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Cortex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4초

인삼품질에 있어 체형과 화합물과의 관계 (Shape and Compound Relationship in Ginseng Quality)

  • 박훈;이미경;조병구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3-138
    • /
    • 1988
  • 인삼품질에 대한 전통개념을 역사적 경험, 전통적 품질관리방법 및 분석적 방법과 관련하여 조사하였다. 전통개념은 생명과 우주가 하나라는 한국의 기본사상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전통품질관리법에서 모양과 크기는 특정한 조직, 세포 및 세포내의 생리적 활성물질을 규정하기 때문에 전통품질관리법은 분석방법이 활성물질을 찾아가는 지도가 될 것이다. 전통법은 생물활성 물질간의 균형이 한 물질의 함량보다 중요하며 인체의 항샹성을 위한 활성물질의 작용양식도 여러 화합물, 여러 목표체계인 것으로 보인다. 인삼이 클 수록 중심부가 더 빨리 크고 중심부에는 질소화합물이 많기 때문에 전통법은 질소 화합물 특히, 수용성 단백질과 열안정단백질들이 활성물질의 균형에 있어 중요함을 강력히 시사한다. 생물활성물질의 균형은 삼속의 종간 사용방법의 차이와 의미있게 관계를 보인다.

  • PDF

붉은쏨뱅이 (Sebastiscus tertius) 피부계의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특징 (Ultrastructure and Histochemistry on the Integumentary System of the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Teleostei: Scorpaenidae))

  • 백재민;김철원;임상구;이제봉;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2호
    • /
    • pp.83-93
    • /
    • 2004
  • 붉은쏨뱅이의 피부 상피층은 다층상피층으로 지지세포, 선세포, 과립세포 그리고 mitochodria-rich cell들로 구성된다. 상피층은 지지세포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표면층, 중간층 및 기저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점액세포들은 단세포선으로 상피의 표면층과 중간층에 분포하며, 산성의 비황화 뮤코다당류로 구성된 점액을 가진다. 곤봉상세포는 세포질에 잘 발달된 중심공포, 조면소포체 및 골지체를 가진다. 과립세포는 표면층에 존재하며,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을 가진다. mitochodria-rich cell의 주변부 세포질에는 미세섬유 다발이 발달되어 있으며, 수질부에는 다수의 관상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색소세포는 세포질에 존재하는 함유물의 전자밀도에 따라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적변인삼 유발 물질 구명 I. 항산화 활성을 중심으로 (Studies on the Causal Component of Rusty-Root on Panax ginseng I. Antioxidative Activity Oriented)

  • 이성식;이명구;최광태;안영옥;권석윤;이행순;곽상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113-117
    • /
    • 2000
  • 적변인삼의 원인 물질을 구명코저 인삼뿌리의 적변현상과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적변뿌리와 건전뿌리의 각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적변삼의 표피와 피층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SOD) 활성(units/mg protein)은 각각 126.9와 79.6으로 정상뿌리에 비해 각각 3.5배, 2.0배 높았다. 적변뿌리의 catalase활성은 약 1.6배 높았으나, peroxidase 활성은 오히려 약간 낮았다. 적변뿌리 각 조직의 DPPH 자유라디칼 포착활성은 정상뿌리에 비해 약 2.0배 높았다. 정상뿌리의 ascorbate 함량은 조직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지만(166~240 $\mu$g/g fr. wt.), 산화형dehydroascorbate(DHA) 함량이 전체 ascorbate 함량의 약 97~79%를 차지하였다. 적변뿌리의 전체 ascorbate함량은 정상뿌리와 비슷하였지만 환원형 ascorbate의 함량은 조직에 따라 다르지만 정상뿌리에 비해 3.5~7.5배 높았다. 적변뿌리의 표피조직, 피층조직, 중심주 조직의 전체 glutathione 함량은 정상조직에 비해 각각 7.3배, 4.8배, 1.2배 높았다. 적변화에 따른 환원형 glutathione(GSH)과 산화형 glutathione(GSSG)의 함량비는 전체 glutathione 함량변화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인삼의 적변조직은 어떤 외부스트레스에 의해 과다하게 발생되는 활성산소종을 제거하기 위하여 SOD 활성, 환원형 ascorbate 함량, 환원형 glutathione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acrophomina phaseolina에 의한 콩 균핵마름병(가칭) 발생 (First Report of Charcoal Rot Caused by Macrophomina phaseolina on Glycine max in Korea)

  • 고영미;최지영;이영희;김흥태
    • 식물병연구
    • /
    • 제26권1호
    • /
    • pp.29-37
    • /
    • 2020
  • 2016년 콩을 재배하는 포장에서 마름 증상에 의한 콩의 피해가 심하게 발생하였다. 유묘기 때에는 잘록 증상과 자엽에 갈색 또는 검은 색의 반점이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8월 이후 개화기에는 지상부 잎이 황화되기 시작하면서 부분적으로 갈변되었다. 이 시기에 채집한 콩의 뿌리는 생육이 많이 억제된 상태이며, 표피가 벗겨지면서 균핵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9월 이후부터는 지상부의 마름 증상이 더 뚜렷해졌으며 고사하기 시작하였고, 수침상 병징을 보이던 줄기에도 균핵이 형성되었다. 수확기인 10월 중순 이후에는 줄기의 표피가 벗겨지면서 피층 부위에 소립균핵이 다량으로 형성되었다. 이런 병징으로부터 분리한 병원균은 32-35℃에서 균사 생육이 가장 양호하였고, 소립균핵의 형성은 20-28℃에서 가장 많았다. 병원균의 균학적인 형태 관찰과 internal transcribed spacer 영역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병원균은 Macrophomina phaseolina로 동정되었다. 또한 이쑤시개를 이용한 인공접종에서도 포장에서와 같은 병징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재분리에서도 동일한 병원균이 분리·동정되었다. 그 결과 이 병을 콩 균핵마름병(가칭)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토양중(土壤中) 비소(砒素)의 행동(行動)과 수도(水稻)의 비소흡수(砒素吸收)에 의(衣)한 피해생리생태(被害生理生態)에 관(關)한 연구(硏究);V. 토양중(土壤中)의 비소함량(砒素含量)이 수도근(水稻根)의 생태(生態)에 미치는 영향(影響) (Behaviors of Arsenic in Paddy Soils and Effects of Absorbed Arsenic on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ce Plant;V.Effect of arsenic added to soil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rice plant)

  • 이민효;임수길;박영대;이숙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1-25
    • /
    • 1988
  • 비소(砒素)의 토양처리(土壤處理)에 의(依)한 수도근(水稻根)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해 비소를 토양이 농도별(濃度別)로 처리(處理)하고 수도(水稻)를 재배(栽培)하여 근의(根) 제형질(諸形質) 및 조직내(組織內)의 변화등(變化等)을 조사(調査)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수도(水稻)의 근수(根數) 근장(根長) 및 근경(根徑)은 토양중(土壤中) 비소농도(砒素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減少)되었으며 중심주(中心柱)의 직경(直徑)도 크게 좁아졌다. 한편 토양(土壤)에 비소(砒素)를 처리(處理)한 구(區)에서는 수도근(水稻根)의 피층내(皮層內) 이상세포(異常細胞)가 발생(發生)하였으며 비소처리농도(砒素處理濃度)가 높을수록 그 수가(數) 더 증가(增加)하였다. 근의(根) 부위별(部位別) 이들(細胞)의 발생정도(發生程度)를 보면 이들 세포(細胞)는 근단부(根端部)를 제외(除外)한 중간부(中間部)와 상위부(上位部)에서만 발생(發生)하였다. 또한 이들 세포(細胞)는 표피조직(表皮組織)이 없는 근(根)의 형상(形狀)을 하고 있었다. 따라서 토양중(土壤中) 비소처리(砒素處理)에 따라 수도근(水稻根)의 피층내(皮層內) 이상세포(異常細胞)의 발생(發生)은 뿌리에 유해물질(有害物質)을 과다(過多)하게 축적(蓄積)한 근에(根)서는 뿌리의 수분(水分) 및 무기양분(無機養分)의 흡수기능(吸收機能)이 저해(沮害)를 받으므로 이를 보충(補充)하기 위한 수단(手段)으로 이들 세포(細胞)가 발생(發生)되었거나, 뿌리에 유해(有害)한 물질(物質)의 침투(侵透)에 대(對)한 방어수단(防禦手段)으로 발생(發生)된 것으로 추정(推定)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