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demic model

검색결과 153건 처리시간 0.033초

STABILITY OF A TWO-STRAIN EPIDEMIC MODEL WITH AN AGE STRUCTURE AND MUTATION

  • Wang, Xiaoyan;Yang, Junyuan;Zhang, Fengqi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0권1_2호
    • /
    • pp.183-200
    • /
    • 2012
  • A two-strain epidemic model with an age structure mutation and varying population is studied. By means of the spectrum theory of bounded linear operator in functional analysis, the reproductive numbers according to the strains, which associates with the growth rate ${\lambda}^*$ of total population size are obtained. The asymptotic stability of the steady states are obtained under some sufficient conditions.

AN SIRS EPIDEMIC MODEL ON A DISPERSIVE POPULATION

  • Ghosh, Asit K.;Chattopadhyay, J.;Tapaswi, P.K.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7권3호
    • /
    • pp.925-940
    • /
    • 2000
  • The spatial spread of a disease in an SIRS epidemic model with immunity imparted by subclinical infection on a population has been considered. The incidence rate of infection and the rate of immunization are both of nonlinear type. The dynamics of the infectious disease and its endemicity in local and global sense have been investigated.

네트워크 기반에서 가축 유행병 위기 완화를 위한 개념 모델 표준화 (Service Model Standardization of Risk Mitigation on Livestock Pandemic based on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스마트농업의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스마트 축산분야의 가축 유행병 서비스 표준 모델을 제시한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가축 전염병 질병 리스크를 파악해서 서비스 유저들에게 관련 모델을 제공하여 실질적으로 가축 소유자들에게 경제적인 이득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농축산업 경제에도 도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CT와 접목하여 제시되는 가축전염병 서비스 표준모델과 가축 전염병 위기완화 표준모델 공유 방법은 향후 국내 및 국제 농축산업 분야에 표준에 적용하려고 지속적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 PDF

실시간 에볼라 바이러스 전염병 모형의 전염확률분포추정 (A transmission distribution estimation for real time Ebola virus disease epidemic model)

  • 최일수;이성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61-168
    • /
    • 2015
  • 전염병은 기초 감염 재생산 수가 시간에 따라 달라져서 상황을 관리하기 어렵기 때문에 확산을 통제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정확한 예측은 더욱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많은 모형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현저하게 다른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 연속된 시간에서 기초 감염 재생산 수는 일반적으로 확률과정이론이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볼라 바이러스 전염병 모형에서 전염확률분포의 추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대규모 전염병 발생에서 실시간 추정을 가능하게 함으로 적절한 질병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기니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 자료를 제시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HIV 감염과 AIDS의 전파 특성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the Transmission Dynamics of HIV Infection and AIDS)

  • 정형환;이광우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95-304
    • /
    • 1994
  • This paper describes some preliminary attempts to formulate simple mathematical models of the transmission dynamics of HIV infection in homosexual communities. In conjunction with a survey of the available epidemiological data on HIV infection and the incidence of AIDS, the model is used to assess how various processes influence the course of the initial epidemic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virus. Models of the early stages of viral spread provide crude methods for estimating the basic reproductive rate of the virus, given a knowledge of the incubation period of AIDS and the initial doubling time of the epidemic. More complex models are formulat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heterogeneity in sexual activity. This latter factor is shown to have a major effect on the predicted pattern of the epidemic.

  • PDF

네트워크 기반에서 가축 유행병 위기 완화 서비스 모델 표준화 (Service Model Standardization of Risk Mitigation on Livestock Pandemic based on Network)

  • 김동일;정희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0-45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스마트농업의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스마트 축산분야의 가축 유행병 서비스 표준 모델을 제시한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가축 전염병 질병 리스크를 파악해서 서비스 유저들에게 관련 모델을 제공하여 실질적으로 가축 소유자들에게 경제적인 이득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국가 농축산업 경제에도 도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CT와 접목하여 제시되는 가축전염병 서비스 표준모델과 가축 전염병 위기완화 표준모델 공유 방법은 향후 국내 및 국제 농축산업 분야에 표준에 적용하려고 지속적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 PDF

확률적 방법에 기반한 질병 확산 모형의 구축 (Development of epidemic model using the stochastic method)

  • 류수락;최보승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2호
    • /
    • pp.301-312
    • /
    • 2015
  • 본 연구는 전염병의 확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질병 확산 모형을 구축 하고자 하였다. 질병의 확산 과정은 결정적인 과정과 확률적인 과정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질병의 확산 과정을 결정적 과정으로 움직인다고 가정을 하고 상미분방정식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 확산 모형인 SIR (Suspectible - Infectious - Recovered) 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질병의 확산 예측 모형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한 후, 상미분방정식을 이용한 결정적 모형 방법과 더불어 Gillespie가 제안한 방법에 기반하여 확률적인 과정을 따르는 모형 적합을 함께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개된 방법들은 질병관리본부의 2001년 1월부터 2002년 3월까지의 국내 말라리아 주별 발병자 수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 적합을 시도 하였으며, 그 결과 구현된 모형이 실제 질병의 확산과정을 잘 설명하였다.

Global Post-epidemic Recovery: The Impact of Role Modeling on Employees' Proactive Behavior

  • Wenjie Yang;Xiaoteng Wang;Myeong-Cheol Choi;Hannearl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193-201
    • /
    • 2023
  • With the end of global COVID-19 epidemic, hospital staff are likely to be "physically and mentally exhausted" after three years of grueling work in the fight against the epidemic. At this point, it is especially important to enable them to continue to maintain their previous proactive work behavior. This study focuses on 400 employees of various types in three-A grade hospitals in Zhanjiang, Guangdong Province, through the proactive motivation model. Statistical software SPSS 25.0 and AOMS 22.0 were used to analyze the survey data to test whether role modeling in hospital management can have an impact on employees' proactive behaviors, in addition to verifying the mediating role of transac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irst, role modeling of hospital leaders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ees' proactive behavior and a negative effect on their transac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Second, transac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has a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proactive behavior; Third, the transactional psychological contract mediates the effect between role modeling of leaders and employees' proactiv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dd to the F-path of proactive motivation model, and provide enlightenments and implications for hospital management.

SEIR 모형을 이용한 전염병 모형 예측 연구 (A study of epidemic model using SEIR model)

  • 도미진;김종태;최보승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2호
    • /
    • pp.297-307
    • /
    • 2017
  • 질병 확산 모형은 질병의 확산 과정을 모형화 함으로써 질병이 발생하고 퍼지는 시간 내에서 통제하기 위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질병 확산 모형의 가장 대표적인 SIR 모형에 기본적인 확장 접근을 하여 접촉군 (exposed)이라는 단계를 추가한 SEIR 모형을 이용하여 모형 구축을 하였다. 이 모형은 감염 대상군 (susceptible)의 사람들이 질병에 노출 된 잠복기를 거쳐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감염되어 감염군 (infected)으로 이동한 후 다시 회복군 (removed)으로 이동하는 모형이다. 이와 같이 질병에 감염된 후 감염력이 생기는 잠복기가 있는 경우에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국내에서 발생한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MERS CoV)에 의한 호흡기 감염증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병의 확산 과정이 결정적이 아닌 확률적인 흐름을 따른다고 가정하여 포아송 확률과정을 따른다고 보고 확률적 화학반응 모형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을 구현하기 위해서 SEIR 모형의 세 모수인 질병에 노출된 정도를 나타내는 접촉률 (exposed rate), 질병의 감염 정도를 나타내는 감염률 (transmission rate), 질병의 회복정도를 나타내는 회복률 (recovery rate)를 추정함으로써, SEIR 모형에 적합하고 전염병 확산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였다. 또한 접촉군이 정확하게 관찰되지 않을 부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접촉군을 생성하는 과정을 전체 모형 구축 과정에 추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