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zymatic protein hydrolysate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4초

효소가수분해에 의한 유청단백질의 항원성 저하 (Reduction of the Antigenicity of Whey Protein by Enzymatic Hydrolysis)

  • 하월규;전석락;김정완;이수원;이재영;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4-80
    • /
    • 1994
  • 효소에 의한 단백질분해가 유청단백질의 항원성의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기본연구로서,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특성을 조사하고 competitive inhibitio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cELISA)에 의한 항원성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는 chymotrypsin, trypsin, pancreatin, 그리고 Aspergillus oryzae유래의 protease를 각기 4시간 동안 행하였다. TNBS(trinitrobenzensulfonic acid)법에 의하여 측정한 유청단백질의 가수분해도(DH)는 chymotrypsin이나 trypsin을 처리한 경우$(5.05{\sim}11.47)$보다 Aspergillus oryzae유래의 protease 및 pancreatin을 처리한 경우$(15.67{\sim}20.20)$가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각 효소의 처리전에 열처리($75^{\circ}C$, 20분)나 pepsin의 처리를 한 경우에 대체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High performance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HPSEC)에 의하여 분자량분포를 조사한 결과, 가수분해물에 따라 10kDa 이상의 polypeptide가 $12{\sim}36%$ 정도 존재하였고, 평균분자량은 $4,252{\sim}9,132$ dalton, 평균길이는 아미노산 $38{\sim}83$개로 나타났다. 또한 쓴맛은 형성되지 않았다. SDS-PAGE의 결과 처리구에 따라 분자량 14.2kDa 이상의 polypeptide가 일부 존재하였으나 native 유청단백질은 대부분 가수분해에 의하여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토끼 항WPI항혈청에 의한 cELISA로 검토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monovalent 항원성은 효소처리에 의하여 약 $10^{-1.7}{\sim}10^{-4.9}$배 또는 그 이하로 저하되었으며 대체로 가수분해가 많이 일어난 분해물은 그 항원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처리구내에서는 열 및 pepsin의 전처리후 다음 효소 분해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CDP, TDP, PDP, ODP)의 경우 그 항원성이 가장 낮았다. 그중에서도 pancreatin 가수분해물(PDP)의 경우 항원성이 거의 상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lastein반응을 이용한 정어리 단백질의 기능성 개선에 관한 연구 -1. 정어리 분말단백질의 pepsin가수분해물을 이용한 plastein의 합성조건- (Studies on the Improvements of Functional Properties of Sardine Protein by Plastein Reaction -1. Synthetic Conditions of Plasteins from the Enzymatic Hydrolysate of Sardine Protein-)

  • 김세권;곽동채;조덕제;이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3-241
    • /
    • 1988
  • 어육 단백질의 기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정어리 분말단백질의 pepsin가수분해물을 이용하여 plastein을 합성하기 위한 반응조건을 검토하였다. plastein합성반응 최적조건으로서는 pepsin, ${\alpha}-chymotrypsin$, protease(from Aspergillus saitoi) 및 papain의 경우 PH는 각각 4, 7, 5 및 6, 기질농도는 pepsin과 ${\alpha}-chymotrypsin$의 경우 40%였으나 protease와 papain은 50%였다. 온도는 4종의 효소 모두가 $50^{\circ}C$였다. 기질의 가수분해도가 60%이상에서 plastin합성반응이 이루어졌으며, 가수분해도가 78.4% 이상이었을 때 plastein 생성량은 높았다.

  • PDF

말쥐치육 단백질의 효소적 가수분해물을 이용한 Plastein의 합성 및 그 물성 2. Plastein의 일반적 성상과 IR Spectrum (Synthesi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Plastein from the Enzymatic Hydrolysates of Filefish Protein 2. General Properties and IR Spectrum of Plasteins)

  • 김세권;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31-440
    • /
    • 1987
  • Papain, pepsin, $\alpha-chymotrypsin$ 및 protease을 이용하여 말쥐치육 단백질의 pepsin가수분해물로 부터 합성한 plastein과 유리 glutamic acid 및 leucine을 도입시킨 plastein의 일반성분, 아미노산조성, 분자량, 색조 및 IR spectrum을 측정하여 비교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Plastein의 단백질함량은 $76.4\~79.0\%$였으나 protease plastein만이 $72.4\%$로 다소 낮았으며, 회분함량은 $7.4\~11.8\%$로 Glu-papain plastein과 Leu-papain plastein의 $3.9\%$$4.1\%$보다 높았고, 지방 함량은 $0.3\~0.9\%$ 범위였다. 수율은 papain plastein이 $55\%$로 가장 높았고, pepsin plastein, $\alpha-chymotrypsin$ 및 pretense plastein은 각각 $47.6\%,\;38.3\%,\;23.6\%$ 였으며, Glu-papain plastein과 Leu-papain plastein은 각각 $35.0\%,\;45.7\%$ 였다. Plastein 종류에 따른 아미노산조성에는 큰 차이는 없었으며, Glu-papain plastein과 Leu-papain plastein의 glutamic acid 및 leucine함량은 각각 $38.7\%,\;41.7\%$였으나 대조구인 papain plastein에서는 이들의 함량이 $14.0\%,\;10.1\%$에 불과하였다. Gel여과법에 의한 가수분해물의 분자량은 2,000 및 310인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이외에도 분자량이 1,600 및 120인 획분도 존재하였다. Plastein의 분자량은 papain plastein이 21,000 및 4,900 였으며, pepsin plastein 24,000, $\alpha-chymotrypsin$ plastein 18, 500, protease plastein 6,700, Glu-papain plastein 24,000, Leu-papain plastein은 17,000 이었다. IR spectrum상에서는 동결건조육, FPC및 가수분해물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plastein의 경우는 이들과 달리 $800\~850\;cm^{-1},\;700\~750\;cm^{-1}$600\~700\;cm^{-1}$에서 강한 흡수띠가 나타났지만 protease plastein만이 흡수띠가 비교적 약하였다. Glu-papain plastein은 amide I의 흡수띠가 넓게 퍼진 반면에 $1,440cm^{-1}$에서 새로운 흡수띠가 나타났다. 그러나 Leu-papain plastein의 경우는 특징적인 흡수띠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정어리 분말(粉末) 단백질(蛋白質)의 효소적(酵素的) 수식(修飾) (Enzymatic Modification of Sardine Protein Concentrate)

  • 김세권;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34-241
    • /
    • 1987
  • 어육(魚肉) 단백질(蛋白質)의 기능성(機能性)을 개선(改善)하기 위해 정어리 분말단백질(粉末蛋白質)의 pepsin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을 이용(利用)하여 plastein을 합성(合成)하기 위한 반응조건(反應條件)을 검토(檢討)하였다. Plastein의 합성조건(合成條件)은 papain 및 pepsin의 경우 pH는 각각(各各) 6, 4, 기질농도(基質濃度)는 각각(各各) 50%, 40%, 반응시간(反應時間) 및 효소농도(酵素濃度)는 각각(各各) 2시간(時間), 1%였으며 반응온도(反應溫度)는 papain 및 pepsin 모두 $50^{\circ}C$였다. 기질(基質)의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가 60% 이상(以上)에서 plastein 합성반응(合成反應)이 이루어졌으며 가수분해도(加水分解度)가 77.2% 이상(以上)이었을 때 plastein 생성량(生成量)이 높았다.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은 50% ethanol 침전(沈澱) plastein이 90% 정도(程度)로 10% TCA 침전(沈澱) plastein의 74%에 비(比)해 높았으나 회분(灰分) 함량(含量)은 10% TCA 침전(沈澱) plastein이 14.4%로 50% ethanol 침전(沈澱) plastein의 1.2%보다 월등히 높았다. 수율(收率)은 papain의 경우 10% TCA 침전(沈澱) plastein 및 50% ethanol 침전(沈澱) plastein이 각각(各各) 49.5%, 43.6%로서 pepsin plastein의 45.3%, 41.0%보다 약간 높았다.

  • PDF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간췌장 유래 Exopeptidase 분획물의 쓴맛개선 효과 (Debittering of Enzymatic Hydrolysate Using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from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Hepatopancreas)

  • 김진수;김민지;김기현;강상인;박성환;이현지;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5-143
    • /
    • 2014
  •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from the hepatopancreas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were obtained with acetone (AC 30-40%), ammonium sulfate (AS 60-70% satura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E-II, 0.2 M NaCl)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GF-I, 30-50 kDa) fractionation methods. A bitter peptide solution that has a bitterness equivalent to that of 2% glycylphenylalanine and prepared by tryptic hydrolysis of milk casein, was treated with the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The GF-I fraction was the best based on aminopeptidase activity (35.3 U/mg), percentage of recovery (30.7%) and a sensory evaluation (1.7). The amount of released amino acids increased as incubation time increased, and the bitterness of the enzyme reaction mixtures decreased. Incubation with the GF-I fraction for 24 h resulted in the hydrolysis of several peptides as revealed by the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guid chromatography profile, with three peaks (3, 5 and 6) decreasing in area (%) and three peaks (1, 2 and 4) increasing in area (%). Therefore, the GF-I fraction appeared to be ideally suited to reduce bitterness in protein hydrolysates by catalyzing the hydrolysis of bitter peptides.

Isolat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tive Bioactive Elastin Peptides from Poultry Skin

  • Nadalian, Mehdi;Kamaruzaman, Nurkhuzaiah;Yusop, Mohd Shakir Mohamad;Babji, Abdul Salam;Yusop, Salma Mohamad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966-979
    • /
    • 2019
  • Muscle-based by-products are often undervalued although commonly reported having a high amount of natural bioactive peptides. In this study, elastin was isolated from the protein of broiler hen skin while its hydrolysate was prepared using Elastase. Assessment of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lastin-based hydrolysate (EBH) was based on three different assays; 2,2-diphenyl-1-picryl-hydrazyl-hydrate (DPPH) radical,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 and metal chelating ability. The EBH was purified further using ultrafiltration, gel filtration and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The IC50 of ABTS radical activities for EBH were decreased as EBH further purified using ultrafiltration (EBH III; 0.66 mg/mL)>gel filtration (EB-II; 0.42 mg/mL)>RP-HPLC (EB-II4; 0.12 mg/mL). The sequential identification of the peptide was done by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TOF-MS) of the potent fractions obtained from RP-HPLC (EB-II4). The presence of hydrophobic amino acids (Val and Pro) in the peptide sequences could potentially contribute to the high antioxidant activity of EBH. The sequences GAHTGPRKPFKPR, GMPGFDVR and ADASVLPK were identified as antioxidant peptides. In conclusion, the antioxidative potential from poultry skin specifically from elastin is evident and can be explored to be used in many applications such as health and pharmaceutical purposes.

효소 분해에 의한 가다랭이 혈합육 단백질 농축물의 단백질 보강제로서의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with the Protein Forthification Material of Skip-jack Dark Meat Protein by Enzymatic Hydrolysis)

  • 우강융;배영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23-329
    • /
    • 1995
  • 가다랭이 통조림 제조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혈합육의 식품소재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다랭이 혈압육 단백질 농출물과 ${\alpha}-chymotrypsin$으로 단백질 농축물을 가수분해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만들어 이들의 용해도, 가수분해도, 유리아미노산 함량 등을 측정하고, 모조 어간장 및 어묵제조시 첨가하여 관능검사를 통하여 기호성 등을 평가하였다. 단백질 농축물의 pH 1 부터 12 사이에서의 용해도는 전 구간에 걸쳐 36% 이하였고, pH 7에서 가장 낮은 22%를 보였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용해도는 전 구간에 걸쳐 65%에서 81%로 나타났고, 용해도가 가장 낮은 pH는 7이었다. 용해도 곡선의 양상은 두 단백질에서 비슷하였다. 단백질 농축물의 가수분해도는 가수분해 12시간에서 79.8%였고 그 이상의 시간에서는 약간의 증가만 나타내었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단백질 농축물이 단백질 가수분해물 보다 약간 높았으나, 총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두 단백질 모두 taurine의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단백질 농축물에서는 taurine, histidine, arginine, alanine 순으로 많은 함량을 보였고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는 valine, taurine, leucine, alanine순으로 많이 함유하였다.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모조 어간장 제조시 첨가할 경우 모조 어간장 제조 원료액 100ml당 8g의 첨가가 적당하였고, 관능검사 결과 시판 어간장과 비교하여 손색이 없었다. 어묵제조시 단백질 가수분해물을 2%까지 첨가여도 품질면에서 손색없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도축 폐혈액 단백질로부터의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 펩타이드의 생산 (Production of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Bovine Blood Plasma Proteins)

  • 현창기;신현길
    • KSBB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600-605
    • /
    • 1999
  • 본 연구는 도축 폐기물인 가축혈액을 이용하여 항고혈압 기능성 식품소재로서의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 펩타이드 분획을 생산하기 위한 조건과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단백분해효소 중 Alcalase가 혈장 원액 및 그로부터 분리된 albumin에 대하여 가장 높은 활성의 가수분해물을 생성하였다. 특히 albumin의 Alcalase 가수분해물과 이를 gel chromatography를 통새 분획하여 얻은 고활성 분획의 $IC_50$값은 각각 0.5 및 0.02 mg/mL로서 지금까지 보고된 식품단백질 유래 펩타이드 혼합물들과 비교할 때 활성이 매우 높은 것에 속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고활성 펩타이드 분획은 혈장 원액으로부터 단순한 한외여과만을 거쳐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산업적 실용화 가능성이 높은 공정임을 알게 되었다.

  • PDF

Improvement of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almon FPC by Enzymatic Partial Hydrolysis 2. Rheolog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almon FPC hydrolysates

  • LEE Jong-Ho;LEE Keun-Tai;PARK Seong-Min;PARK Chan-kyu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56-963
    • /
    • 1997
  • To enhance application of FPC in food industry, salmon FPC hydrolysates were produced and their function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Hydrolysates of salmon FPC showed high solubilities ranged from approximately $80\~95\%$. Emulsifying activity index (EAI) values of hydrolysates were higher than that of egg white, however sugar ester showed the highest EAI value of 32.5. Though sugar ester had the best emulsifying stability value $({\Delta}EAI)$ of 9.65, hydrolysates showed better ${\Delta}EAI$ value than that of egg white. Foam Activity of hydrolysates was predominantly better than those of controls and also foam stability value showed similiar trend. Osmolality of hydrolysates wa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egree of hydrolysis (DH) and concentration of protein, but it showed very lower osmolality than that of NaCl. Flow property of hydrolysates showed different upward-downward curves, and hysteresis loop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H. ACE inhibitory activity showed similiar value ranged from $21.1\~24\%$ at all DH values.

  • PDF

미강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담즙산 결합 획분의 분리 및 특성구명 (Isolation and Partial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Bile Acid-Binding Fraction from Rice Bran Protein Hydrolysates)

  • 조완일;문태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17-426
    • /
    • 1997
  • 미강을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는 기능성 식품소재의 원료로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미강 단백질의 가수 분해물을 제조하여 담즙산 결합 획분을 분리하고 일부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미강 단백질을 탈지 미강으로부터 알칼리 추출과 등전점 침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미강 단백질을 기질로 하여 pH-drop method로 측정한 효소의 상대적 활성과 가수분해시 가수분해율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여 기질의 가수분해에 적합한 효소를 선택하였다. Esperase에 의한 가수분해물을 한외여과(MWCO : 10 kDa)하여 두 부분으로 나누었다. 각 분획물을 cholic acid를 공유결합 시킨 ${\omega}-aminohexyl$ Sepharose 4B column에 걸어, 소수성 상호작용에 의해 cholic acid와 결합하는 폴리펩티드 및 펩티드를 deoxycholate 완충용액으로 용출시켜 분리하였다.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Sephadex G-50)를 이용하여 한외여과 여과백의 담즙산 결합물에 대해 분자량 분포를 측정한 결과, 대부분 $2\;kDa{\sim}10\;kDa$에 걸쳐 넓게 분포하였고 일부는 $0.2\;kDa{\sim}0.6\;kDa$사이에 존재하였다. 한외여과 잔류액의 담즙산 결합물에 대해서는 preparative reverse phase HPLC를 실시하여 미강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3개(R-1, 2, 3)의 Peak를 분리하였다. 각 peak의 총 아미노산과 유리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하여 단백질, 폴리펩티드 및 펩티드 부분의 아미노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미강 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얻은 peak의 경우 proline 함량이 미강 단백질의 4배에 달했고, 평균 소수도가 높은 peak일수록 유리 아미노산이 함량이 높았으며 평균 소수도는 미강 단백질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