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hemer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산 하루살이과(곤충강: 하루살이목)의 1신종 가는무늬하루살이의 보고 (Ephemera separigata, a New Species of Ephemeridae (Insecta: Ephemeroptera) from Korea)

  • Yeon Jae Ba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1권2호
    • /
    • pp.159-166
    • /
    • 1995
  • 한국산 하루살이과(곤충강: 하루살이목)의 신종인 가는무늬하루살이(Ephemera separigata n. sp.)의 성숙유충과 암.수성충을 기재하였다. 본 신종은 7-9 배마디등판에 한쌍의 세로줄무늬가 매우 가늘고, 각자 옆쪽 가장자리로 치우쳐 있어서 하루살이속의 다른 종들과 구별된다. 본 종의 유충은 수온이 상대적으로 낮은 산간계류(고도 500-700m)의 모래, 왕모래 및 다량의 자갈이 섞인 하천바닥을 파고 서식한다. 한국산 하루살이 유충의 고도에 따른 서식처 적응에 관하여 간략히 논하였다.

  • PDF

확률분포모형을 이용한 하루살이속(Ephemera) 4종에 대한 화학적 수질 적합도지수 평가 (Estimation on Chemical Water Quality Suitability Index for 4 Species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Ephemeroptera: Ephemeridae)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 정봉준;공동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75-490
    • /
    • 2023
  • Chemical water quality suitability for species (Ephemera strigata, Ephemera separigata, and Ephemera orientalis-sachalinensis group)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Order Ephemeroptera) was analyzed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Exponential, Normal, Lognormal, Logistic, Weibull, Gamma, Beta, Gumbel). Data was collected from 23,957 sampling units of 6,664 sites in Korea from 2010 to 2021. E. orientalis-sachalinensis occurred at the range of BOD5 0.3~11.1 mg/L (the best-fit Lognormal model); T-P 0.007~0.769 mg/L (the Gumbel model); TSS 0.4~142.2 mg/L (the Lognormal model). E. strigata occurred at the range of BOD5 0.4~7.4 mg/L (the Gumbel model); T-P 0.007~0.254 mg/L (the Lognormal model); TSS 0.4~17.1 mg/L (the Lognormal model). E. separigata occurred at the range of BOD5 0.4~2.6 mg/L (the R-Weibull model); T-P 0.007~0.134 mg/L (the Lognormal model); TSS 0.7~10.0 mg/L (the Lognormal model). Habitat suitability range of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0.4~1.9 mg/L (BOD5), 0.024~0.086 mg/L (T-P), 2.5~22.4 mg/L (TSS); that of E. strigata was 0.4~0.7 mg/L (BOD5), 0.007~0.018 mg/L (T-P), 0.0~1.7 mg/L (TSS); that of E. separigata was 0.0~0.4 mg/L (BOD5), 0.000~0.015 mg/L (T-P), 0.5~3.1 mg/L (TSS). In a relative comparision,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eurysaprobic, and narrowly adapted in high levels of T-P and TSS, E. strigata was estimated to be oligosaprobic and adapted in low levels of T-P and TSS, and E. separigata was estimated to be stenooligosaprobic and widely adapted in low level of T-P and TSS.

확률분포모형을 이용한 하루살이속(Ephemera) 4종의 고도구배에 따른 서식처적합도 평가 (Estimation on Altitudinal Spectrum of Suitability for Four Species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Ephemeroptera: Ephemeridae)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 공동수;강보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2-315
    • /
    • 2023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altitudinal gradient of four species (E. strigata, E. separigata, E. orientalis-sachalinensis group)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Order Ephemeroptera) were analyzed with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exponential, normal, lognormal, logistic, Weibull, gamma, beta, Gumbel). Data was collected from 23,846 sampling units of 6,787 sites in Korea from 2010 to 2021. The beta distribution model showed the best fit for positively skewed E. orientalis-sachalinensis and little-skewed E. strigata along with altitudinal gradient. The reversed lognormal distribution model showed the best-fit for negatively skewed E. separigata. E. orientalis-sachalinensis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1~700 m (mean 251 m, median 226 m, mode 124 m, and standard deviation 161 m), E. strigata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5~871 m (mean 474 m, median 478 m, mode 492 m, and standard deviation 200 m), E. separigata distributed at the range of altitude 7~846 m (mean 620 m, median 659 m, mode 760 m, and standard deviation 181 m). Altitudinal habitat suitability ranges were estimated to be 42~257 m for E. orientalis-sachalinensis, 335~644 m for E. strigata, and 641~824 m for E. separigata. Based on the altitudinal spectrum of suitability and altitude-related temperature analysis results,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thermophilic, E. strigata to be mesophilic, and E. separigata to be thermophobic. This is the first national-scale evaluation of the altitudinal distribution of Ephemera in Korea. These results will be used in a further research study on altitudinal shift of the species of Ephemera under climate change.

1920·30년대 극장 발행 인쇄물로 보는 재경성 일본인의 영화 문화 (Japanese Settlers' Film Culture in Keijo(京城) as seen through Film ephemera printed in the 1920s and 1930s)

  • 이화진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51
    • /
    • 2021
  •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경성의 극장에서 발행된 영화 관련 인쇄물(film ephemera)에 대한 기초 조사를 바탕으로, 경성 남촌 지구의 영화 문화에 대한 역사적 접근을 시도한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는 192·30년대 경성 남촌 지구의 극장에서 발행된 인쇄물들을 중심에 두고 당시의 일본어 신문과 잡지의 기사를 교차적으로 검토했으며, 이를 통해 '북촌'과 '남촌'으로 이원화된 문화 환경 속에서 재경성 일본인들의 극장과 영화 문화를 실증적으로 재구성했다. 무성영화시대 경성에서 남촌 지구 극장들은 일본의 영화사들과 계통(系統)을 맺어 일본 본토에서 제작된 영화를 유통·상영했을 뿐 아니라, 식민 본국에서 식민지로 건너와 정착한 재경성 일본인들의 문화적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역할을 했다. 각 극장이 발행한 인쇄물들은 단순히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식민도시에 거주하는 일본인들을 일본 제국의 균질적인 시공간으로 연결해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인구로는 소수이지만 식민자라는 지위에 있었던 일본인들은 경성 남촌 지구에서 영화 관람을 통해 피식민 조선인과 자신들을 '구분'하는 동시에 문화적 차원에서 일본 내지와 연결되는 '결속'을 경험했다. 이는 일종의 '원거리 민족주의(long distance nationalism)'를 강화하는 문화 실천이라 할 수 있다. 재경성 일본인의 영화 문화를 극장 발행 인쇄물들을 통해 검토하는 작업은 2천년대 이후 본격화되어온 근대 극장 문화와 관객성에 대한 연구 성과들을 심화할 뿐 아니라 비필름 자료를 통한 영화사 연구의 방법 및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도 유의미한 시도가 되리라 기대한다.

확률분포모형을 이용한 하루살이속(Ephemera) 종들의 물리적 미소서식처 적합도 평가 (Estimation on Physical Microhabitat Suitability for Species of the Mayfly Genus Ephemera (Ephemeroptera: Ephemeridae) Using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 공동수;송재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396-412
    • /
    • 2023
  • Species from the mayfly genus Ephemera (Order Ephemeroptera) was assessed for their physical microhabitat suitability (namely E. strigata, E. separigata, and E. orientalis-sachalinensis).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s (Exponential, Normal, Lognormal, Logistic, Weibull, Gamma, Beta, and Gumbel) based on the data collected from 23,957 sampling units of 6,787 sites in Korea from 2010 to 2021 were used. Mode and standard deviation calculated from the best-fitting models to species distribution along a water depth gradient were 265 cm and 159 cm in E. orientalis-sachalinensis; 10 cm and 83 cm in E. strigata; 20 cm and 15 cm in E. separigata, respectively. The current velocity gradient was 22 cm/s and 40 cm/s in E. orientalis-sachalinensis; 60 cm/s and 53 cm/s in E. strigata; 82 cm/s and 25 cm/s in E. separigata, respectively. The mean diameter (phi scale) of substrate grains were -3.6 and 2.2 in E. orientalis-sachalinensis; -7.4 and 1.5 in E. strigata; -5.8 and 0.9 in E. separigata, respectively. Habitat suitability range of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161~369 cm (water depth), 5~44 cm/s (current velocity), -5.2~-2.0 (mean diameter); 3~34 cm (water depth), 36~94 cm/s (current velocity), -8.1~-6.3 (mean diameter) for E. strigata; 12~32 cm (water depth), 63~96 cm/s (current velocity), -6.3~-5.2 (mean diameter) for E. separigata. In relative comparison, E. orientalis-sachalinensis was estimated to be rheophobic, eurybathophilic, and eurypsephophilic; E. strigata to be euryrheophilic, bathophobic, and lithophilic; E. separigata to be stenomesorheophilic, stenobathophobic, stenolithophilic.

한국 하천의 동일 서식처에 서식하는 2종의 굴파는 하루살이인 동양하루살이와 사할린하루살이 (하루살이목: 하루살이과) (Two Co-inhabiting Burrowing Mayflies, Ephemera orientalis and E. sachalinensis, in Korean Streams (Ephewmeroptera: Ephemeridae))

  • 황정미;이성진;배연재
    • 생태와환경
    • /
    • 제36권4호통권105호
    • /
    • pp.427-433
    • /
    • 2003
  • 이 논문에서는 한국 하천의 동일한 서식처에 서식하는 2종의 굴파는 하루살이 (하루살이목, 하루살이과)인 동양하루살이와 사할린하루살이(남한 미기록종)에 대하여 성충 및 유충의 차이점을 밝혔다. 사할린하루살이는 성충에 있어서 몸의 크기 (평균체장${\pm}$표준편차 수컷성충 18.44${\pm}$0.70mm, 암컷성충 21.46${\pm}$0.46 mm)가 동양하루살이 (수컷성충 13.92${\pm}$0.04 mm, 암컷성충 15.27${\pm}$0.48 mm)에 비하여 크고, 수컷 생식기, 앞날개 무늬, 6-9배마디 등판의 줄무늬에 있어서 차이가 난다. 성숙 유충에 있어서 사할린하루살이는 동양하루살이에 비하여 다소 깊게 패이고 밖으로 퍼진 형태의 전두부 돌출기를 가진다. 두 종의 체장 분포와 부수적인 생태적 특징을 기록하였다.

북한강 지류에서의 하상 조성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분포 (Substrate Composition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in the Streams of the North Branch of Han River)

  • Chung, Pyung-Rim;Aw, Sung-Joon;Younghun Jung;Kim, Jae-Jin;Kim, Ki-Sun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389-400
    • /
    • 1999
  • 본 연구는 북한강 수계에 연계되어 있는 사기막천 및 조종천의 4개 지점을 대상으로 저서 대형 무척추동물을 1년간(1993) 하상별로 채집, 분류하였으며, 이들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빈도율 및 종내의 상대 빈도율에 따른 각 분류군의 하상 선호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채집된 대부분의 대형 무척추동물들은 cobble과 pebble 하상 선호성을 보였으며, Ephemera orientalis, Davidius lunatus, Tipula KUb, Isonychica japonica and Tabanus amaenus등은 gravel/sand 하상 선호성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면, 본 연구를 통하여 cobble과 pebble 하상에서 채집된 대형 무척추동물군의 종수는 gravel/sand 하상에서 채집된 종 수에 비해 현저히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