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edict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5초

1차원 수질 예측 모형의 검보정 자동화 시스템 개발 및 낙동강에서의 적용 (Development of 1-Dimensional Water Quality Model Automatizing Calibration-Correction and Application in Nakdong River)

  • 손아롱;한건연;박경옥;김병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765-777
    • /
    • 2011
  • According to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exact prediction and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discharge has been required in order to allocate the amount of pollution load to each local government. In this study, QUAL2E model was used for comparison with other water quality models and improve the inadequate to forecast future water quality. And Various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deal with existing uncertainties of parameter during modeling water quality. For user convenience, A GUI(Graphical User Interface) system named "QL2-XP" model is developed by object-oriented language for the user convenience and practical usage. Suggested GUI system consist of hydraulic analysis, water quality analysis, optimized model calibration processes, and postprocessing the simulation results. Therefore this model will be effectively utilized to manage practical and efficient water quality.

진동 규제기준에 따른 인체의 허용 한계거리 예측 (The Prediction of Allowable Limit Distance about Human Body by Vibration Regulation)

  • 송정언;홍웅기;김승곤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2호
    • /
    • pp.289-296
    • /
    • 2012
  • The shock vibration such as machine vibration, blasting vibration etc. has effect on nearby structure as well as human bo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llowable limit distance of vibration about human body. First of all, vibration velocity such as PPV, PVS was measured by shock vibration experiment, and vibration level was calculated by conversion formula of vibration velocity. And then, allowable limit distance was analyzed by converted vibration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 First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converted vibration level was over R=0.94, and vibration level caused by PVS was usually represented to high curve line. Secondly, the cross point of vibration level between ground and concrete condition was represented to 66.68dB(V), and allowable limit distance was represented to difference over three times when vibration regulation was raised from 65dB(V) to 80dB(V).

연안의 효율적 수질관리 방향과 해양환경영향평가 (Effective Coastal Water Quality Management and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이대인;엄기혁;김귀영;홍석진;이원찬;장주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9-37
    • /
    • 2008
  • 본 연구는 연안의 수질개선과 오염제어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수질관리의 원리와 기법, 연안오염총량관리제 및 선진사례를 검토하였고, 현재 오염총량 산정시 나타나는 문제점 및 개선사항을 지적하였다. 또한, 오염총량제와 환경용량과의 관계, 해양환경 예측 모델로 활용되고 있는 생태계모델의 연구접근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을 토의하고, 나아가서 연안수질 관련 제도와 정책에서 반영하고 흡수해야 할 수질관리 내용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안오염총량제의 대상이 되는 연안에서는 환경영향평가와 사전환경성검토에서 해당하는 개발사업이나 계획 중 신규 오염원에 대해서는 오염부하삭감량과 할당량을 산정해서 평가서에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고, 연안관리지역계획에서는 환경관리계획에 좀 더 중심을 옮겨 기본적으로 관할 해역으로 유입하는 오염원과 오염부하량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특별관리해역 등 향후 연안오염총량제 적용대상이 되는 지자체에서는 하수도관리계획 등 도시계획을 수립할 때 이러할 점을 고려해서 장기적이고 일관성있는 하수도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연안오염총량제도는 다른 환경관리해역으로 점진적으로 확대 시행되어야 할 것이로, 그 외의 지역은 지자체장이 주부장관과의 협의를 통해 자발적으로 시행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것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해역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생태계모델링에 의한 환경용량(수질적 차원의 총허용오염부하량) 산정이 필수적이며, 이와 관련한 적용모델의 신뢰성과 과학적 타당성 확보는 환경영향평가 관련 협의시 매우 중요한 검토항목으로 고려되고 있다 연안 육역에 존재하는 오염원에 대해서는 연안환경을 관리하는 주무부처가 주도적으로 감시 감독하고 관리체제에 환한 법적 거를 마련하거나 관련 법률을 정비해서 통합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ISO 9613-2를 이용한 철도 환경소음 예측 모델 개선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ediction model for the railway environmental noise using ISO 9613-2)

  • 장승호;고효인;홍지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1호
    • /
    • pp.11-26
    • /
    • 2017
  • 철도 소음의 환경영향평가 업무에 있어서 소음도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중요하지만, 국내에서는 overall 소음도의 거리별 측정을 통한 경험식이 근사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음원과 소음전파의 주파수 특성을 고려하여 철도 소음의 예측 정확도를 향상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먼저 철도 소음원을 궤도(레일 및 침목), 차륜, 동력, 공력 성분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옥타브 밴드 주파수별 음향파워와 속도계수를 정의하고 음향 조도와 궤도/교량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보정항을 도입하였다. 소음원에서 수음점까지의 전파 특성은 ISO 9613-2를 적용하여 기하학적 확산, 대기 흡음, 지면 효과, 장애물의 회절에 따른 감쇠 및 지향특성을 반영하여 계산하였다. 소음원 음향파워와 지향인자를 추정하기 위하여 전동 소음원 해석 모델 및 수치해석 결과와 통과 소음도 측정값을 이용하였다. 본 철도 소음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여러 철도 차량과 궤도 유형에 따라서 예측한 소음도를 측정값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으며 기존 예측 모델보다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결과는 철도 환경 소음의 정확한 영향 예측과 효율적인 소음 저감 대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음예측 모델링을 이용한 소음노출인구산정 시 수음점 설정 및 대표소음도 평가방법에 따른 비교 (Comparison of Evaluation Methodsfor Receiver Setting and Representative Noise Level Selection in Calculating Population Exposed to Noise)

  • 윤희경;이재원;권명희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2호
    • /
    • pp.105-113
    • /
    • 2018
  • 소음의 영향권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는 실측/측정망 자료의 한계점, 소음의 전달특성, 장애물들의 영향 등을 보완하기 위해 소음지도 모델링 방법을 최근에 많이 사용하고 있다. 소음지도 모델링 방법은 소음원의 입력, 예측인자의 설정방법, 예측 소음도들의 분석방법에 따라 결과값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2개 지역에서 공동주택의 노출소음도 산정을 위한 수음점 설정방법과 노출인구 산정을 위한 대표소음도 산정방법에 따라 총 5가지로 나누어 소음 노출인구 산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음도 구간별 노출인구수를 비교해보니 두 지역 모두 실제와 가장 유사하게 모델링한 기준 방법(Base)과 비교하여 대표소음도를 최고소음도로, 베란다측 노출만을 고려하여 간략화한 방법(M2-1)이 가장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대표소음도를 최고소음도로, 일정간격 노출로 간략화한 방법(M1-1)은 과대평가, 평균 소음도를 사용한 방법(M1-2, M2-2)은 과소평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참식나무 생육지 예측과 영향 평가 (Habitat prediction and impact assessment of Neolitsea sericea (Blume) Koidz. under Climate Change in Korea)

  • 윤종학;카츠히로 나카오;김중현;김선유;박찬호;이병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23권2호
    • /
    • pp.101-111
    • /
    • 2014
  •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climat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Neolitsea sericea, and the potential habitats (PHs) under the current climate and three climate change scenario by using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Four climate factors; the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the warmth index (WI), summer precipitation (PRS), and winter precipition (PRW) :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model. Three general circulation models under A1B emission scenarios were used as future climate scenarios for the 2050s (2040~2069) and 2080s (2070~2099). Highly accurate SDMs were obtained for N. sericea. The model of distribution for N. sericea constructed by SDMs showed that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TMC) is a major climate factor in determining the distribution of N. sericea. The area above the $-4.4^{\circ}C$ of TMC revealed high occurrence probability of the N. sericea. Future PHs for N. sericea were projected to increase respectively by 4 times, 6.4 times of current PHs under 2050s and 2080s. It is expected that the potential of N. sericea habitats is expanded gradually. N. sericea is applicable as indicator species for monitoring in the Korean Peninsula. N. sericea is necessary to be monitored of potential habitats.

교통소음 건강영향평가 소개 (Presentation on Health Impact Assessment of Transportation Noise)

  • 선효성;박영민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2호
    • /
    • pp.63-82
    • /
    • 2009
  • 도로, 철도, 공항을 포함하는 교통시설에 의한 교통소음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신체적 및 정신적인 피해를 받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 교통소음에 노출된 인체 건강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국내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 교통소음에 의한 건강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평가방법 중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교통소음에 의한 성가심 및 수면방해 연구는 교통소음의 측정자료 및 설문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음지표에 대한 불쾌감 및 수면방해 호소비율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이에 대한 국내외의 노출-반응 예측결과를 비교해 보면 우리나라 사람들이 다른 나라 사람들보다 교통소음에 대해 대체로 더 높은 소음성 불쾌감 및 수면방해를 호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및 외국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통소음의 건강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에 대한 내용은 국내 교통소음 건강영향 예측모델의 개선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기준 마련과 아울러 교통소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정도나 소음환경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감방안 마련을 포함한다.

  • PDF

지반침하 피해도 분석을 위한 GIS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IS for Analysis of Subsidence Hazard)

  • 권광수;유명환;박형동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6호
    • /
    • pp.557-563
    • /
    • 2000
  • Subsidence hazard has never been considered seriously until recent yews in Korea, although its socioeconomic impact on Korea becomes more and more enormous. There have been a few studies for the application of GIS analysis technique to the prediction of subsidence hazard. For GIS analysis, several factors, which are represented by coverage, are considered and selected for building a GIS model. Numerical method was used to quantify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n GIS model and the result from numerical modeling using FLAC was compared with that from previous research based on empirical methods. Analysis in 3-D needs more computer resources (i.e. memory). Therefore that in 2.5-D was considered to overcome the problem. Not only maximum vertical subsidence but also maximum horizontal strain and maximum slope have been considered for the assessment of subsidence hazard. The model can be easily modified for the purpose of applications in any subsidence area, especially cavern or abandoned mines under thick soil layer.

  • PDF

Deep Neural Network를 활용한 초미세먼지 농도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PM2.5 Concentration Using DNN)

  • 최인호;이원영;은범진;허정숙;장광현;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2호
    • /
    • pp.83-94
    • /
    • 2022
  • 본 연구는 국가측정망(에어코리아)에서 제공하는 2017년, 2019년 및 2020년도 대기질확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Deep Neural Network(DNN) 모델을 학습하고, 2016년과 2018년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된 모델을 평가·검증하였다. 피어슨 상관계수 0.2를 기준으로 SO2, CO, NO2, PM10 항목을 독립변수로 하여 초기 모델링을 진행하였고,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시계열적 요소를 반영한 월별 모델링(개선모델)을 진행하여 초기모델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지표는 RMSE(Root mean square error) 방법으로 오차를 계산하였으며, 예측 결과 초기모델의 RMSE값은 5.78로 국가측정망의 예측이동 평균모델의 결과(10.77)와 비교하여 초기모델에서 약 46% 오차가 감소하였다. 또한, 개선모델의 경우, 초기모델 대비 11월 모델을 제외한 모든 월별모델에서 정확도 향상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NN 모델링이 PM2.5 농도 예측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제안할 수 있었으며, 향후 추가적인 독립변수 선정 및 시계열 요소를 고려한 방법으로 모델의 정확도 개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울지역 겨울철 기온과 노인의 사망률간의 관련성 연구(1992년~2007년) (Association between Cold Temperature and Mortality of the Elderly in Seoul, Korea, 1992-2007)

  • 이정원;전형진;조용성;이철민;김기연;김윤신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747-755
    • /
    • 201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erature and the mortality of aged (${\geq}65$ yr) during the winter seasons from 1992 to 2007 in Seoul, Korea by utilizing climate data and death records. The study also estimated the future risks by employing the projections of the population in Seoul, Korea and climate change scenario of Korea from 2011 to 2030.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e impossibility in the prediction of daily mortality counts. Therefore, daily death numbers could be predicted based on th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for Korea and the death records of 2005. The result indicated that risks increased by 0.27%, 0.52%, 0.32% and 0.41% in association with the $1^{\circ}C$ decrease in daily minimum temperature from the mortality counts of total, respiratory, cardiovascular, and cardiorespiratory in the past date while 0.31%, 0.42%, 0.59% and 0.66%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risk in the future will be higher than the past date although there is an uncertainty in estimating death count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