, icariin 함량에 따른 삼지구엽초 추출물은 TA98 및 TA100 균주 모두에서 집락수가 음성대조군에 비하여 농도 변화에 따른 집락수의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변이균인 B(a)P 항돌연변이 실험에서는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80% 그리고 90% 이상을 그리고, 직접변이균인 4NQO 항돌연변이균에서는 70% 이상으로 icariin 함량이 많은 순인 KE9412, KE9408, KE9405 순으로 항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각각 나타내었다. 인간면역세포인 B와 T 세포를 이용한 면역활성 실험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icariin 함량이 적은 KE9405가 1.8배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나,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열수 추출물과는 반대로 icariin 함량이 많은 KE9412가 1.74배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삼지구엽초는 항돌연변이능과 면역활성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효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외 수집 삼지구엽초의 형태적 특성 및 유연관계 분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APD analysis of Epimedium spp.)

  • 임정대;성은수;최강준;김승경;정일민;허권;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2-108
    • /
    • 2000
  • 삼지구엽초(E. koreanum)의 엽면적, 엽장, 엽서, 화색, 거( 距, spur)의 조사를 통하여 국내종과 국외종사이의 유전적 거리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기공형태와 모용, 종자등의 형태적 특성이 조사되었다. 삼지구엽초 수집종 17 개체에서 추출한 genomic DNA를 사용하여 RAPD를 위한 primer를 선발한 결과 8개의 primer가 선발되었으며 이들 8개의 primer는 G+C의 수가 모두 50% 이상이었다. 삼지구엽초 수집종의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크게는 2개의 group으로 나누어졌으며 큰 group의 유사도는 0.65로 나타났다. 철원의 일부 수집종(철원 4, 5)과 일본종을 포함하는 군(group II)과 국내종과 중국종, 그리고 일부 일본종을 포함하는 군(group I)으로 나뉘어지고 국내종과 중국종, 그리고 일부 일본종을 포함하는 군(group I) 다시 3개의 subgroup으로 나뉘어졌다. 전체 17개체에 유사도는 $0.6{\sim}0.9$의 상동성을 보여 높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subgroup은 0.75부근에서 분포되어 있으며 같은 subgroup내에서는 0.8-0.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 PDF

삼지구엽초의 근주저장방법에 따른 맹아 및 초기생육 (Effect of Root Preservation of Epimedium koreanum on Bud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 박병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65-168
    • /
    • 1997
  • 1. 맹아의 지상부 출현율은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 노천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가장 높은 맹아출현율(95%)을 보였으며 외관상 눈이 없었던 근경의 경우에 노천매장 후 $15^{\circ}C$의 생장상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이 75%로 가장 높은 맹아출현율을 나타냈다. 2. 외관상 눈의 유무에 관계없이 노천매장 후 $15^{\circ}C$의 생장상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는 근경당 1개의 맹아가 출아되는 경향이었으며 노천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에서 근경당 2개 이상의 맹아가 출아되는 경향이 현저하였다. 3. 외관상 눈의 유무와는 관계없이 층적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의 초장이 가장 길었으며 외관산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 충적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가 최대의 엽면적을 나타냈다. 4.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 노천매장 후 $25^{\circ}C$의 온실내 포트에 이식한 근경에서 출현한 개체의 뿌리가 가장 길었으며 이들 뿌리에서 새로 생성되어 출아한 신아수는 외관상 눈이 있었던 근경의 경우에는 무처리에서, 눈이 없었던 경우에는 층적매장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