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capacity

검색결과 3,944건 처리시간 0.035초

국내에서 유통되는 활성탄을 이용한 벤젠, 톨루엔, 아세톤 및 노말 헥산의 등온흡착용량 평가 연구 (Research on the Adsorption Capacity for Benzene, Toluene, Acetone and N-hexane of Activated Carbon Acquired fromthe Domestic Market)

  • 이나루;이광용;박두용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3-200
    • /
    • 2014
  • Objectives: To develop domestic charcoal tubes with good adsorption capacity, breakthrough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four types of activated charcoal. Materials: The adsorption capacity and the adsorption rate were determined using a modified Wheeler equation after the breakthrough experiment. For four types of charcoal (J, K, S and SKC Inc. 226-01), 100 mg were used in the breakthrough experiment. The test was done on benzene, toluene, n-hexane, and acetone in a dynamic chamber. Results: K charcoal had the greatest surface area and the highest micropore volume. J charcoal had a similar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to SKC charcoal. S charcoal had the lowest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J charcoal ha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at 101, 252 and 609 ppm of benzene. The gap in benzene adsorption capacity among the types of charcoal was the least at 609 ppm and the greatest at 101 ppm. J charcoal showe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at 54, 106, 228 and 508 ppm of toluene. J charcoal and SKC charcoal had a similar adsorption capacity for acetone. J charcoal had the highest adsorption capacity for n-hexane. In the experiment featuring 10% breakthrough volume, 10% breakthrough occurred at 18 liters at $2065.9mg/m^3$ for J charcoal and at 20 liters at $1771.2mg/m^3$ for K charcoal. It was difficult to judge adsorption capacity by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of charcoal. J charcoal, which was similar to SKC charcoal in surface area and micropore volume, showed good adsorption capacity at common workplace concentrations. Conclusions: The adsorption capacity of J and K charcoal was superior compared with SKC charcoal. J and K charcoal can be considered appropriate for use as sampling media based on this result.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해상 버켓작업대의 모멘트 지지력 산정 (Evaluation of the Moment Bearing Capacity of Offshore Bucket Platforms in Sand)

  • ;구교영;김성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2호
    • /
    • pp.101-109
    • /
    • 2019
  • 버켓작업대는 새롭게 개발되는 해상 구조물로서 교량기초 등의 시공을 위한 장비 및 인력의 임시 작업공간을 제공하는데 이용된다. 버켓작업대는 작업하중의 편심, 파도 및 바람의 수평하중 등에 의해 모멘트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버켓작업대의 모멘트 지지력을 산정하였다. 우선, 버켓에 대한 현장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수치모델링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흙의 밀도, 버켓의 직경과 지중 근입깊이 등 다양한 조건에 대한 변수연구를 수행하였다. 지반조건은 균질한 사질토 조건을 적용하였으며 모멘트 하중은 지지대 상판의 중앙지점 회전각을 증가시켜면서 재하하였다. 모멘트-회전 해석결과로부터 모멘트 지지력을 산정한 결과 지지력이 버켓의 직경과 근입깊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해석결과를 종합하여 버켓작업대의 예비설계를 위한 모멘트 지지력 예측식을 제안하였다.

IGM에 근입된 말뚝의 지지력 해석을 위한 기준침하량 결정방법 제안 (The Analysis of Shaft Deformation for Evaluating the Bearing Capacity of IGM Sosketed Drilled Shaft)

  • 천병식;김원철;서덕동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7-3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에 관한 기존 및 IGM 이론의 적용성을 비교 평가하고, 변위를 고려한 지지력의 결정을 위해 IGM 상단부에서의 기준침하량 결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식은 말뚝의 두부침하량, IGM 상부 토층의 하중전이특성 및 말뚝의 탄성압축 이론에 기초하였다. 특히, 기존 및 IGM 이론의 적용성과 제안식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외 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한 분석이 실시되었다. 재하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제안식이 활용된 IGM 이론에 의해 향후 말뚝 설계시 변위를 고려한 지지력의 해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제안식에 도입된 침하보정계수 $k_m$은 지반상태나 하중전이 특성을 반영하는 계수로서 하중 및 변형 증가에 따라 변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 PDF

개선된 기준으로 시공된 SIP 말뚝의 지지력 평가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Bearing Capacity of SIP Pile Installed by Improved Criteria)

  • 박종배;김정수;임해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5-15
    • /
    • 2004
  • SIP 공법이 국내에서 저소음 저진동 말뚝공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품질관리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지 못하고 실무자들의 공법의 원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시공시 혼선을 초래하고 있어 공법이 본래 가진 지지력을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2년에 대한주택공사에서는 SIP 공법의 시공 및 재하시험기준을 개선하였다. 개선된 기준에 의하여 현장에 시공된 SIP 말뚝에 대하여 재하시험을 통하여 지지력을 평가한 결과 이전 방법으로 시공된 말뚝에 비하여 시공하중의 설계만족도 및 지지력 특성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설계에 반영하면 기초 공사비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상된 지지력 특성을 설계에 반영하기 위하여 재하시험결과를 국내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말뚝 설계식들과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여 적합식을 찾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개선된 기준으로 시공된 SIP 말뚝은 Meyerhof(1976)의 타입말뚝 설계식과 유사한 지지거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odeling shear capacity of RC slender beams without stirrups using genetic algorithms

  • Nehdi, M.;Greenough, T.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3권1호
    • /
    • pp.51-68
    • /
    • 2007
  • High-strength concrete (HSC) is becoming increasingly attractive for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since it offers a multitude of benefits over normal-strength concrete (NSC). Unfortunately, current design provisions for shear capacity of RC slender beams are generally based on data developed for NSC members having a compressive strength of up to 50 MPa, with limited recommendations on the use of HSC. The failure of HSC beams is noticeably different than that of NSC beams since the transition zone between the cement paste and aggregates is much denser in HSC. Thus, unlike NSC beams in which micro-cracks propagate around aggregates, providing significant aggregate interlock, micro-cracks in HSC are trans-granular, resulting in relatively smoother fracture surfaces, thereby inhibiting aggregate interlock as a shear transfer mechanism and reducing the influence of compressive strength on the ultimate shear strength of HSC beams. In this study, a new approach based on genetic algorithms (GAs) was used to predict the shear capacity of both NSC and HSC slender beams without shear reinforcement. Shear capacity predictions of the GA model were compared to calculations of four other commonly used methods: the ACI method, CSA method, Eurocode-2, and Zsutty's equation. A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bility of the GA model to capture the effect of basic shear design parameters on the behaviour of reinforced concrete (RC) beams under shear loading. The parameters investigated include compressivestrength, amount of longitudinal reinforcement, and beam's depth. It was found that the GA model provided more accurate evaluation of shear capacity compared to that of the other common methods and better captured the influence of the significant shear design parameters. Therefore, the GA model offers an attractive user-friendly alternative to conventional shear design methods.

빗물활용 옥상녹화 녹색기술 개발을 위한 친수성 중합체의 효용성 (Utility of Hydrophilic Polymer for Green Technology Development in Green Roofs Using Rainwater)

  • 주진희;양지;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469-1476
    • /
    • 2012
  • Hydrophilic polymer is suitable as soil conditioners for green roofs that use rainwater, due to promotion of water retention capacity as well as enhancement of the water absorbing capacity.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0, 0.1, 0.2, 0.4, 0.8% w/w) on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growth response of 6 species in soils amended with hydrophilic polymer in 5 cm of soil thickness on green roof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amended soil improved with increasing amount of applied polymer. The application of 0.8% w/w of the polymer increased the soil moisture by 87% compared to the control, and decreased slowly in green roofs during an arid period. The growth of Sedum spurium 'Dragon's blood' and Lampranthus spectabili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had greater than 60% relative coverage with higher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However,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and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upon change of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In Carex kujuzana and Carex morrowii 'Aurea variegata', growth decreased with increase of hydrophilic polymer concentrations. 30 days after planting,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Carex kujuzana, and Carex morrowii 'Aurea variegata' died back due to lowest soil thickness (5 cm), but Sedum spurium 'Dragon's blood' and Lampranthus spectabilis had greater than 90% survival.

원심모형실험을 통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연직 지지력 평가 (Evaluation of Axial Bearing Capacity of Waveform Micropile by Centrifuge Test)

  • 장영은;한진태;김재현;박헌준;김상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1권8호
    • /
    • pp.39-4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jet grouting 공법을 적용한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 향상 효과 및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 말뚝의 형상에 따른 거동을 비교하기 위해 일반 마이크로파일, 파형이 없는 jet grouted 말뚝 및 네 종류의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모델을 제작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일반 마이크로파일 대비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지지력 향상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특히 파형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은 말뚝의 지지력 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의 재하시험에 의한 지지력 예측 및 평가 방법을 토대로 파형 마이크로 파일의 지지력 산정 방안을 검토한 결과 P-S 곡선법과 25.4mm 전침하량기준이 파형 마이크로파일의 거동을 합리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토재로서 산업폐기물 제지회의 지지력 분석 (Analysis for Bearing Capacity of Paper Ash in Industrial Waste as Filling Material)

  • 이처근;안광국;허열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3-2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제지회를 성토재로 활용할 경우 제지회의 지지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실험은 기초폭과 중력수준을 변화시켜 실시하였으며, 하중재하에 따른 침하와 수직토압을 측정하였다. 모형실험결과는 지지력 이론 및 유한차분 해석프로그램인 FLAC을 이용한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하중-침하특성은 침하비 s/B가 약 25~30%에서 변곡점을 나타내는 국부전단파괴 양상을 보이며, g-level과 기초폭이 증가할수록 하중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실험에서 측정된 극한지지력은 Terzaghi 이론에 의한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 중심에서 이격거리가 증가할수록 수직토압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E/B가 7이상에서는 하중재하에 따른 응력증가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중재하에 의한 수직변위는 기초 직하부에서 가장 크며, 깊이 4cm 이상, 이격거리 E/B=5.0 이상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불포화 인공 식재 지반의 배수 성능과 식생 가능 조건에 대한 수치해석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n Drain Capacity and Vegetation Potential of Unsaturated Made-Planting Soil)

  • 김성민;김충언;정영훈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33-4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인공 식재 지반의 공학적 배수 성능과 생물학적 식생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였다. 불포화토 해석을 통해 인공 식재 지반의 공학적 성능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식생 조경의 관점에서 조경 식물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인공 식재 지반이 최소한의 수분을 제공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화강 풍화토로 이루어진 인공 식재 지반을 1m 높이의 사각형 토체 기둥으로 모사하여 해석하였다. 해석 결과 토체의 배수 성능이 포화 투수계수와 불포화토 함수특성의 조합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보였다. 체적 함수비의 변화가 최소 한계 수분 범위(LLWR) 이내에서 발생하는지 확인하여 식물이 갈수기 동안 생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수분을 인공 식재 지반이 제공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표층처리지반에서의 반복하중재하시험을 통한 지지력 분석 (Bearing Capacity Analysis on Cyclic Loading of Soft Ground by Surface Reinforcement)

  • 곽노경;박민철;이송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17
    • /
    • 2012
  • 초연약 지반의 개량을 위한 중장비의 안전한 주행성 확보를 위해 제일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표층처리공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하며 표층처리공법 설계 시 건설기계의 반복적인 주행으로 인한 소성침하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표층처리공법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보강재인 지오텍스타일, 인장강도가 200kN/m와 100kN/m인 지오그리드와 대나무망으로 보강한 후 1.0m의 모래로 복토한 지반에서 현장 평판재하시험과 반복 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각 보강재별 지지력과 거동양상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평판재하시험 결과 대나무망을 사용하였을 경우 다른 보강재를 사용하였을 때보다 BCR값이 최대 1.5배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