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osinophil Cationic Protei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Serum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 as a Useful Noninvasive Marker of Eosinophilic Gastrointestinal Disease in Children

  • Hae Ryung Kim;Youie Kim;Jin Soo Moon;Jae Sung Ko;Hye Ran Ya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7권2호
    • /
    • pp.79-87
    • /
    • 2024
  • Purpose: Recently, the prevalence of eosinophilic gastrointestinal disease (EGID) has shown an increasing trend worldwide. As the diagnosis of EGID requires invasive endoscopy with biopsy, noninvasive markers for detecting EGID in suspected patients, particularly children, are urgently need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accuracy of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beyo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in pediatric patients with EGID. Methods: Overall, 156 children diagnosed with EGID were enrolled and 150 children with functional abdominal pain disorder (FAPD) were recruited as controls. All participants underwent endoscopic biopsy in each segment of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and serum ECP measurement, as well as peripheral eosinophil percent and absolute eosinophil count. Results: Comparing EGID (n=156) with FAPD (n=150) patients, serum EC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ediatric patients with EGID than in those with FAPD (25.8±28.6 ㎍/L vs. 19.5±21.0 ㎍/L, p=0.007),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ipheral eosinophil percent and absolute eosinophil counts between the two groups. Serum ECP levels were correlated with peripheral eosinophil percent (r=0.593, p<0.001) and the absolute eosinophil count (r=0.660, p<0.001). The optimal cutoff value of serum ECP for pediatric EGID was 10.5 ㎍/mL, with a sensitivity of 69.9% and a specificity of 43.4% with an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of 0.562. Conclusion: The combination of serum ECP levels and peripheral eosinophil counts, when employed with appropriated thresholds, could serve as a valuable noninvasive biomarker to distinguish between EGID and FAPD in pediatric patients manifesting GI symptoms.

아토피피부염 환자 20명에 대한 임상적 고찰과 ECP의 변화 (The Clinical Study Of Atopic Dermatitis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in Atopic Dermatitis)

  • 권미원;이해자;박은정;황우준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1-132
    • /
    • 2000
  • Background : The level of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 is elevated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serum ECP as a tool of evaluate the efficacy of herb medicine for atopic dermatitis. Material and Method : We investigated 20 patients suffering from atopic dermatiti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serum level of ECP, IgE, Eosinophil count, and clinical disease activity. Result: Significant elevation in the serum level of ECP, IgE, Eosinophil count is observed in Atopic Dermatitis. Conclusion : The serum level of ECP may be considered to be an useful tool in evaluate effect of herb medicine for atopic dermatitis.

  • PDF

Effect of processed foods on serum levels of eosinophil cationic protein among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 Lee, Ji-Min;Jin, Hyun-Jung;Noh, Geoun-Woong;Lee, Sang-S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224-229
    • /
    • 2011
  •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D) in school-age children has increased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s diet is one of the main factors provoking AD, some studies have suggested that food additives in processed foods could function as pseudoallergens, which comprise the non-immunoglobulin E-mediated reaction.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is an eosinophil granule protein released during allergic reactions to food allergens in patients with AD. Thus, serum ECP levels may be a useful indicator of ongoing inflammatory processes in patients with A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ing MSG in processed foods on serum ECP levels among children with AD.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13 patients with AD (age, 7-11 years) who had a normal range of total IgE levels (< 300 IU/ml). All participants ate normal diets during the first week. Then, six patients were allocated to a processed food-restricted group (PRDG) and seven patients were in a general diet group (GDG). During the second week, children in the PRDG and their parents were asked to avoid eating all processed foods. On the third week, children in the PRDG were allowed all foods, as were the children in the GDG throughout the 3-week period. The subjects were asked to complete a dietary record during the trial period. Children with AD who received the dietary restriction showed decreased consumption of MSG and decreased serum ECP levels and an improved SCORing score on the atopic dermatitis index (P < 0.05). No differences in serum ECP levels or MSG consumption were observed in the GDG. Serum total IgE levels were not changed in either group. In conclusion, a reduction in MSG intake by restricting processed food consumption may lead to a decrease in serum ECP levels in children with AD and improve AD symptoms.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a novel biomarker for diagnosis and monitoring of asthma

  • Kim, Chang-Keu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1호
    • /
    • pp.8-12
    • /
    • 2013
  • Asthma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eosinophils in tissues, body fluids, and bone marrow. Elevated levels of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have been noted in asthma patients. Higher levels of EDN and ECP are also associated with exacerbated asthmatic conditions. Thus, EDN, along with ECP, may aid the diagnosis and monitoring of asthma. Several groups have suggested that EDN is more useful than ECP in evaluating disease severity. This may partially be because of the recoverability of EDN (not sticky, 100% recovery rate), as ECP is a sticky and more highly charged protein. In terms of clinical utility, EDN level is a more accurate biomarker than ECP when analyzing the underlying pathophysiology of asthma. As a monitoring tool, EDN has shown good results in children with asthma as well as other allergic diseases. In children too young to fully participate in lung function tests, EDN levels may be useful as an alter native measurement of eosinophilic inflammation. EDN can also be used in adult patients and in multiple specimen types (e.g., serum, sputum,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nasal lavage fluid). These results are repeatable and reproducible. In conclusion, EDN may be a novel biomarker for the diagnosis, treatment, and monitoring of asthma/allergic disease.

천식 증상 환아에서 기관지과민성의 지표로서 혈액 내 호산구와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ECP) (Blood Eosinophil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as a Marker of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in Children with Suspected Asthma)

  • 박양;강희;강은경;고영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2호
    • /
    • pp.1577-1584
    • /
    • 2002
  • 목 적 : 소아기와 청소년기의 기관지 염증과 기관지 과민성의 비침습적인 지표로서 혈액 내 호산구 수와 ECP 농도의 측정의 의미를 판정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2월부터 2002년 1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한 만 6세에서 18세 사이의 천식이 의심되는 환아 87명을 대상으로 메타콜린 흡입 유발 시험을 시행하여 $FEV_1$$PC_{20}$을 측정하고 메타콜린 흡입 유발 시험으로 측정된 $PC_{20}$에 따라 4개의 군(I군 : 2 mg/mL 미만, II군 : 2-8 mg/mL, III군 : 8-18 mg/mL, IV군 : 18 mg/mL 이상)으로 분류하여 이들 각 군 간의 임상적 특성과 $PC_{20}$에 따른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의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PC_{20}$ 18 mg/mL을 기준으로 기관지과민성 양성군과 기관지과민성 음성군으로 재분류 하여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에서 분류된 네 군에서 혈액 내호산구 수는 각 군 사이에서 차이가 있었고 메타콜린 $PC_{20}$가 증가함에 따라 혈액 내 호산구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청 ECP 농도도 각 군 사이에서 차이가 있었고 메타콜린 $PC_{20}$가 증가함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메타콜린 $PC_{20}$가 증가 함에 따라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역(逆)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기관지과민성 양성군($PC_{20}$ 18 mg/mL 미만)과 음성군($PC_{20}$ 18 mg/mL 이상)으로 재분류 한 두 군 사이에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는 유의한 정(正)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본 결과는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가 천식 환아에서 기관지 염증과 기관지과민성을 반영한다는 결과를 보여주며, 기관지과민성 유무를 판별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천식 환아에서 요중 Eosinophil Protein X의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 시험 전·후의 변화 (Differential Excretion of Urinary Eosinophil Protein X after Methacholine Challenge Test in Children with Asthma)

  • 신수아;오재원;이하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5호
    • /
    • pp.495-499
    • /
    • 2003
  • 목 적 : 천식 환아에서 호산구 활성도를 반영하는 ECP 혹은 EPX치는 대부분 상승되어 있으므로 이들 지표들은 천식의 질병활성도와 관련되어 있어 치료 효과의 추적 및 판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요중 EPX는 모든 연령의 환아에서 비침습적으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산구 활성 지표로서 요중 EPX의 유용성을 살피고자 메타콜린 기도 유발 시험을 시행하여 천식의 병력 기간, 기관지 과민 반응과의 관계를 살펴 천식의 정도 판정 및 관리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 법 : 경증 또는 중등증 천식 환아 중 증상이 조절되고 있는 8세에서부터 19세까지의 25명을 대상으로 메타콜린 기도 유발 시험을 시행하고 소변을 채취하여 요중 EPX를 측정하였다. 결 과 : 요중 EPX치는 초기 기도 반응(0-3시간)에서 유발 시험 전의 기저치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부분 환아에서 요중 EPX는 후기 기도 반응(4-7시간)시 약간의 증가를 보이고 이후에는 기저치로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요중 EPX는 PC20 농도가 낮을수록, 천식의 병력이 오래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 요중 EPX 측정은 비침습적이고 손쉬운 방법으로 기도 염증 반응 및 과반응을 평가하고 나아가 천식 관리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중증 및 중등증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기도과민성과 기관지확장제 반응성 및 혈청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Bronchodilator Response,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Level in Moderate to Severe Asthmatics)

  • 박성진;강순복;권정혜;이상훈;정도영;유지훈;김상훈;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96-204
    • /
    • 2001
  •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수축과 기도과민성 및 기도 염증을 특정으로 하는 만성염증성 질환으로 이중 호산구는 기관지천식의 병태생리 기전 중에서 기관지점막 상피세포의 손상을 초래하여 궁국적으로 기도과민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식환자의 혈액, 기관지 폐포세척액 및 기관지 점막내의 호산구 증가는 기관지 폐쇄정도 및 기도과민성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활성화된 호산구 수와 혈중 ECP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고, 기관지천식의 경과 판정에 유용한 지표로 제시되었으나, 정확한 임상적 유용성이 확립된 바는 없다. 이에 혈중 ECP 농도를 측정하여, 즉시형의 가역적인 기도확장반응과 기도과민성($PC_{20}$)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말초혈액 호산구수와 비교하여 혈중 ECP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관지천식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중 일초간 호기량의 에측치($FEV_1$ % p)가 80% 이하이었던 중등증 및 중증 천식환자 71명을 대상으로 하여,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호산구수와 총 IgE농도, ECP를 측정하였고,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과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하였다.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군과 비반응군간에 나이, 성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 IgE, $FEV_1$/FVC(%), $FEV_1$(% to predictive value) 등에도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며 호산구수도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ECP농도는 통계적으로 반응군에서 유의하게 반응군에서 높았으며 $PC_{20}$은 반응군에서 의미있게 낮았다. 그리고 기관지 확장제의 반응 정도와 혈중 ECP농도 및 기도과민성과의 관계에서 혈중 ECP 농도는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기도과민성($PC_{20}$)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혈중 ECP농도와 기도과민성과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혈중 ECP농도는 중등증 및 중증 기관지천식환자에서 급성 기도수축 정도와 기도과민성을 잘 반영하며, 천식의 치료와 임상경과 및 예후에 의미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기관지 확장제의 반응성은 기관지의 염증과 연관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후로 환자의 임상상과 천식의 정도 및 약물치료에 따른 ECP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ssociation between specific IgE to staphylococcal enterotoxin B and the eosinophilic phenotype of asthma

  • Soyoon Sim;Youngwoo Choi;Eun-Mi Yang;Hae-Sim Park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9권4호
    • /
    • pp.659-667
    • /
    • 2024
  • Background/Aims: Sensitization to staphylococcal superantigens (SAgs) could contribute to asthma severity. However, its relevance with eosinophilic phenotype has not yet been clarifie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serum specific IgE levels to SAg and eosinophilic airway inflammation in adult asthmatics. Methods: The serum specific IgE levels to 3 SAgs, including staphylococcal enterotoxin A (SEA) and B (SEB), and toxic shock syndrome toxin-1 (TSST-1) were measured by ImmunoCAP in 230 adult asthmatic patients and 50 healthy controls (HC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serum total/free IgE, and 2 eosinophil-activation markers,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and eosinophil-derived neurotoxin (EDN), were analyzed according to blood eosinophil counts (BEC; 150 cells/µL) and serum specific IgE levels to 3 SAgs (0.35 kU/L). Results: Asthmatic patients showed higher serum specific IgE levels to 3 SAgs than HCs (p < 0.05 for all). The serum total/free Ig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asthmatics with positive IgE responses to 3 SAgs than those without (p < 0.05 for 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parameters including age, asthma severity, comorbidities, or smoking according to IgE responses to 3 SAgs. Patients with positive IgE responses to SEB (not to SEA/TSST-1) had higher serum specific IgE levels to house dust mites and ECP/EDN as well as higher BEC wit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rum SEB-specific IgE levels and BEC/ECP/EDN (p < 0.05 for all).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rum SEB-specific IgE levels could contribute to eosinophil activation as well as IgE production in adult asthma.

보완대체의학의 천식 흡입치료제 연구 동향 (Research trends of inhalation drug for asthma i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 양수영;오지석;박양춘;오영선;이용구
    • 혜화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papers of Complementary Medicine concerning the inhalation drug for asthma published in Pubmed during lately 10 year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1. There were 5 papers concerning 2 review articles, 2 experimental studies and 1 clinical study. 2. Interventions of research papers are glutathione, microorganism fermentation extract (EM-X), ginkgolide and compound Chinese herbal monomer recipe (ligustrazin, baicalin, ginkgolide). 3. There is no controlled study for effect of inhaled glutathione, on the contrary it induced bronchial constriction in sulfites sensitive asthmatics. 4. Inhalation of EM-X reduced airway hyper-reactivity and level of IL-4, IL-5 and IL-13 in OVA challenged asthmatic mice. 5. Ginkgolide nebulized inhalation reduced symptomatic scorings and eosinophil cationic protein, improved FEV1 and PEF. 6. Compound Chinese herbal monomer (CHM) recipe reduced blood eosinophil count, eosinophil count and total cell cound in BALF, depress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airway inflammation.

  • PDF

기관지 과민성을 가진 장기간 천식 관해 상태의 청소년에서 혈액 내 호산구와 혈청 호산구 양이온 단백에 대한 연구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s and Serum ECP in Adolescents with Long-term Asthma Remission and Persistent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 Comparison with Adolescents with Symptomatic Asthma)

  • 강희;유영;유진호;박양;고영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0호
    • /
    • pp.1013-1018
    • /
    • 2003
  • 목 적 : 천식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BHR의 기전으로 호산구성 기도 염증 반응이 중요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 천식 관해 상태인 청소년에서 BHR이 지속되는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장기간 천식 관해 된 청소년에서의 BHR이 호산구성 기도 혈액내 총 호산구 증가와 혈청 ECP 농도의 증가와 연관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방 법 :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과 외래에서 아토피성 천식으로 진단되었던 청소년 중 임상적으로 장기간 관해(최근 2년간 천식 증상이 없고 치료가 필요 없었던 경우)되었으나 BHR이 잔존하는 35명과 이들과 서로 대응하는 BHR을 갖고 있으면서 현증을 보이는 아토피 천식 청소년 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두 군간의 총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를 비교하고 각 군에서 총 호산구 수 및 혈청 ECP 농도와 $PC_{20}$ 사이에 상관 관계가 있는 지 분석하였다. 결 과 : 장기간 관해 된 군의 혈액 내 호산구 수와 혈청 ECP 농도의 평균값이 현증을 보이는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273{\pm}108$ vs. $365{\pm}178/{\mu}L$; $16.3{\pm}9.4$ vs. $26.5{\pm}15.1{\mu}g/L$, both, P<0.05). 현증을 보이는 군에서는 메타콜린 $PC_{20}$에 따라 혈액 내 호산구 수 및 혈청 ECP 농도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r=-0.385, P=0.022; r=-0.439, P=0.008) 장기간 관해 된 군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292, P=0.089; r=-0.243, P=0.159). 결 론 : 이와 같은 소견은 장기간 관해시의 BHR은 호산구성 염증과 연관성이 없으며 현증 천식에서의 BHR과는 다른 기전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기간 천식 관해 된 청소년에서 BHR이 잔존하는 기전에 대하여 정확히 밝히기 위해서 향후 BAL, 조직 검사, 유도 객담 등을 이용한 연구를 시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