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Intrapleural Corticosteroid Injection in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Associated with Undifferentiated Connective Tissue Disease

  • Kim, Eunjung;Kim, Changhwan;Yang, Bokyung;Kim, Mihee;Kang, Jingu;Lee, Ji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4호
    • /
    • pp.161-164
    • /
    • 2013
  •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EPE) is defined as a pleural effusion that contains at least 10% eosinophils. EPE occurs due to a variety of causes such as blood or air in the pleural space, infection, malignancy, or an autoimmune disease. Undifferentiated connective tissue disease (UCTD) associated with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is a rare condition generally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the signs and symptoms but not fulfilling the existing classification criteria. We report a case involving a 67-year-old man with UCTD and EPE, who has been successfully treated with a single intrapleural corticosteroid injection.

Eosinophilic Pleuritis due to Sparganum: A Case Report

  • Oh, Youngmin;Kim, Jeong-Tae;Kim, Mi-Kyeong;Chang, You-Jin;Eom, Keeseon;Park, Jung-Gi;Lee, Ki-Man;Choe, Kang-Hyeon;An, Jin-Yo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5호
    • /
    • pp.541-543
    • /
    • 2014
  • Sparganosis is a rare parasitic disease caused by migrating plerocercoid tapeworm larva of the genus Spirometra. Infection in humans is mainly caused by the ingestion of raw or inadequately cooked flesh of infected frogs, snakes, and chickens. Here, we report a rare case of a 45-year-old man who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left lower chest pain. The chest radiograph and computed tomography (CT) scan revealed localized pleural effusion in the left lower lobe; further, peripheral blood eosinophilia and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were present. Percutaneous catheter drainage was performed, which revealed long worm-shaped material that was identified as a sparganum by DNA sequencing. The patient showed clinical improvement after drainage of the sparganum.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parasitic disease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호산구성 흉막유출의 임상상과 진단적 의의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Utility of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 노길환;강수정;윤종욱;황정혜;함형석;임영희;강은해;안창혁;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33-739
    • /
    • 2000
  • 배경 및 방법 : 호산구성 흉막유출의 원인질환과 흉수 내 호산구의 진단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흉막유출로 첫번째 흉강천자를 시행 받은 44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전체 환자의 남녀 비율은 3 : 2 였고 연령의 중앙값은 57.0세 였으며 전체 흉막유출 환자중 호산구성 흉막유출은 446명 중 24명(5.4%)에서 조사되었다. 전체 환자들의 질환 분포를 보면 악성종양에 의한 흉막유출 226명(50.7%), 폐렴성 76명(17.0%), 결핵성 53명(11.9%)순으로 상기 3개질환이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2) 호산구성 흉망유출 원인 중 악성종양으로 인한 경우는 13명(54%)에서 조사되었고 비호산구성 흉막유출과 비교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54.2% vs 50.5%, p=0.725). 3) 호산구성 흉막유출 환자들의 말초 혈액내 평균 호산구 수는 5.5%로 흉수 내 호산구 수와 연관이 없었고, 악성종양에 의한 흉수의 호산구 수는 31.2%로 양성질환에 의한 흉수의 호산구 26.1%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p=0.597). 4) 2번 이상 흉강 천자를 시행 받은 234명의 환자에서 반복 천자시 비호산구성 흉악유출에서 호산구성 흉막유출로 변하는 빈도는 6.4%(15명)로 조사되었다. 결론 : 호산구성 흉막유출은 전 흉막유출의 약 5%에서 발생하며, 원인 질환, 말초 혈액내 호산구 수, 반복적 천자와 무관하였다. 흉막유출에서 호산구가 증가하여도 특별한 진단을 시사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호산구증가증이 동반된 외상 후 호산구성 흉수 1예 (A Case of Posttraumatic Pleural Effusion with Peripheral Eosinophilia)

  • 김종훈;김영생;구본호;최유경;김도훈;진재용;오미정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5호
    • /
    • pp.379-382
    • /
    • 2008
  • 저자들은 흉부 외상 2개월 후 말초 혈액 호산구증가증이 동반된 호산구성 흉수가 발생한 환자에게서, 가능한 다른 원인들을 감별하고 특별한 치료 없이 경과 관찰하여 호전된 외상 후 호산구성 흉수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양측성 흉막 삼출증을 동반한 Churg-Strauss 증후군 1예 (A Case of Churg-Strauss Syndrome with Bilateral Pleural Effusions)

  • 김민수;이승현;한승범;권건영;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258-264
    • /
    • 2001
  • 저자들은 비염과 기관지 천식의 병력이 있으면서 열감, 설사, 신경염 증상과 함께 양측성 흉막액과 심낭액 그리고 페침윤을 보인 환자에서 흉박액 성분검사상 저당, 산성 삼출액 소견과, 폐조직 검사상 호산구 침윤과 혈관염 및 육아종성 염증 소견을 보인 Churg-Strauss 증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osinophilia in Pleural Effusions: a Speculative Negative Predictor for Malignancy

  • Chu, Fang-Yeh;Liou, Ching-Biau;Sun, Jen-Tang;Bei, Chia-Hao;Liou, Tse-Hsuan;Tan, N-Chi;Yu, Yun-Chieh;Chang, Chih-Chun;Yen, Tzung-Hai;Su, Ming-J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3호
    • /
    • pp.1411-1414
    • /
    • 2016
  • Background: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EPE) is an eosinophil count more than 10% on cytology of pleural samples. Recently, it was reported that malignancy had been the most prevalent cause inducing EPE. Therefore, we conducted an analysis on the prevalence and etiology of EPE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PE and malignancy. Materials and Methods: Data for pleural cell differential count from patients receiving thoracentesis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3 were compared with clinical data and established diagnosis of patients obtained via electronic chart review. Results: A total of 6,801 requests of pleural cytology from 3,942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ho had received thoracentesis were available at Far Eastern Memorial Hospital from 2008 to 2013, and of these subjects, 115 (2.9%) were found to have EPE. The most frequent cause of EPE was malignancy (33.0%, n=38), followed by parapneumonic effusions (27.8%, n=32), tuberculosis pleuritis (13.9%, n=16), transudate effusions (12.2%, n=14) and the presence of blood or air in pleural space (10.4%, n=12). Additionally, an inverse relationship of eosinophilia in pleural fluid was identified in patients with malignancy and EPE. The cut-off eosinophil count in pleural fluid was 15% for the most accurate discrimination between malignancy and benign disorders in patients with EPE. At the cut-off level,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5.8% and 67.5%, respectively. Conclusions: Pleural fluid eosinophilia was a speculative negative predictor for malignancy, despite the fact that cancers, including lung cancers and metastatic cancers to lung, were the most leading cause of pleural fluid eosinophilia. An invers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leural eosinophil percentage and the likelihood of malignancy in patients with EPE.

흉막강액에서 진단된 류마티스성 흉막염 - 세포학적 소견 1예 보고 - (Cytologic Findings of Rheumatoid Pleuritis in Pleural Effusion - A Case Report -)

  • 차희정;민수기;김준미;주영채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7-51
    • /
    • 1997
  •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of any degree of severity or duration may develop necrotizing granulomatous pleuritis, a morphologic replica of the inflammatory reaction characteristic of rheumatoid synovitis and rheumatoid nodules. The principal feature is the background composed of granular, amorphous, particulate material or debris of various hues. The material is sometimes eosinophilic sometimes more cyanophilic, or even green in the Papanicolaou stain. Within this background are elongated, fibroblast-like epithelioid cells, numerous multinucleated giant cells and degenerating leukocytes. The combination of the debris, spindle epithelioid ceil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in fluid is pathognomonic for rheumatoid pleuritis. We experienced a hcase of rheumatoid pleuritis showing these characteristic cytologic findings. The patient was a 63 year-old man with positive rheumatoid factor. The pleual fluid specimen revealed elongated epithelioid cell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on a background of amorphous granular material.

  • PDF

흉수의 혈관육종의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Cytologic Features of an Angiosarcoma in Pleural Fluid - A Case Report -)

  • 주영채;박인서;김윤주;한혜승;한지영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66
    • /
    • 1999
  • Angiosarcomas are rare tumors, seen most commonly in the skin and soft tissue of head and neck legion. But it has been described in numerous body sites including thyroid, breast, liver, spleen, bone, etc.. Their biological behaviors depend on the microscopic grade, site of origin, and multifocality. We report the unique cytological features of an angiosarcoma in pleural fluid. A 61-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 6 month history of dyspnea on exertion and chest pain. Chest computerized tomography(CT) revealed multiple subpleural small nodules in the right lung and widespread all space consolidation and pleural effusion in the left lung. CT of liver revealed multiple small low attenuated lesion. The smears obtained from pleural fluid showed hypocellularity with a hemorrhagic background. The tumor cells were highly pleomorphic oval or spindle in shape and presented singly, in loose groups, in knitted syncytial aggregates, and in acinar pattern. Their nuclei had vesicular chromatin with delineated, thick nuclear membranes and occasionally a large eosinophilic, prominent nucleolus. The cytoplasm was plump, thin or protected in spindly fashion. Almost ail tumor cells showed variable sized intracytoplasmic vacuoles and their nuclei were sometimes crescentic by a huge vacuole. Occasional binucleated tumor cells and mitotic figures were present. Cellular debris and streaky materials were identified. Needle biopsy specimen from the pleura revealed anastomosing slit-like spaces lined by pleomorphic tumor cells. The tumor cells showed a strong reactivity for CD31 and vimentin and focal weak reactivity for factor VIII-related antigen.

  • PDF

급성호산구성폐렴으로 발현된 전자담배 관련 폐 손상: 증례 보고 (Electronic Cigarette or Vaping-Associated Lung Injury Manifested as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 Case Report)

  • 곽정훈;김채리;황성호;용환석;오유환;강은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1호
    • /
    • pp.298-303
    • /
    • 2023
  • 전자담배 관련 폐 손상(electronic cigarette or vaping-associated lung injury)은 전자담배에 의해 발생하는 폐 손상으로, 주된 병리 소견은 기질화폐렴 혹은 미만성폐포손상이며 드물게 급성호산구폐렴을 보인다. 본 증례에서 대마 추출물이 없는 니코틴 액상 전자담배 흡연력의 34세 남자 환자가 급성 호흡기 증상, 흉부 CT에서 양측 폐하엽의 주변부의 다발성 경화와 간유리음영, 미만성의 소엽간격막 비후, 흉막삼출을 보였다.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는 호산구증이 있었고 감염성 검사들은 모두 음성으로 보였기에 진단기준에 부합하는 급성호산구 폐렴으로 발현한 대마 추출물이 없는 니코틴 액상 전자담배 관련 폐 손상의 희귀한 증례를 보고한다.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의 임상적 고찰 (Acute and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 현대성;여동승;김진우;이상학;이숙영;김석찬;서지원;송소향;김치홍;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4호
    • /
    • pp.795-804
    • /
    • 1998
  • 연구배경: 만성 호산구성 폐렴은 장기간의 호흡기계 증상, 흉부 엑스선상의 미만성 침윤, 폐 및 말초혈액의 호산구증 및 스테로이드 치료에 극적인 반응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만성적이고 재발되는 간질성 폐 질환이다.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만성 호산구성 폐렴과 유사하나 임상경과가 빠르고 스테로이드 치료로 호전되며 재발이 없는 질환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진단 기준을 포함한 급성 호산구성 폐렴에 대한 재평가가 시도되고 있는 실정이며, 급성 호산구성 폐렴의 진단 기준이 다소 제한적이라는 연구도 보고되고 있다. 저자 등은 본원에 내원한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환자의 임상적인 특정과 임상경과를 알아보고 서로 비교하여보았다. 방 법: 1992년부터 1997년까지 가톨릭 의과대학 7개 부속 병원에서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으로 진단된 16예의 임상상을 요약하였다. 급성 및 만성 호산구성 폐렴의 진단 기준으로는 기침, 발열, 호흡곤란의 호흡기계 증상이 있고, 흉부 X-선과 전산화 단층촬영에서 폐침윤이 있는 환자로, 폐 호산구증은 기관지 폐포 세척과 경기관지 폐생검 및 개흉 폐생검으로 진단하였으며, 호산구증을 일으키는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곁 과: 16명의 환자 중 급성 호산구성 폐렴환자가 7명 (남자 5명, 여자 2명), 만성 호산구성 폐렴환자가 9명 (남자 5명, 여자 4명) 이었다. 평균 연령은 AEP 환자 $24.6{\pm}7.9$세, CEP환자 $55.4{\pm}15.12$세로 CEP환자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p<0.05), $38^{\circ}C$ 이상의 고혈이 AEP 환자 100%(7/7), CEP환자는 11%(1/9)가 있었다. 내원 전 증상의 기간은 AEP환자가 $2.6{\pm}1$일, CEP환자가 $44.7{\pm}25.5$일이었다 (p<0.05). 흉부 방사선 소견상 양측성 폐렴 침윤은 AEP환자100%(7/7), CEP환자는 89%(8/9)가 있었으며, 흉수는 AEP환자86%(6/7), CEP환자 22%(2/9)가 있었다. 평균 말초 혈액 백혈구 수는 AEP환자 17, $186{\pm}8,134/mm^3$, CEP환자 $12,867{\pm}6,040/mm^3$이었고, 호산구분획은 AEP환자 $6.6{\pm}6.7%$(0~20%), CEP환자 $11.3{\pm}21.1%$(0~65%) 이었으며 AEP환자는 추적검사에서 내원 4~7 병일째 (23.7~51%) 가장 높았다, 평균 말초 혈액 호산구 수는 AEP환자 $939{\pm}1,042/mm^3$, CEP환자 $2,104{\pm}4,966/mm3^$이었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 검사에서 평균 호산구분획은 AEP환자 $32.4{\pm}14.5%$(18~47%), CEP환자 $35.8{\pm}26.7%$(15.3~88.2%) 이었다. 동맥혈 가스 검사상 평균 $PaO_2$는 AEP환자 $44.1{\pm}15.5mmHg$, CEP환자 $62.7{\pm}6.9mmHg$로 AEP환자에서 더 낮았다 (p<0.05). 모든 환자에서 확진 전에 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확진 후에 AEP환자 7명 중 1명은 스테로이드 투여후 호전되었고, 6명은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지 않고서 호전되었다. CEP환자는 모두에서 확진 후에 스테로이드를 투여하였으며 임상적 호전을 보였다. AEP환자들은 재발이 없었으며, CEP환자 중 3명이 스테로이드 투여 중단 또는 감량 후에 재발이 있었으며 이들중 2명용 천식의 병력이 있는 환자들이었다. 결 론: 급성 호산구성 폐렴은 만성 호산구성 폐렴에 비해 비교적 젊은 사람에게서 고열, 기침, 호흡곤란의 급성 호흡기계 증상을 동반하며, 저산소증이 심하고, 스테로이드 치료에 반응 하지만, 대증요법으로 호전을 보이는 경우도 있는 질환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