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lepsy Self Manageme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간질교육 프로그램이 성인 간질환자의 자기효능과 자기관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Epilepsy Education Program on Self Efficacy and Self Management in Patients with Epilepsy)

  • 박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405-41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a epilepsy education program as a nursing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 epilepsy. A quasi treatment research (non 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40 epilepsy patients visiting an outpatient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in Daegu city.(treatment group : 20 patients, control group : 20 pati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998 to September, 1998. Data was collected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pretest), immedately after(posttest 1) and 4 weeks later(posttest 2) and were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s ANOVA, t-test, Chi-sqar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pilepsy self efficacy between two groups(F=26.27, p=.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etest, posttest 1 and posttest 2(F=111.20, p=.000),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eatment and time(F=109.42, p=.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pilepsy self management between two groups(F=78.02, p=.000).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pretest, posttest 1 and posttest 2 test(F=94.02, p=.000), and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eatment and time(F=88.14, p=.000).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r=.76, p=.000) between epilepsy self efficacy and epilepsy self man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epilepsy education program is effective ill promoting self efficacy and self management of the patient with epilepsy. Thus this program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epilepsy patients.

  • PDF

간질 아동의 자기효능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mpowering A Self-Efficacy (EASE) Program for Children with Epilepsy)

  • 유하나;김희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4-63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effects of the Empowering A Self-Efficacy (EASE) program on self-efficacy, self-management, and child attitude toward illness in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Participants were 10 to 15 year old children with epilepsy (11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who were registered at one hospital in S cit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EASE program for 3 weeks. In the first week, a group meeting lasting 570 minutes was conducted on a single day. Over the next two weeks, telephone counselling was conducted twice a week.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pre-post evaluation of the epilepsy self-management scores in the experimental group. However,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or seizure self-efficacy and child attitude toward illness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o develop and evaluate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epilepsy.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EASE program.

Epilepsy 환아에서 야기된 이순구 교상을 soft mouth guard로 치료한 증례 (TREATMENT FOR EPILEPSY PATIENT WITH BITING INJURY ON MENTOLABIAL SULCUS USING SOFT MOUTH GUARD : A CASE REPORT)

  • 김태완;김영진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0
    • /
    • 2008
  • 비정상적인 교상을 예방하기 위한 정확한 protocol은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전치부를 발치하는 등의 침습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이전에 soft mouth guard를 사용하는 등의 보존적인 방법을 먼저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되며, 보다 양호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관계되는 전문가들과의 협진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ffects of an Algorithm-based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Care for Children with Epilepsy by Hospital Nurses

  • Lee, Jung Hwa;Ju, Hyeon Ok;Lee, Yun Jin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324-332
    • /
    • 2019
  • Purpose: Epilepsy is the most common neurological disorder in childhood. Hospital nurses, who are the first to recognize seizures in epilepsy patients in the ward environment, possess expertise related to epilepsy and play a central role in epilepsy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lgorithm-based education program and to improve nurses' knowledge and self-efficacy related to providing nursing care to children with epilepsy. Methods: Th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lectures on the definition, cause, classification, diagnosis, treatment, and nursing of epilepsy based on a booklet, as well as practice using an algorithm for nursing interventions when a child experiences a seizure. Twenty-seven nurses working at pediatric neurological wards and a pediatric emergency room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paired t-test. Results: Nurses' knowledge and self-effic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participation in the education program on nursing care for children with epilepsy.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his education program for hospital setting is expected to improve nurses' capability to care for children with epilepsy, thereby contributing to a higher quality of nursing.

The Role of Pharmacists' Interventions in Increasing Medication Adherence of Patients With Epilepsy: A Scoping Review

  • Iin Ernawati;Nanang Munif Yasin;Ismail Setyopranoto;Zullies Ikawat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3호
    • /
    • pp.212-222
    • /
    • 2024
  • Objectives: Epilepsy is a chronic disease that requires long-term treatment and intervention from health workers. Medication adherence is a factor that influences the success of therapy for patients with epilepsy.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ole of pharmacists in improving the clinical outcomes of epilepsy patients, focusing on medication adherence. Methods: A scoping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through the ScienceDirect, PubMed, and Google Scholar databases. The literature search included all original articles published in English until August 2023 for which the full text was available. This scoping review was carried out by a team consisting of pharmacists and neurologists following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Extension for Scoping Reviews and the Joanna Briggs Institute guidelines, including 5 steps: identifying research questions, finding relevant articles, selecting articles, presenting data, and compiling the results. Results: The literature search yielded 10 studies that discussed pharmacist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epilepsy. Five articles described educational interventions involving drug-related counseling with pharmacists. Two articles focused on similar pharmacist interventions through patient education, both verbal and written. Three articles discussed an epilepsy review service, a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program involving pharmacists and other health workers, and a mixed intervention combining education and training with therapy-based behavioral interventions. Conclusions: Pharmacist interventions have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epilepsy. Furthermore, these interventions play a crucial role in improving other therapeutic outcomes, including patients' knowledge of self-management, perceptions of illness, the efficacy of antiepileptic drugs in controlling seizure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특성 분석 (Analyzing Driving Risk Self-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 최성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23-231
    • /
    • 2020
  • 노인 운전자는 기능저하로 인해 사고 위험성이 증가하지만 스스로 변화를 점검하는 자가-조절 능력 또한 발달한다. 이에 실제 노인 운전자가 운전 능력과 위험성 변화에 대응하는 특성에 대한 정보는 노인의 운전 능력 평가 현장과 연구에 의미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특성을 운전 중 행동과 운전관련 기능변화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노인 운전자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운전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평가를 실시하고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징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노인 운전자가 시각 및 청각이 저하되거나 운전 여건 변화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때 운전 위험성을 자각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약물 복용이나 간질, 발작, 의식손실 등 의학적 건강 상태 변화에는 둔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한국의 노인 운전자 안전 관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아동 보호자의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Caregivers' Knowledge, Concerns and Management of Pediatric Febrile Convulsions)

  • 곽애리;김진선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49-158
    • /
    • 2014
  • 목적 열성경련 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염려 및 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대상자 특성에 따른 지식, 염려 및 관리 점수의 차이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 대상자는 아동의 열성경련을 경험한 일 지역의 아동 보호자 133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또는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열성경련에 대한 아동 보호자들의 지식수준은 낮았으며(정답률 48.5%), 잘못된 편견으로 인한 열성경련에 대한 염려수준은 높았고(3.44점), 열성경련의 발생 시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있었다(정답률 64.4%).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과 염려 점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과의 관계가 어머니인 경우보다 친인척이나 기타였던 경우 그리고 대상자가 기혼자였던 경우보다 이혼, 사별 및 기타였던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식점수는 낮았으며 염려점수는 높았다. 또한 이전에 열성경련을 경험하지 않았던 아동 보호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식점수가 낮았다. 또한 지식 점수와 염려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식 점수와 대처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아동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아동의 열성경련에 대한 지식 및 관리 수준을 높이고, 열성경련에 대한 잘못된 편견으로 인한 불필요한 염려 수준을 낮추어 주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평가가 요구된다.

특수학교의 보건관리 (Health Management and Services of School-Nurse in Special Schools)

  • 이경희;박재용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6-192
    • /
    • 1991
  • 특수학교 보건관리의 방향 설정과 특수학교 양호교사 업무 수행에 있어 질적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전국의 102개 특수학교 양호교사를 대상으로 1991년 2월 1일부터 1991년 3월 31일까지 우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77개 학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특수학교의 67.5%가 사립이고, 83.2%가 시 이상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정신지체학교가 48.1%로 가장 많았다. 특수학교의 평균 학급수는 17.2학급, 평균학생수는 194명, 평균교직원 수는 28명이었다. 양호교사의 평균 연령은 32.7세였고, 97.4%가 전문대학 이상 졸업자였으며, 71.4%가 기혼자였고, 79.2%가 임상이나 보건과 관련된 분야의 과거경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2.3%의 양호교사가 단독 업무를 보고있었으며, 77.9%가 초등에 소속되어 있었다. 대상 특수학교 양호실은 68.9%가 l층에 위치해 있었고, 학교보건 조직은 90.9%가 구성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교보건 인력으로 교의, 치과의, 학교 약사 모두를 위촉하고 있는 곳은 18.2%에 불과했다. 학교보건에 관한 연간 예산은 양호교사의 46.8%가 모르고 있었으며, 학교당 평균 년간지출액은 317,000원으로 그 중 의약품 구입비가 제일 많았다. 학교당 월 평균양호실 이용자수는 71명이었고, 학생 1인당 연간 양호실 이용은 4.4회였으며, 외상으로 인한 이용이 26.6%로 가장 많았다. 양호실 이용자중 1.4%가 의료기관에 의뢰되었는데, 시각장애학교는 고열, 정서장애학교는 골절, 다른 영역학교는 외상으로 가장 많이 의뢰하였다. 특수학교 아동 중 간질 학생수는 956명으로 조사 대상학교 학생수의6.4%를 차지하고 있었다. 신체검사를 2회 이상 실시하고 있는 학교는 22.6% 밖에 되지 않았으며, 98.7%가 보건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성교육은 98.7%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보건교육은 개인 위생에 가장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시각장애 학교는 방송교육, 청각장애 학교는 OHP나 VTR, 다른 영역의 학교는 가정통신문이나 OHP VTR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육매체였다. 대상 양호교사의 46.8%가 학교보건관리중 보건교육이 가장 어렵다고 하였으며, 중점개선내용으로 49.4%가 특수학교 보건관리에 대한 구체적인 업무 지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사업계획 및 평가, 양호실 관리, 보건교육, 환경관리, 건강관리 등의 양호교사 업무 수행은 비교적 높은 수행율과 자신감을 나타냈으나, 그 중 학교보건 사업의 평가, 체력검사, 보건교육 후 평가, 학교정화구역 관리, 상처 봉합에 대한 수행율과 자신감이 비교적 낮았다. 따라서 특수학교 보건관리의 방향설정과 양호업무의 질적수준 향상을 위하여 학교보건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업무지침의 개선과 특수학교 양호교사에 대한 별도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