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3초

원격탐사를 이용한 재난 감시 및 예측과 GIS 분석 (Disaster Assessment, Monitoring, and Prediction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 정민영;김덕진;손홍규;최진무;임정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5_3호
    • /
    • pp.1341-1347
    • /
    • 2021
  • 대규모 피해를 유발하는 재난의 발생 횟수가 증가하면서 효과적인 재난 대응 체계를 수립하여 국민의 안전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재난에 의한 피해는 다양한 양상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하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로 원격탐사 기술과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분석 기술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특별호에서는 우주-항공-지상을 아우르는 다양한 시공간 도메인을 가진 원격탐사 센서를 이용한 재난 예측 및 감시 연구와 이로부터 취득된 정보와 기존의 공간정보를 융합한 GIS 재난관리에 관한 연구성과를 기술하였다. 소개된 기술은 풍수해, 산불 등 다양한 유형의 재난관리 기술로, 각 기술 간 연계를 통해 최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종합적 재난상황관리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정보의 체계적 분석 및 관리방안 연구 (Studies on Systematic Analysis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 김명진;장준기;이재운;권명희;강인구;서창완
    • 환경영향평가
    • /
    • 제3권1호
    • /
    • pp.1-8
    • /
    • 1994
  • For managing and analyzing effectively diverse and complicated environmental informations, informations should be built systematically, and techniques should be develope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EIS) is composed of environmental informations, GIS, and manpower. Recently it is applied 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etc.. For effective application, EIS techniques will be improved. This article has four components. First, it describes building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comprising geographic and attribute data using GIS in Chuncheon district. Second, it explains programming for effective information analysis and management using AML(Are Macro Language in ARC INFO). Third, it provides specific functional capabilities including suitability analysis. Based on these analysis, this study makes some examples for systematic analysis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using interactive system.

  • PDF

환경감시업무 지원을 위한 환경정보시스템 분석과 정보 활용도 평가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Analysis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Applications for Supportig the Environmental Inspection Practices)

  • 손승우;윤정호;전형진;이종민;문지원;김태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726-736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환경정보시스템 중 대기 및 수질 환경정보시스템 분석을 통해 도출한 환경정보가 환경감시 지도 점검에서 활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환경정보시스템에서 구축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배출업소 지도 점검 현장 동참, 지도 점검 전문가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지도 점검에 활용 가능한 환경정보 활용 체계를 구분하였다. 또한 구분한 환경정보 활용체계를 기반으로 해당 정보의 활용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환경정보시스템은 대부분 배출업소에서 배출하는 배출물질 및 측정물질정보가 구축되어 해당 목적에 따라 관리되고 있었으며 지도 점검에 필요한 환경정보 범주를 배출물질정보, 배출업소정보, 점검이력정보, 지리정보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4가지 범주를 기반으로 각 시스템의 환경정보를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지도 점검에 중요한 점검이력 정보를 확인할 수 없었으며 지리정보 또한 낮은 활용도를 보였다.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 환경정보시스템의 정보 활용 관점과 환경정보를 연계하고 통합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지도 점검 업무 지원에 필요한 환경정보시스템 및 정보 활용 측면에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IT BSC 분석방법론을 이용한 환경지리정보체계(EGIS) 성과분석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alysis of Environ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using the IT BSC Methodology)

  • 변종봉;박종화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06-216
    • /
    • 2006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환경지리정보체계(이하 EGIS)의 성과분석을 위한 분석모형 중 IT BSC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해 봄으로써 나타나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EGIS의 체계적 성과관리를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BSC를 이용한 정보시스템 성과측정 모형을 EGIS에 맞게 재정립하였다. 정립된 분석모형을 이용하여 지난 5년간 EGIS가 낸 성과를 도출하고 각각의 근본원인을 규명하여 향후 개선방향의 기반자료로 활용하였다. 최종적 성과를 종합하기 위하여 핵심성과지표 별 측정치와 AHP를 통하여 산출된 가중치를 곱하여 환산한 결과 환경지리정보체계의 종합성과는 총 105.3점으로 산출되어, '성과목표 달성'의 기준이 되는 100점을 넘어서 5.3점 만큼의 성과를 더 낸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분석결과 기존의 재무적 관점 이외의 다양한 관점으로 환경지리정보체계의 균형적 성과를 살펴 본 것이 본 연구의 장점이며, 이와 같은 성과가 환경분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다.

  • PDF

경관생태학적 유역관리를 위한 토지이용 유형 분류 (A Landscape Ecological Classification based on Watershed Focusing Landcover Types)

  • 오정학;정성관;권진오;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2-34
    • /
    • 2007
  • 우리나라는 그 동안 국토를 이용하고 관리함에 있어 생태적 계획에 입각한 지속가능한 보전 및 관리보다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중심으로 한 개발지향적 논리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국토 환경보전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는 농경지 및 산지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다. 지역생태계의 가치에 대한 생태학적 인식이 부족한 가운데 이루어진 일련의 지속적인 개발압력은 자연환경의 자정능력을 초과하는 환경압력으로 작용함에 따라 지역생태계의 건전한 물질순환과 에너지 흐름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물환경 문제해결을 위한 공간단위로서의 유역개념이 아닌 생태계를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공간 단위개념으로서 유역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경관요소가 혼재하고 있는 낙동강 유역권을 대상으로 경관구성 요소 중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공간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서로 유사한 패턴을 보이는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지역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 PDF

섬진강 하구역 Mobile MGIS 구축 연구 (Mobile MGIS Study for the Seomjin River Estuary)

  • 박상우;김정현;김종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172-179
    • /
    • 2016
  • The study of Mobile MGIS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based on the Android Mobile Platform is mainly performed on effective methodologies which transform real world data to computing world data. Mobile GUI system has its own target on reliable data service by acquisition of geometric information using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Model, accurate measurement and graphical visualization. Even simple visualizations can aid in the interpretation of complex hydrodynamic relationships that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the marine environment. The Mobile MGIS provides an easy way for hydrodynamics geoscientists to construct complex visualizations that can be viewed with free software. This study proposes a Mobile GUI MGIS using EFDC Model result of Seomjin River estuary. Finally, we design a Seomjin River estuarine Coastal Waters Mobile MGIS integrating above data models. It must adds more ecological information and the various service item for approach more easily in order to user.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s for Improving Mobile Source Atrmospheric Emission Inventories

  • Shin, Tae-joo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3권3호
    • /
    • pp.143-150
    • /
    • 1999
  • Mobile source emissions are important inputs to photochemical air quality models. Since most mobile source emissions are calculated at the county-level, these emission should be geographically allocated to the computational grid cells of a photochemical air quality model prior to running the model. The traditional method for the spatial allocation of these emissions has been to use a "spatial surrogate indicator" such as population, since grid-specific emission calculations are very labor-intensive and expensive, plus the necessary data are often not available for such grid resolutions. Accordingly, new spatial surrogate indicators for mobile source emissions(specifically for highway emissions) were develop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tools due to the spatially variable nature of mobile source emissions. These newly developed spatial surrogate indicators appear to be more appropriate for the allocation of highway emissions than the population surrogate indicator.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conventional spatial allocation method underestimates the maximum levels of air pollutant emmissions.mmissions.

  • PDF

환경영향평가에서 GIS 활용에 관한 연구 : 폐기물매립지 적지분석과 악취영향평가 (GIS Applic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Suitability Analysis and Odor Impact Assessment of Landfill Site)

  • 김명진;한의정;이재운;정동환;서창완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1호
    • /
    • pp.1-8
    • /
    • 1995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in Korea has developed as a tool for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decision making sinc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preparation in 1981.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it, we do system development and method enhancement continuously. The recently introduced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an integrate geographic and attribute data, which will be applied to scoping, assessment, and alternative assessment, etc. in EIA. This study has three major components. First, it explains building of EIA factors of natural environment, living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defined in EIS preparation regulation. Second, the study presents applications of assessment method concerning suitability analysis of landfill site using GIS. Finally, it shows integration of GIS and odor impact assessment. Based on these analysis, the study makes some recommendations and conclusions.

  • PDF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Coastal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 김진아;김창식;박진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28-136
    • /
    • 2011
  • 새만금 방조제 건설 및 토지 개발사업에 따른 해양환경변화 모니터링 및 예측을 위하여 2002년부터 실시간 또는 정기 해양관측 및 수치모델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있다. 새만금 해양환경자료는 크게 해양기상, 해양물리/해수유동, 해양수질, 해양생태계, 해저 지형/지질 분야로 분류되며, 각 분야별 관측 및 예측을 통해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자료는 10여년에 걸쳐 축적되고 있다. 수집된 해양환경자료는 대용량의 다차원 다변수 시 공간적 분포 특성을 갖는 이질적 자료이기 때문에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자료의 수집 처리 관리 제공이 가능한 정보시스템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과 연계된 웹 기반 새만금 해양환경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분야별로 축적된 새만금 해양환경정보를 통합적으로 수집 관리하며, 직관적이고 효율적인 웹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과 statistical graphs 및 thematic cartography를 적용한 자료의 과학적 가시화를 통해 방대하고 복잡한 자료의 효과적인 조회 및 분석이 가능하다. 나아가 지오프로세싱을 통한 공간분석을 통해 장기간에 걸친 변화 양상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새만금의 친환경적 개발을 위한 과학적 근거 제시 및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또한 원활한 웹 기반 정보 서비스를 위해 다중 맵 캐쉬, 다중 레이어, 공간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도 병행되었다.

식생 분포 확률 추정을 통한 북한산 국립공원의 잠재자연식생 추정 (Estimation of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using the Estimate to Probability Distribution of Vegetation in Bukhansan National Park)

  • 신진호;연명훈;양금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1-53
    • /
    • 2013
  • The study for the estimation potential natural vegetation was estimated the occurrence probability distribution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in Bukhansan National Park. Correl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analyzed to estimate probability distribu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ignificantly at the 0.01 level. Commonality of elevation, annual mean temperature, warmth index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were high value, but topographic index was low value. Communities of over the 0.3 points distribution probability, Quercus mogolica communities were the largest area, 76,940,900 $m^2$,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area was 860,800 $m^2$, Quercus acutissima communities area was 500,100 $m^2$ and Quercus variabilis communities area was 1,000 $m^2$, but Q. aliena, Q. serrata, Carpinus laxiflora and Zelcova serrata communities was not appeared. Therefore, potential national vegetation of Bukhansan national park was likely to be Q. mongolica community, P. densiflora community, Q. acutissima community and Q. variabilis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