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rmis-Cortex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2종 천남성(天南星)의 외부(外部) 및 내부형태(內部形態)에 대한 연구 (The external and internal morphological standard of original plants and herbal states in 2 kind of Arisaematis Rhizoma)

  • 김홍준;윤주봉;주영승
    •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 /
    • 제12권2호통권17호
    • /
    • pp.63-73
    • /
    • 2006
  • In the original plant of Arisaematis Rhizomas, the features of external and internal shape of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N_{AKAI}$ and A. amurense $_{MAXIM}$. are as follows. 1. In the external shape of original plant,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N_{AKAI}$ has high stem, an oval-elliptic leaflet and a serrate leaf margin. But A. amurense $M_{AXIM}$ has a relatively low stem, an upside oval leaflet and no serrate leaf margin. 2. On the herbs character of original plant, Ansaema amurense var. serratum $N_{AKAI}$ is small in height and diameter, but A. amurense $M_{AXIM}$ is relatively large in height and diameter. 3. On the gathered herbs character of original plant, the section of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N_{AKAI}$ is brightly white, easily spilt and strong scent. But the section of A. amurense $M_{AXIM}$ is thin yellowish brown, not easily spilt and weak scent. Also the grade of gathered herbs, both can be classified by diameter and external scent. 4. In the current herbs character, Korean and Sichuan Province products are irregullar shape and have no scent, Jilin Province products are regular shape. Also, Guangxi Province products are small size and concave in one side, Hebei Province products are irregular size and shape. 5. In internal shape of original plant, epidermal cell of 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 is very tight. With the except of micro difference in parenchyma cell of cortex, on the whole there are nearly no differences with A. amurense $M_{AXIM}$. Also, samely in the internal shape, according to collecting sites, epidermis exhibits a lot layer in curving state and secreting duct is developed and vascular bundle and exists between parenchyma cell of cortex. In the future,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distinguish herb and effect between same genus-degree of relatedness.

  • PDF

미역김의 제조와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제 1 보 : 미역김의 조직화학적 특성 - (Studies on the Manufacture of Underia pinnatifida Laver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 I. Histochemical Properties -)

  • 김길환;김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6-341
    • /
    • 1982
  • 미역김의 제조와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계속 연구로 실시한 미역김의 조직화학적 특성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역잎은 표층, 피층, 속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미역김의 결합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피층과 속층이 완전히 파괴되었고 표층세포끼리 결합되어 있었다. 미역김 절편을 $Na_2CO_3$용액 처리로 알진산을 추출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검경한 결과 알진산이 추출된 결합부위는 periodic acid schiff reagent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한편 미역잎을 $Na_2CO_3$용액으로 미리 처리하여 알진산을 추출한 후에는 정상적인 미역김을 제조할 수 없었고 비정상적인 결합구조이었으므로 알진산이 미역김의 결합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역김의 결합부위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알진산의 결합위치는 미역김의 표층세포막과 세포막사이임이 밝혀졌다. $Na_2CO_3$용액을 처리한 미역잎으로 제조한 비정상적인 미역김의 결합구조는 표층세포껍질로 인지되는 물질만이 서로 엉켜 있었다.

  • PDF

인삼(人蔘)의 부위별(部位別)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Various Parts of Ginseng Plant)

  • 최강주;김만욱;김동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7-363
    • /
    • 1983
  • 인삼(人蔘)의 근부(根部)(뇌두(腦頭), 표피(表皮), 동체피층(胴體皮層), 동체내층(胴體內層), 지근(支根), 세미(細尾))와 지상부(地上部)(과육(果肉), 종자(種字), 경(莖), 엽(葉))의 부위별(部位別) 지방질의 함량과 그 구성지방산을 조사하였다. 9부위(部位)의 유리지질(遊離脂質)과 결합지질(結合脂質)을 합한 총 지방질 함량은 0.91~3.48%였으나 종자(種子)는 15.08%로 다른 부위(部位)에 비하여 그 함량이 대단히 높았다. gas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하여 14종(種)의 짝수지방산과 4종(種)의 홀수지방산을 분리, 정량하였으며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였다. 부위별(部位別) 지방산 조성은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종자(種子)는 부위(部位)들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10종(種)의 지방산만이 동정되었고 oleic acid와 linoleic acid(51.21%와 37.46%)가 다른 부위(部位)들보다 상당히 많았다. 또한 종자(種子), 동체내층(胴體內層) 및 동체피층(胴體皮層)에 함유된 유리지질(遊離脂質)은 다른 부위(部位)의 지방질(脂肪質)에 비하여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높았다.

  • PDF

Tissue-specific systemic responses of the wild tobacco Nicotiana attenuata against stem-boring herbivore attack

  • Lee, Gisuk;Joo, Youngsung;Baldwin, Ian T.;Kim, Sang-Gy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3호
    • /
    • pp.143-151
    • /
    • 2021
  • Background: Plants are able to optimize defense responses induced by various herbivores, which have different feeding strategies. Local and systemic responses within a plant after herbivory are essential to modulate herbivore-specific plant responses. For instance, leaf-chewing herbivores elicit jasmonic acid signaling, which result in the inductions of toxic chemicals in the attacked leaf (tissue-specific responses) and also in the other unattacked parts of the plant (systemic responses). Root herbivory induces toxic metabolites in the attacked root and alters the levels of transcripts and metabolites in the unattacked shoot. However, we have little knowledge of the local and systemic responses against stem-boring herbivor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systemic changes in metabolites in the wild tobacco Nicotiana attenuata, when the stem-boring herbivore Trichobaris mucorea attacks. Results: To investigate the systemic responses of T. mucorea attacks, we measured the levels of jasmonic acid (JA), JA-dependent secondary metabolites, soluble sugars, and free amino acids in 7 distinct tissues of N. attenuata: leaf lamina with epidermis (LLE), leaf midrib (LM), stem epidermis (SE), stem pith (SP), stem vascular bundle (SV), root cortex with epidermis (RCE), and root vascular bundle (RV). The levels of JA were increased in all root tissues and in LM by T. mucorea attacks. The levels of chlorogenic acids (CGAs) and nicotine were increased in all stem tissues by T. mucorea. However, CGA was systematically induced in LM, and nicotine was systematically induced in LM and RCE. We further tested the resource allocation by measuring soluble sugars and free amino acids in plant tissues. T. mucorea attacks increased the level of free amino acids in all tissues except in LLE. The levels of soluble suga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SE and SP, but increased in RV. Conclusions: The results reveal that plants have local- and systemic-specific responses in response to attack from a stem-boring herbivore. Interestingly, the level of induced secondary metabolites was not consistent with the systemic inductions of JA. Spatiotemporal resolution of plant defense responses against stem herbivory will be required to understand how a plant copes with attack from herbivores from different feeding guilds.

상처에 의해서 유도되는 벼 calmodulin promoter의 transgenic 담배에서조직 특이적 발현 (Tissue Specific Expression of Wound-Inducible RCaM-2 Promoter in Transgenic Tobacco Plants)

  • 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6-181
    • /
    • 2005
  • Calmodulin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연구하기 위해, 벼 calmodulin promoter (RCaM-2)를 분리하여 GUS (report 유전자)에 융합하였다. GUS 활성은 정단조직, 근단 및 관다발 영역과 같은 성장조직에서 높게 발현되었다. 줄기와 페티올의 transverse 절단부위 GUS 활성은 관다발계의 안쪽에 제한되었으며 관다발계의 외부에 위치한 피층과 표피에서는 강하게 발현된 식물에서도 GUS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GUS 활성은 어린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었으며 상처에 의해서 신속하게 증가하였다. RCaM-2 promoter는 세포분열이 왕성한 어린조직이나 생장점에서 강하게 발현되며 mechanical 신호에 의해서 현저히 유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RCaM-2 유전자의 5'-flanking 영역이 상처에 의해서 유도되는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hytophthora capsici 균주와 토마토의 친화적, 불친화적 상호작용에 대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연구 (A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al Study of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nteractions between Phytophthora capsici and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 황재순;황병국;김우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3-91
    • /
    • 1994
  • Stem tissues of tomato plants (cv. Kwanyang) inoculated with Phytophthora capsici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to compare early cyt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omaptible and incompatible interactions of tomatoes with the fungus. Twenty four hours after inoculation, the compatible isolate S 197 colonized severely the epidermis, cortex, and xylem vessels of stem tissue, whereas only few fungal cells colonized the stem tissues inoculated with the incompatible isolate CBS 178.26. Fragmented plasma membrane, distorted chloroplast, degraded cell wall, remnants of host cytoplasm were early ultrastructural features of the damaged host cell observed both in the compatible and incompatible interaction, a number of vesicles were distributed in the space between fungal cell walls and plasma membrane. The degradation of host cell walls by P. capsici was more pronounced in the compatible than the incompatible interactions. The incompatible interactions of tomato cells with P. capsici were characterized by formation of host cell wall apposition in the cortical parenchyma cells, indicating that the apposition of electron-dense material from the host cell walls may function as a plant defense reaction to the fungus. The fungal cells encased by wall appositions had abnormal cytoplasm and separated plasma membranes. The haustorium which formed from the fungal hyphae did not further penetrate through the host wall apposition and cytoplasmic aggregation, especially in the incompatible reactions. In contrast, the haustorium of the compatible isolate S 197 was not encased by wall appositions.

  • PDF

상백피(桑白皮) 메탄올 추출물 전처치가 일과성 허혈에 의한 생쥐의 뇌 손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Mori Radicis Cortex pre-treatment on transient ischemic brain injury in mice)

  • 정병우;임재유;이세은;이병호;임세현;임지연;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5-31
    • /
    • 2017
  • Objectives : Mori Radicis Cortex (MRC), the root epidermis of Morus alba L., has been traditionally used to treat lung-related diseases in Korean Medicine. The common of MRC is Mulberry bark Morus bark, and it's pharmaceutical properties and taste are known as sweet and cold, and it promotes urination and reduce edema by reducing heat from the lungs and soothe asthma. In the present study, anti-apoptotic mechanism of MRC in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model in mice. Methods : Two-hundred grams of MRC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t room temperature for 5 days, and this was repeated one time. After filtration, the methanol was removed using vacuum evaporator, then stored at $-20^{\circ}C$ until use. C57BL/6 male mice were housed in an environment with controlled humidity, temperature, and light cycle. In order to determine beneficial effects of MRC on ischemia induced brain damage, infarct volume, neurological deficit scores, activities of several apoptosis-related proteins such as caspase-8, -9, Bcl-xL in MCAO-induced brains of mice were analyzed. Mice in MRC-treated groups were orally administered 30, 100, or 300 mg/kg of body weight for three consecutive days before commencing the MCAO procedure. Results : Pre-treatment of MRC significantly reduced infarct volume in MCAO subjected mice applied with 300 mg/kg of MRC methanol extract, and MRC effectively inhibited Bcl-xL reduction and caspase-9 activation caused by MCAO-induced brain damage. Conclusions : MRC showed neuro-protective effects by regulating apoptosis-related protein signals, and it can be a potential candidate for the therapy of ischemia-induced brain damage.

착생식물 기근의 형태 및 세포학적 특성 (Morphological and Cellular Characteristics of Aerial Roots in the Epiphytic American Ivy (Parthenocissus sp.))

  • 임지은;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29-337
    • /
    • 2002
  • 착생식물인 American Ivy의 기근이 흡착 표면에 부착할 때 착생에 따라 일어나는 형태 및 세포수준에서의 분화현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연구하였다. 발달 중의 어린 기근은 향축면과 배축면이 구별되지 않는 곤봉상의 형태로 세포소기관들이 비교적 발달하며 색소체가 분포하는 유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유세포 내 여러 액포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EDS)의 축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현상은 기근 표피의 최외층 및 인접한 세포층에서 가장 신속하게 일어났다. 착생하는 기근의 세포는 훨씬 확장되었으나, EDS의 축적으로 인한 액포의 융합으로 세포질은 세포벽 주위로 밀려 극히 일부만 분포하였다. 착생과 거의 동시에 이들 세포층에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 세포질 내 미세구조들이 분해 소실되었고 액포 내 다량의 EDS도 극히 소량만 잔류하거나 거의 사라져 세포는 공동화되었다. 이와 함께, 세포벽 또한 변형되어 점차 불규칙적인 형태의 세포들로 변하였다. 착생이 더욱 진행되면 양면의 표피조직 및 세포들은 모두 불규칙적인 형태로 변화되고, 표면 부위는 일련의 분비물질들이 축적되었다. 흡착이 진행되어 대상 물체표면에 강력히 착생하면서 조직은 더욱 밀착되고 구성 세포들은 찌그러져 기근 조직의 대부분 부위에서 세포사멸이 일어났다. 이와 같이 기근 조직의 기능적 단계에 따라 EDS의 급격한 변화가 나타났는데, 이는 아마 기근이 흡착면에 부착할 때 EDS가 착생과 연관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6년생 적변내성 인삼계통의 무기성분함량 특성 (Mineral Nutrition Contents of Rusty-Root To1erance Ginseng Lines in 6-Year Old Root)

  • 이성식;이경환;김은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6권3호
    • /
    • pp.159-164
    • /
    • 2002
  • 고려인삼의 적변내성 계통을 선발하기 위하여 39계통을 포장시험에 공시하여 적변지수가 낮아 적변에 강한 건전계통(LR) 7계통과 적변지수가 높아 적변에 약한 적변계통(HRL)7계통을 선발하였다. 적변내성 인삼 선발을 위한 지표성분으로 무기성분의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건전계통군의 건전삼과 적변계통군의적변삼 비교), II(건전계통군의 건전삼과 적변삼 비교), III(적변계통군의 건전삼과 적변삼비교), IV(적변삼의 건전계통군과 적변계통군 비교), V(건전삼의 건전계통군과 적변계통군 비교) 5개 조합으로 구성하여 부위별로 무기성분 함량을 비교하였다. 계통군 및 적변지수별 무기성분 함량이 중심주 및 피층조직에서는 유의성이 없었으며, 지세근 조직에서도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각 계통군내 비교에서 적변인삼은 건전인삼보다 표피조직에서 Fe, Na및 Al함량이 높았다. 표피조직에서 적변계통군(HRL)은 건전계통군(LRL)보다 적변삼이나 건전삼 시료 모두에서 Fe, Al함량이 높아 적변내성 계통 선발 지표성분으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Paeonol에 의한 표피줄기세포 활성화 (Activating the Proliferation of Keratinocyte Stem Cells by Paeonol, a Compound from Natural Herb)

  • 김도형;김효진;여혜린;이천구;이상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45-152
    • /
    • 2016
  • 피부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표피는 개체의 생존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기저막에 위치한 표피줄기세포에 의해 평생 끊임없이 재생되고 있다. 표피줄기세포는 한정된 세포분열을 진행하고 각질세포로 분화하는 transit amplifying (TA)세포를 만들어 냄으로써 오랜 기간 재생에 필요한 많은 각질세포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피줄기세포 세포분열 활성화 화합물로 목단으로부터 추출한 페오놀(paeonol)을 350여 개의 화합물들로부터 검색해 냈다. 이러한 세포분열 활성화 효능은 표피줄기세포 특이적으로 나타나며, 표피줄기세포의 지표로 알려진 p63 단백질의 발현 경향은 페오놀을 처리한 표피줄기세포에서 변화하지 않음을 유세포분석법으로 확인하였다. 콜로니형성 분석에서는 페오놀을 처리한 표피줄기세포가 1.3배 이상 더 나은 콜로니 형성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PCR array 분석을 통해서 페오놀의 효능은 여러 신호전달에 의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페오놀이 줄기세포성에 영향을 주지 않고 표피줄기세포의 재생능력을 향상시키므로 표피줄기세포 활성화 물질로서 화장품 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