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cardial fat thicknes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The Relationship between Epicardial Fat Thickness and Dampness-Phlegm Pattern in the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 Woo, Ji My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04-109
    • /
    • 2017
  • Objectives: Epicardial fat is true visceral fat that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high abdominal fat, insulin resistance, coronary artery diseases, low coronary flow reserve and subclinical atherosclerosis. Dampness-Phlegm pattern is one of the pattern diagnosi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Dampness-Phlegm pattern i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dyslipidemia,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association between Dampness-Phlegm pattern and epicardial fat thickness. Methods: This study was a community-based single center trial. Ischemic stroke patients within 30 days after their ictus were enrolled. Epicardial fat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 Other measured and obtained variables are medical history,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fasting blood glucose, cholesterol, triglyc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lipid and low density lipoprotein. Results: Three hundred sixty six were enlisted, and one hundred forty were diagnosed with the Dampness-Phlegm pattern. Dampness-Phlegm pattern group had significantly thicker epicardial fat. Binary logistic regression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close association between epicardial fat and Dampness-Phlegm pattern. This result suggests a clue to standardization of pattern identification.

심외막 지방의 정량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Epicardial fat)

  • 오중환;강청희;이종국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3호
    • /
    • pp.233-236
    • /
    • 1995
  • Subepicardial space is one of the regions in which fat in moderate amount is normally deposited. When excess deposits of epicardial fat occur, penetration or infiltration of fat into the connective tissues between muscle bundles is observed. In some cases with very extensive involvement of epicardial fat,myocardial insufficiency and conduction system defect such as heart block have been implicated. More fat is deposited over the right ventricle than over left and the anterior surface contains more fat than dose the posterior surface. We studied 40 patients who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under the cardiopulmonary bypa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ercentage of the area of epicardial fat of the right ventricular anterior surface, which is more accessible area during the operative procedure. Other variables included thickness of subcutanous tissue of anterior chest wall, the ratio of waist to hip circumference, body weight and age. In conclusion, the amount of the epicardial fat correlates with thickness of the subcutaneous fat of the anterior chest wall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s good correlation with body weight. Increased age results in large amount of epicardial fat.

  • PDF

심장외막지방두께와 당뇨와의 연관성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picardial Adipose Tissue and Diabetes Mellitus)

  • 김선화;김정훈;임인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1권4호
    • /
    • pp.305-312
    • /
    • 2018
  •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increases rapidly after 40's. The thickness of the epicardial adipose tissue was measure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affecting the thickness change. We present the cut off value for the epicardial adipose tissue thickness for high impacted variables. For the study, 547 patients underwent echocardiography, epicardial adipose tissue thickness, body mass index, abdominal subcutaneous fat thickness and diabetes mellitus were used as analytical variables. As a resul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age group showed that diabetes mellitus was highly influential in all age group, so we could predict the cut off value for the epicardial adipose tissue thickness for diabetes mellitus. As a result of ROC curve analysis, cut off value of 7.44 mm was obtained with sensitivity of 79.6% and specificity of 60.6% for diab etes variab 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 ased on this value showed that the risk for diab etes increased 6 times with each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epicardial adipose tissue. Among the various obesity indexes, epicardial adipose tissue is used as an important index especially to prevent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erefore, we suggest that the use of echocardiography as a routine screening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which is rapidly increasing in patients over 40's age, will enable more effective monitoring. Radiation is the emission or transmission of energy in the form of waves or particles through space or through a material medium.

심장외막의 지방두께에 따른 대사질환의 위험도 분석 - 무증상의 검진목적으로 내원한 대상자를 위주로 (Risk Analysis of Factors for Metabolic Diseases according to the Epicaridal Adipose Tissue Thickness - which Focused on the Presented Subjects with Asymptomatic Screening Purposes)

  • 김선화;김정훈;김창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76-483
    • /
    • 2016
  • 심장외막지방(epicardial adipose tissue, EAT)은 여러 호르몬을 분비하는 대사활성 내분비 기관으로 지방의 두께증가는 심혈관질환이나 대사질환의 위험인자이다. 본 연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대상군의 심장외막 지방두께와 복부피하지방두께를 측정한 후 일반적 특성 및 혈액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대사질환의 예측을 위한 지방두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심장외막지방두께의 평균은 각 단면도에서 각각 8.890mm, 4.783mm, 4.777mm, 6.147mm로 측정되었다. 각 단면에서 심장외막지방두께평균과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에서는 나이, BMI, 수축기혈압, LDH, LDL, TC가 양의 상관관계(p<0.05)를 나타냈다. 특히 대사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대상자가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대상자에 비하여 심장외막지방두께 및 복부피하지방의 두께가 유의(p<0.05)하게 높게 나타났다. EAT1에서 측정한 심장외막지방 두께 8.950 mm에서 대사질환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민감도 66.7 %, 특이도 80 %를 보여 가장 신뢰성 있는 cut off value를 나타냈다.

폐경 후 여성의 골밀도 수치와 지방조직과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Adipose Tissue of Postmenopausal Women)

  • 김선화;김정훈;임인철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0권2호
    • /
    • pp.219-228
    • /
    • 2017
  • 폐경 후 여성에서 골다공증과 비만은 삶의 질적인 면에서 많은 영향을 미친다. 폐경 후 여성은 호르몬의 변화로 골다공증과 비만의 위험이 높아진다. 골다공증과 체중과의 관련성이 알려져 있고 특히 체지방량과의 관련성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폐경 후 여성에서 골밀도 수치에 따라 체지방 중 심장외막지방과 복부피하지방과 비교하여 골밀도 수치 변화가 지방조직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내과 및 검진센터를 방문한 폐경 후 여성 중 골밀도검사와 심장초음파를 실시한 160명이 연구대상이었다. 심장외막지방두께는 세 단면의 측정값을 평균하였으며, 골밀도 수치는 L-spine과 대퇴골 경부의 T값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및 골밀도검사는 진단기준에 맞게 측정하여 연구결과 나이가 증가할수록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고 체중은 감소할수록 골다공증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폐경 후 여성에서 지방조직과 골밀도 수치변화의 연관성을 보기 위한 연구결과에서는 심장외막지방두께의 증가는 골밀도 수치에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p<0.05), 복부피하지방두께의 증가는 골밀도 수치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즉 지방조직의 침착위치에 따라 골밀도 수치가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폐경기 여성에서 심장외막지방조직의 두께 변화를 정기적으로 검사한다면 골다공증을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심장 아밀로이드증의 지연 조영증강 MR 영상소견 (Delayed Enhancem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Cardiac Amyloidosis)

  • 송진화;박은아;이활;정진욱;박재형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7권1호
    • /
    • pp.33-40
    • /
    • 2013
  • 목적 : 심장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지연 조영증강영상에서 좌심근의 조영증강 패턴과 다른 심장부위의 조영증강 유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9년 9월부터 2011년 6월 사이 심장 아밀로이드증이 의심되어 심장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한 9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좌심근의 조영증강 여부 및 패턴, 그리고 좌우심방 및 우심실의 조영증강 유무를 평가하였다. 또한 심방중격 두께, 좌심방 혈액신호 강도에 대한 심방중격과 심외막 지방의 상대적 신호강도 비를 계산하여 허혈성 심질환 대조군 16명과 Wilcoxon rank sum test를 통해 통계적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 총 9명중 8명에서 좌심근 조영증강소견을 보였으며, 8명중 4명의 환자에서 심내막하 원형성, 나머지 4명에서 미만성 패턴을 보였다. 심방중격 두께는 심장 아밀로이드증 환자에서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 비해서 증가되어 있었고 (p = 0.02), 심장 아밀로이드증 환자군에서 심방중격 대 혈액 신호 강도비 (p = 0.0002) 및 심외막 지방 대 혈액 신호 강도비 (p = 0.0006) 모두 의미있게 높았다. 결론 : 좌심실의 심내막하 원형성 혹은 미만성 조영증강 패턴은 심장 아밀로이드증 환자의 지연 조영 심장 자기공명영상의 특징적인 소견이며, 심방중격 및 심외막 지방 대 혈액 신호 강도비 신호강도가 상대적으로 증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