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tobacco smoke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74초

황사 기간 동안에 어린이, 성인, 노인에서의 자각증상과 예방행동에 대한 조사연구 (Study on Perceived Symptoms and Preventive Behaviors during Asian Dust storms among Children, Adults and Elders)

  • 이보은;하은희;박혜숙;권지숙;신경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5-25
    • /
    • 2005
  • Purpose: Recently there are scientific evidences for the health effects of Asian dust-storms. Particularly in 2002, the daily average of $PM_10$ exceeded 600 and 700 $\mu{g}/m^3$ in March and April respectivel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sian dust‐storms on perceived symptoms and preventive behaviors among children, adults, and elder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5 children, 444 adults and 60 eld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children and the adults by teachers and on the elders by interviewers to obtain information on demographic variables, perceived symptoms and preventive behaviors, previous respiratory disease,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roximity between the house and the road during Asian dust-storms. W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ers, we estimated the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of the children and the elders for perceived symptoms and preventive behaviors. Result: The eld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respiratory symptoms than the other groups. The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than the adults in getting URI (1.51), coughing (1.68), rhinorrhea (1.46), fever (2.39) and medication for allergy or asthma (1.90). The children had better behaviors than the elders in closing windows (3.57), taking less outdoor recreational activity (2.59) and staying home (2.60).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hildren and elders are susceptible to the effects of Asian dust on health. Health educators should inform these populations about the influence of Asian dust and provide health education for preventive behaviors.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에서 Glutathione S-transferase(GST)M1, GSTT1 및 GSTP1유전자 다형성 및 유전적 감수성 (Polymorphism of Glutathione S-Transferase(GST)M1, GSTT1, GSTP1 and Genetic Susceptibility to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in Korean Population)

  • 태경;서인석;강미정;조석현;김경래;이형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0-156
    • /
    • 2002
  • Objectives: Most of human cancers may result from exposure to environmental carcinogens, and individual effectiveness in the detoxification of these chemicals will influence susceptibility to malignant disease. Glutathione S-Transferases(GSTs) enzymes are involved in the detoxification of active metabolites of many carcinogens from tobacco smoke and may be important in modulating susceptibility to smoke-related canc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olymorphism of GSTM1, GSTT1, and GSTP1 in control group and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group of Korea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STs polymorphism on the risk of head and neck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was performed with a group of 133 control individual and 136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The polymorphisms of GSTs were analysed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GSTM1 and GSTTl,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in GSTP1. Results: The relative risk (odds ratio) of GSTM(-) genotype was 1.14(95% CI, 0.70-1.85) compared to GSTM1(+). The odds ratio of GSTTl(-) genotype was 0.91(95% CI, 0.55-1.50). In old age($65$) group, the odds ratio of GSTT1(-) genotype was 5.2(95% CI, 1.53-17.89). The GSTP1 Val/Val genotype conferred a 1.7-fold risk(95% CI, 0.40-7.34) of head and neck cancer compared with GSTP1 Ile/Ile genotype. Among the combined genotypes of GSTs, GSTM1(-)/GSTT1(+)/GSTP1 Val/Val and GSTM1(-)/GSTTl(-)/GSTP1 Ile/Val genotypes conferred a 2.6-fold and 1.3-fold risk(95% CI, 0.24-14.15 and 0.43-3.14) compared with the GSTM1(+)/GSTTl(+)/GSTP1 Ile/Ile genotype, respectively. Conclusion: Polymorphism of GSTs might modulate susceptibility to head and neck cancer in Korean population. The genotype of GSTP1 Val/Val and combined genotypes of GSTM1(-)/GSTT1(+)/GSTP1 Val/Val, and GSTM1(-)/GSTT1(-)/GSTP1 Ile/Val might be important risk factors to determine the individual susceptibility to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니코틴 광분해를 위한 산화티타늄 코팅 건축자재 활용 (Application of $TiO_2$-Coated Construction Materials for Nicotine Photo-decomposition)

  • 조완근;전희동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16-32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담배연기를 대표하는 주요 오염물질 중에 하나인 니코틴의 분해를 위해서 산화티타늄 광촉매를 적용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기술적 평가하는 것이다. 광촉매로 코팅된 건축자재를 이용하여 니코틴을 분해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네 개의 기초 실험을 수행하였다. 니코틴의 광촉매 분해와 관련된 다음의 다섯 변수를 조사하였다: 코팅 타일의 건조조건, 코팅 졸의 종류, 코팅횟수, 상대습도, 그리고 초기농도. 변수 시험에 앞서, 실험장치에 대한 니코틴의 흡착 여부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변수 모두가 니코틴의 광산화분해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낮은 온도와 긴 건조시간 조건과 비교할 때 높은 온도와 짧은 건조시간 조건에서 건조된 타일에서 보다 높은 니코틴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ST-KO3 졸로 코팅된 타일이 E-T 졸로 코팅된 타일 보다 높은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코팅횟수가 증가할수록 광산화분해가 잘 일어났다. 높은 상대습도와 낮은 유입농도 조건에서 광산화분해가 잘 일어났다. 결과적으로, 환경담배연기에 포함된 니코틴을 광촉매로 코팅된 건축자재를 적용할 때에는 본 연구에서 평가된 다섯 가지 변수가 모두 고려되어야함이 제안되었다.

사상체질에 따른 류마티스 관절염의 위해요인 및 TNF-${\alpha}$(G308A) 유전자 다형성간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f TNF-${\alpha}$(G308A) Genetic Polymorphism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by Sasang Constitution)

  • 김수영;전형준;이두익;이윤호;최도영;유용구;이재동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137-159
    • /
    • 200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isk factors and the genetic polymorphism of TNF-alpha associ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by Sasang constitution Methods : This study was planned to detect the susceptibility of the patients diagnosed by rheumatoid arthritis to Sasang Constitution and to examine the risk factor such as life style and environmental stress (smoking,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lcohol intake and so on). The genetic polymorphism of TNF-alpha (G308A) were analyzed by PCR-RFLP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controls.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matched controls are assessed with QSCCII question for Sasang Typology. Then the genetic polymorphism of patients by Sasang constitution ar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which a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adjusted by age, sex, smoking status, alcohol intake, BMI, and econocmic status. Results: Differential effect of passive smoking on the association between Sasang constitution and rheumatoid arthritis risk was fou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genetic polymorphism (TNF-${\alpha}$(G308A))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and controls associated with the susceptibility to rheumatoid arthritis by sasang constitution was analyzed. Differential effects of TNF-${\alpha}$(G308) genetic polymorphism on the association between rheumatoid arthritis risk and Sasang constitution were found. Conclusion : It is suggested that the genetic polymorphism correlated with susceptibility to rheumatoid arthritis by specific sasang constitution used as its susceptibility marker and further as basic data to prevent the risk factors for rheumatoid arthritis. But larger studies will be needed to confirm these preliminary findings.

  • PDF

충청북도 일부지역 내 주택 실내 라돈 농도 (A Study on the Concentrations of Indoor Radon for Hous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Korea)

  • 지현아;유주희;김가현;원수란;김선홍;이정섭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668-674
    • /
    • 2019
  • Objectives: Modern people spend most of their day indoors. As the health impact of radon becomes an issue, public interest also has been growing. The primary route of potential human exposure to radon is inhalation. Long-term exposure to high levels of radon increases the risk of developing lung cancer. Radon exposure is known to be the second-leading cause of lung cancer, following tobacco smoke. This study measures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detached houses in area A of Chungcheongbuk-do Province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year, cracks in the houses, the location of installed detectors, and seasonal effect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17 to April 2018 on 1,872 private households located in selected areas in northern Chungcheongbuk-do Province to figure out the year of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location of detector installed and identify the factors which affect radon concentrations in the air within the building. Radon was measured using a manual alpha track detector (Raduet, Hungary) with a sampling period of longer than 90 days. Results: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winter within area A was surveyed to be 168.3±193.3 Bq/㎥. There was more than a 2.3 times difference between buildings built before 1979 and those built after 2010. The concentration reached 195.4±221.9 Bq/㎥ for buildings with fractures and 167.2±192.4 Bq/㎥ for buildings without fractures. It was found that detectors installed in household areas with windows exhibited a lower concentration than those installed in concealed spaces. Conclusion: High concentrations of indoor radon were shown when there was a crack in the house. Also, ventilation seems to significantly affect radon concentrations because when the location of the detector in the installed site was near windows compared to an enclosed area, radon concentration variation increased.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radon concentration is lower in summer because natural ventilation occurs more often than in winter.

부모에 의한 간접흡연 및 부모의 알레르기성 질환력과 소아 천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Environmental Tobacco Smoking, Parental Allergy History and Pediatric Asthma and Wheezing)

  • 이근복;이원영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2호
    • /
    • pp.175-187
    • /
    • 2009
  • 이 연구는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을 고려해 간접흡연 노출과 소아 천식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농촌과 도시를 대표하는 두 개 지역 소재 3개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 중 이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 중 평생 천명, 최근 천명, 의사진단 천식을 비롯해 간접흡연, 부모 알레르기 질환 여부에 응답한 2,301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천식 및 천명을 이 분형 종속 변수로 삼고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최근 1년간 간접흡연에의 노출과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이 천식 및 천명 질환에 미치는 독립 적인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의 알레르기성 질환 병력은 평생 천명, 최근 천명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천식 병력의 경우에는 의사 진단 천식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어머니나 아버지의 최근 흡연과 소아 천식과의 관계는 통계적 유의성을 확보하지 못했다.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과 간접흡연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부모알레르기 질환도 없고 간접흡연 노출도 없는 집단’, ‘부모 알레르기 질환력은 없지만 최근 흡연 노출은 있는 집단’, ‘부모 알레르기 질환력은 있지만 최근 흡연 노출은 없는 집단’, 그리고 ‘부모 알레르기 질환도 있으며 간접흡연 노출도 있는 집단’을 비교해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과 간접흡연의 노출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어머니의 최근 흡연의 경우에 자녀의 최근 천명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으며 아버지의 최근 흡연의 경우에는 평생 천명과 최근 천명에서 유의한 효과를 타나냈다.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과 최근 어머니의 흡연이 모두 없는 집단에 비해서 두 요인 다 있는 집단에서 자녀의 최근 천명이 나타날 교차비는 4.83배(95%CI:189-12.33)로 높았다. 또 아버지가 최근 1년간 흡연을 했으며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이 있는 집단에서는 아버지가 흡연하지도 않고 부모의 알레르기질환도 없는 집단에 비해 자녀의 최근 천명이 나타날 확률이 2.50배(95%CI:1.34-4.70) 높았으며 평생천명이 나타날 확률 역시 2.47배(95%CI:1.64-3.72)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부모의 알레르기 질환력이 있는 경우에는 간접흡연의 노출이 자녀의 천식 및 천명의 유의한 위험 요인이라는 사실을 보여 준다. 따라서 향후에는 간접흡연의 노출과 상호작용하는 특정한 유전자 군에 대한 연구가 필요 할 것이다. 또한 소아 천식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모의 금연을 중심으로 한 간접흡연 노출을 줄일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며 나아가 부모가 알레르기질환이 있는 집단에 대한 집중적인 금연 교육이 소아 천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일부 초.중학생의 간접흡연이 흡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vironmental Tobacco Smoke on the Smoking in Som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 임명실;이무식;나백주;홍지영;유세종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1209-1212
    • /
    • 2010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일부 초, 중학생들의 간접흡연 실태와 그로 인한 현재 흡연 여부 관계를 분석하여 초, 중학생들의 흡연 예방 교육 계획 및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9년 6월 29일부터 7월 11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내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464명과 중학생 47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의 간접흡연 노출 관련성은 가정불화, 성적, 친구관계스트레스가 있는 대상자에게서 높게 조사되었고, 가족 및 주변인의 흡연유무에 따른 간접흡연 실태는 부모 및 친구의 흡연으로 간접흡연에 노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접흡연의 주제공자는 아버지며, 주 간접흡연 피해 장소는 집으로 나타났다. 간접흡연 노출 유무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는 흡연하는 아버지를 둔 대상자가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간접흡연 노출이 높았으며, 흡연하는 친구를 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간접흡연 노출이 높게 나타났다. 현재흡연 여부를 종속변수로 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중학생이 초등학생에 비해 현재흡연율이 높았고, 엄한 가정 분위기 속에서 생활하고 있는 대상자와 흡연하는 친구를 둔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현재흡연율이 높았으며, 간접흡연에 노출 되었던 대상자에게서 현재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초, 중학생의 간접흡연 실태는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또한 대상자들의 현재 흡연은 간접흡연 노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간접흡연의 노출 및 그로 인한 흡연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정 및 학교와 공공장소 등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는 제도적 및 환경적인 조치들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간접흡연에 대한 간접흡연 예방 교육 및 대처방안 교육이 조기에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겠다. 또한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생들에게 필수적으로 흡연예방 교육을 수강하게 하고, 교사들을 위한 연수교육 실시, 학교 흡연예방사업에 부모나 가족을 참여, 흡연예방 사업의 정기적인 평가 실시 등 국가적인 정책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금연법 강화가 흡연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moking Bans on Smoking in Korea)

  • 김범수;김아람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1권2호
    • /
    • pp.127-153
    • /
    • 2009
  • 국내외적으로 간접흡연이나 환경 속 담배연기가 미칠 수 있는 해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그 결과 작업공간 내 금연정책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한국에서도 작업공간 내 금연정책이 2003년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으로 훨씬 강화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2001년과 2005년에 이루어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강화된 금연정책이 흡연율과 일평균 흡연 개비 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금연법강화가 실내 작업공간 위주로 이루어진 점에 착안하여 법 개정의 영향을 많이 받은 실내근무자 직업군과 영향을 비교적 덜 받는 실외근무자 직업군을 비교하였다. 추정 결과, 금연법 강화로 95% 수준에서 유의하게 흡연율은 4.1%p 감소하였고, 흡연자 중 일평균 흡연 개비는 2.5개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