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35초

부경대학교 주변 지역의 지리정보시스템 자료를 이용한 3차원 일조 환경 평가 (Assessment of 3-Dimensional Sunshine Environment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Data arou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은령;박수진;김재진;남경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6-1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형 지물의 일조 차단 효과를 반영한 일조 모델을 이용하여 도시 지역의 일조 환경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일조 모델은 격자셀 단위로 일조 차단 유무를 판별하기 때문에, 건물이나 지형물 모서리 부분의 일조 유무를 판단 할 때에는 오차가 유발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격자셀 단위의 일조 판별 알고리즘을 격자셀의 면 단위로 개선하였다. 개선된 일조 모델과 부산광역시 대연동 일부 지역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별 시간별 일조 환경을 분석하였다. 3차원 지형 자료에 대한 계절별 일조 환경을 분석한 결과, 대상 지역 내에 위치한 아파트 단지, 고층 건물, 지형 등의 영향으로 일조량 변화가 발생하였다.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sophageal Cancer Cases and Climatic Factors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 Case Study of Ardabil province in Iran

  • Ahari, Saeid Sadeghieh;Agdam, Fridoon Babaei;Amani, Firouz;Yazdanbod, Abbas;Akhghari, Leyl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2071-2077
    • /
    • 2013
  • Esophageal cancer is a mjaor health problems in many parts of the world. A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llows investigation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seas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sophageal cancer and effective climatic factors using GIS. The dispersion distribu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effective on cancer were measured using Arc GIS. The highest degree of spread was in Germi town and the least was in Ardabil city.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effective environmental factors and esophageal cancer in Ardabil provi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environmental factors probably are influential in determining the incidence of esophageal cancer. Also, these results can be considered as a window to future comprehensive research on esophageal cancer and related risk factors.

연안도시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분석 (Analysis on Complex Disaster Information Contents for Building Disaster Map of Coastal Cities)

  • 김정옥;김지영;이원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60
    • /
    • 2016
  • 연안도시는 태풍에 의해서 해상에서 발생하는 조석이나 해일뿐만 아니라 호우로 인한 하천범람이나 저지대 침수 등의 복합원인을 고려한 대응방안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재해정보 관리를 효율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재해지도를 주목하고 재해지도 작성을 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를 정립하였다. 연안도시 맞춤형으로 설계한 복합재해정보 콘텐츠 프레임은 크게 복합재해콘텐츠, 대피 및 시설콘텐츠, 학습콘텐츠로 구성된다. 제안한 연안도시 복합 재해정보 콘텐츠는 국민안전처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개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형태로 구축될 예정이다.

항공 전투 시뮬레이션의 합성전장환경 구축을 위한 환경 데이터 관리 및 공급 방안 (Environmental Data Management and Supply Plan for Building Synthetic Battlefield Environment of Air Combat Simulation)

  • 양가람;함원경;박상철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7-1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항공전장 환경의 구축을 통한 항공 무기체계의 가상시험에 환경적 영향을 반영하여 모의할 수 있도록 환경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내용을 수행하였다. 항공 전투 시뮬레이션에서 전투 개체들이 모의하는 작전은 환경 영향에 의하여 그 달성 결과가 달라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 전투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합성전장환경 구축을 위해, 실제 항공 전장환경을 분석하여 합성전장환경을 설계한다. 설계한 합성전장환경의 구현을 위해 적합한 실제 환경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환경데이터를 기반으로 합성전장환경 구축을 위해 공간 보간법(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terpolation)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가공한다. 본 논문의 최종 목적은 항공 전투 시뮬레이션에 환경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 대기 환경 속성의 스펙트럼 중 시뮬레이션에서 요구하는 속성을 도출하여 합성전장환경을 설계하고, 실제 대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계된 합성전장환경을 구현한다. 구현된 합성전장환경을 분산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환경 데이터 요구에 대해 전장환경 데이터를 제공하여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실제 환경 데이터에 기반한 합성전장환경을 시뮬레이션에 반영할 수 있게 한다.

환경영향평가와 환경정보체계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 김명진;한의정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3호
    • /
    • pp.95-102
    • /
    • 1995
  •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in Korea has worked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decision making since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of 1981. In order to implement the EIA process effectively, we have developed a system for and various methods of EIA. Among these methods,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which was introduced recently in Korea, can be used to integrate geographic and attribute data effectively. This study includes methods by which we may use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First of all, it explains building EIA factors on the natural environment,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defined by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regulations in Korea. This study also presents some applications of the assessment methods concerning suitability analysis of landfill sites. Finally, it shows the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in odor impact assessment. Based on these analysis, the study makes some conclusions for the applications of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 PDF

해양 유출유 사고 방제 지원 GIS 프로그램 개발 (Building of GIS Program for Controlling Oil Spill Accident)

  • 김혜진;이한진;이문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58-66
    • /
    • 2006
  • 환경 민감도 정보는 해양 유출유 사고시 효율적이고 신속한 방제 업무를 위한 유용한 정보이다. 유출유에 관련된 환경 민감도 정보의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방제 현장에서 환경 민감도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접근과 활용 방안이 요구된다. 현장에서의 방제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환경 민감도 지도를 수치지도로 구축하고, GIS 기술을 이용한 전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만과 여수 지역을 대상으로 방제 업무 지원을 위한 환경 민감도 정보를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GIS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IMO/IPIECA의 환경 민감도 작성 지침과 해양경찰청의 방제 정보 지도 작성을 위한 정보 수집 지침에 따라 환경 민감도 정보를 수집하고, 환경 민감도 정보 표시 기호의 정의 및 업무 분석을 통한 방제 업무 지원 요소를 추출하였다. 향후 본 프로그램은 전 해역에 대한 환경 민감도 지도 전용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가 차원의 해양 오염 방제 업무 지원 시스템 구축의 요소 기술로서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환경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환경기초시설의 입지 결정요인 평가 (The Evaluation of Location Decision Factors of Environmental Foundation Facilities using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조덕호;배민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57
    • /
    • 2008
  • 본 연구는 환경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활용하여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입지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적정입지를 선정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질오염총량제가 가장 먼저 실시된 낙동강 권역을 대상으로 환경지리정보시스템을 구축한 후 1)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처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 2)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입지와 오염원 배출량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어떤 오염방지시설을 어디에 입지시킬 것인가에 대한 정책대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1)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처리용량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오염원은 산업폐수발생량으로 판명되었으며, 2)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입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오염원은 산업체의 수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인구수는 환경시설입지를 제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경상북도 낙동강 중 상류 유역의 경우 주 오염원인 축산오염원에 대한 대처가 가장 미흡한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축산오염원의 처리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장차 수질오염방지시설의 입지를 선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각 지역의 오염 특성에 따라 수질오염방지시설을 입지를 결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utation of geographic variables for air pollution prediction models in South Korea

  • Eum, Youngseob;Song, Insang;Kim, Hwan-Cheol;Leem, Jong-Han;Kim, Sun-Young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30권
    • /
    • pp.10.1-10.14
    • /
    • 2015
  • Recent cohort studies have relied on exposure prediction models to estimate individual-level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because individual air pollution measurements are not available for cohort locations. For such prediction models, geographic variables related to pollution sources are important inputs. We demonstrated the computation process of geographic variables mostly recorded in 2010 at regulatory air pollution monitoring sites in South Korea.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we finalized a list of 313 geographic variables related to air pollution sources in eight categories including traffic,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and use, transportation facilities, physical geography, emissions, vegetation, and altitude. We then obtained data from different sources such as the Statistics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and Korean Transport Database. After integrating all available data to a single database by matching coordinate systems and converting non-spatial data to spatial data, we computed geographic variables at 294 regulatory monitoring sites in South Korea. The data integration and variable computation were performed by using ArcGIS version 10.2 (ESRI Inc., Redlands, CA, USA). For traffic, we computed the distances to the nearest roads and the sums of road lengths within different sizes of circular buffers.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numbers of residents, households, housing buildings, companies, and employees within the buffers. The percentages of areas for different types of land use compared to total areas were calculated within the buffers.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physical geography, we computed the distances to the closest public transportation depots and the boundary lines. The vegetation index and altitude were estimated at a given location by using satellite data. The summary statistics of geographic variables in Seoul across monitoring sites showed different patterns between urban background and urban roadside sites. This study provided practical knowledge on the computation process of geographic variables in South Korea, which will improve air pollution prediction models and contribute to subsequent health analyses.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지역환경 관리체계의 응용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성남시를 대상으로 - (An Applied Model of the Regional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the Case of Sungnam -)

  • 박홍기;김형철;이창수;이병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41-153
    • /
    • 1994
  • 본 연구는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하여 도시계획의 결정, 도시계획의 제한, 또는 도시계획의 사업을 수행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지역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구축된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성남시의 지역환경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지역환경정보를 활용하여 주거환경분석 및 평가에 적용하기 위한 주거환경관리모형 개발시에 필요한 지표의 종류를 토지이용, 교통 및 환경의 상호관계를 고려하여 결정하고 관리모형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법 등을 고찰하였다.

  • PDF

수리해석 모형과 GIS를 이용한 통합 용수배분 시스템 (Integrated Water Distribution Network System using the Mathematical Analysis Model and GIS)

  • 권재섭;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1-28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개발된 상수도 관련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에서 관로해석을 위한 자료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를 위한 GUI(geographic user interface)를 제공하는 GNLP(GIS linked non-linear pipe network analysis program)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관로시스템의 수리해석은 Hazen-Williams의 손실수두방정식을 기초로 한 비선형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시행하였으며, 데이터베이스 응용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위해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RDBMS ;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인 Microsoft사의 Microsoft Access를 사용하였다. 이 GNLP 프로그램은 실제 관망설계자가 관로시스템의 수리해석에 필요한 자료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시스템환경을 개선하였다. 그리고 압력 및 유량 등 관로시스템의 수리적 해석 결과를 표 및 챠트 형태로 출력이 가능하고, Excel 파일로 변환이 가능하다. 또한 GIS의 중요 요소인 질의(query) 기능이나 분석된 자료를 확인하고자 할 때 이를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