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Aging

검색결과 739건 처리시간 0.025초

건설현장 장년 근로자의 안전보건 실태조사 및 재해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f Actual Condition and Mitigation Plan for aging Workers' Health and Safety at Construction Sites)

  • 김판기;방성덕;김경석;김형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37-47
    • /
    • 2017
  • 대한민국 총 인구에서 50세 이상 준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29.2%에서 2015년 34.8%로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전체 건설근로자 대비 50세 이상 건설근로자의 비율은 2010년 20.1%에서 2015년 27.0%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노령화 시대에 맞추어 건설업계에서는 장년근로자들에 대한 재해예방대책을 주어진 사업목표, 예산집행 등을 절차에 맞게 충실히 수행해왔으나 근본적인 재해예방에 한계가 있었다. 이는 건설재해예방의 대책들이 아직까지 장년근로자보다는 전 연령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에서의 장년근로자의 안전보건실태를 조사하고 재해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장년근로자의 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관련문헌 및 안전규정과 산업재해원인통계, 산업재해현황통계 등을 고찰하고, 전국 건설현장에서 공사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 3,54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보건 실태를 조사, 그간의 재해예방사업 추진현황 및 문제점 분석 등을 통한 재해감소 종합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대책을 실제 정책에 반영할 수 있다면 점진적으로 증가추세인 건설현장에서의 장년근로자 재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자원봉사활동에 있어서 생태환경 변수의 효과: 노화의 일반생태학 이론을 적용하여 (The Effects of Ecological Variables on Volunteering among Older Adults: The Applications of General Ecological Theory of Aging)

  • 이현기
    • 한국노년학
    • /
    • 제32권3호
    • /
    • pp.777-800
    • /
    • 2012
  • 노인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통합적 자원이론은 인적 사회적 문화적 자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일상의 생활환경 및 거시적 생태환경이나 상황의 중요성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노년기 자원봉사활동 참여는 노화에 따른 대처행동의 하나로 볼 수 있기 때문에 환경과의 교류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의 관점을 적용하여 생태환경 변수가 자원변수들을 통제한 가운데 어떤 영향력을 갖고 있는 지 그 효과를 추정하고, 그 결과가 내포하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년 통계청 사회의식조사 원시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총 응답자 37,049명 중 사회적 은퇴를 경험한 것으로 추측되는 55세 이상 10,268명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과 이항로지스틱 분석기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로써 종속변수인 시간 및 참여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독립변수 즉 생태환경과 자원변수는 p<.000 수준에서 유의한 독립적 효과를 나타냈고, 이 중, 5개의 독립변수 즉 교육수준, 돈 빌려줄 사람 수, 종교, 전문 관리직, 지역사회 변수는 종속변수인 시간자원봉사와 참여자원봉사에 대하여 관계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화의 일반 생태학 이론이 우리나라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경험적 근거를 갖는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환경변수의 효과 크기가 자본변수에 비해 작지 않음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이 상대적으로 동네, 지역사회, 직업 환경 등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을 나타낸다. 시간자원봉사와 참여 자원봉사에 대한 회귀계수 추정에서 5개 변수의 관계방향이 서로 다른 것은 두 결과변수가 노인의 자원봉사활동과정에서 서로 다른 과정이라는 것을 함의하는 것이며, 노인자원봉사자의 모집과 유지전략에서 다른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론에서 자원봉사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케어전문가의 실천적 경험에 입각한 노인요양시설 환경디자인 노력특성연구 (Design Characteristics of Nursing Home Environment Created by Care Professional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 이연숙;윤혜경;박은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21-28
    • /
    • 2011
  • This thesis aims to identify the design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plans for the facilities for the aged people with a focus on the users' needs and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For this purpose major environmental design factors were researched by analyzing spaces and interviewing the managers and supervisor of W nursing home in Jeju Island that was opened in 1980s. Surveyed factors were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and by applying the design guideline theory of age friendly environment and nursing home facilities to them, five municipal composition factors of Kevin Lynch, universal design, environmental behavior model of John Zeisel principles were found.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W nursing home is a showcase that reveals the importance of narrowing the gap in the opinions of the space users, the experts of architecture and administration which is emphasized in the principles of Inquiry by Design of John Zeisel.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d effectively for the researchers who study the space designs for the age-friendly environment.

환경 조건에 따른 열전도율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nge of Thermal Conductivity Accor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 서은석;김봉주;유남규;홍상훈;김해나;정의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6-67
    • /
    • 2019
  • Insulated buildings ar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due to aging and construction problems, resulting in a decrease in building energy efficienc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material for the change in thermal conductivity of the insulation when it is exposed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In the experiment, five types of heat insulating materials were selected, stored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periodically to confirm the change in thermal conductivity. As a resul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all the insulating materials except the PF board increased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is because thermal insulation absorbs atmospheric moisture under all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ncreases, and in the case of thermal insulation stored indoor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temperature differs from the thermal insulation stored outside.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little evaporation of moisture absorbed constantly, and the change in thermal conductivity is large.

  • PDF

Prediction of the Vase Life of Cut Lily Flowers Using Thermography

  • Lee, Ja Hee;Choi, So Young;Park, Hye Min;Oh, Sang Im;Lee, Ae Kyung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33-239
    • /
    • 2019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predict the vase life of cut lily 'Woori Tower' flowers using a non-destructive thermal imaging technique.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of cut lily flowers was maintained at 20℃ and was slightly lower than the air temperature until they bloomed. On the 11th day, when flowers bloomed, the temperature of leaves and flowers was measured to be 18.75±0.38℃ and 19.23±0.32℃ respectively, and their difference with ambient temperature was over 3℃. The flower temperature increased slightly when the vase life of cut lily flowers ended,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air and leaf temperature (1.77℃) and between the air and flower temperature (1.39℃) got smaller. No visible aging symptom was observed, but it was found that the temperature had risen due to water losses and less functional stomata. The vase life of cut lily flowers can be predicted based on changes in temperature and it will be also possible to predict the potential quality and vase life of cut flowers before harvesting them in greenhouses.

서울시 소재 대학교 차량 요금정산소 수납원의 블랙카본 노출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Black Carbon among Tollbooth Worker at a University)

  • 김동원;조혜리;우철운;류승훈;윤충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4-476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exposure levels of tollbooth workers to diesel particulate matter using black carbon (BC) and to find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associated with BC using the motor vehicle management act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over 14 days at a university in Seoul. BC levels were monitored using an aethalometer and were conducted around the breathing zones of the workers. There were three sampling locations: inside the tollbooth (front gate and rear gate) and an office as a control group.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Results: The geometric mean (GM) of BC30min concentrations in the exposure group was 2.44 ㎍/㎥, approximately 1.4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1.75 ㎍/㎥). The GM of BC30min concentrations was 2.75 ㎍/㎥ during the heavy traffic time (9-10 am) and 2.30 ㎍/㎥ during non-heavy traffic times (p<0.001).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the number of all types of vehicles and PM2.5 concentrations in the atmosphere were factors increasing the GM of BC(ln(BC30min)) concentrations (adjusted R2=0.42, p<0.001). The workers were constantly exposed to low concentrations (GM of BC30min=2.44 ㎍/㎥), but they were exposed to peak concentrations instantly (BC10sec=3545.04 ㎍/㎥). When the GM of BC30min concentrations was momentarily represented as high, it was identified that a vehicle mainly using diesel fuel or an aging vehicle had passed. Conclusions: A ventilation system should be installed in the closed tollbooth or aging vehicles should be controlled so as not to pass tollbooths.

Postprandial Lipemia, Genetics and CHD Risk

  • Ordovas, Jose M.
    • Nutritional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229-231
    • /
    • 2003
  • New biochemical and genetic markers will be required to be more successful in the prevention of coronary heart disease. Postprandial lipid metabolism has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since it was shown that postprandial triglyceride-rich lipoproteins are independent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Multiple genes and environmental factors work in concert to alter these lipid. In this paper, postprandial lipemia, genetic variation and cardiovascular risk will be reviewed.

자동차 윤활유의 성상 및 열화가 환경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Research for effect of lubricant oil aging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 김정환;김기호;하종한;진동영;명차리;장진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2-24
    • /
    • 2017
  • 현재 국내 엔진오일-윤활유가 배출가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며 그 실험 방법 또한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에 엔진을 이용한 윤활유 성상 변화가 PM(Particulate Matters) 배출에 미치는 영향 평가방법을 수립하여 윤활유의 성상 및 열화가 자동차 성능과 환경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윤활유 소모 및 연소로 인한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및 후처리 장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DPF의 재생과정에서 생성되는 PM(Particulate Matters)과 Ash가 DPF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과 내부 변형 및 내구성에 대한 평가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형화 되지 않은 시험모드를 개발하였으며, 내구시험결과 High SAPs의 경우 Low SAPs(Sulfated Ash, Phosphorus and Sulfuate)보다 DPF내 Ash의 축적량이 많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EGR(Exhaust Gas Recycling)의 Fouling 현상 가속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물을 토대로 윤활유의 기유, 첨가제, 열화 등에 따른 엔진 및 차량의 성능과 배출가스 특성을 기술정책 자료로서 활용하도록 방향을 도모하고 시험 방법을 확립하고자 한다.

호장근(Reynoutria elliptica) 발효 추출물의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억제효과 (Skin UVB Photo Aging Effect from Extract of Fermented Reynoutria elliptica)

  • 임애경;정유정;김길수;김용해;곽정훈;홍주헌;김학윤;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69-375
    • /
    • 2010
  • 호장근 발효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노화 억제활성을 살펴보고자 발효 전후의 호장근 추출물을 대상으로 피부 홍반도, 유수분 함량, 형태학 조직병리학적 검사, GSH, TBARS 그리고 XO, SOD, CAT 등의 항산화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피부 홍반도에 있어서는 대조군에 비해 호장근 발효 추출물 처리군에서 뛰어난 홍반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수분 함량에 있어서도 FR-1000군이 유분함량은 $21.75{\pm}0.72$, 수분함량은 $55.13{\pm}1.07$로 CO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형태학적으로는 FR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피부의 주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도 표피 및 진피의 화농과 염증의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호장근 발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GSH는 증가하고 TBARS와 XO의 활성은 감소하였으며, 항산화 효소인 SOD, CAT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UVB 조사로 노화가 유발된 hairless mouse에서 호장근 발효 추출물의 도포가 노화된 피부에 염증반응을 약화시키며 유수분 함량을 증가시켜 피부장벽의 손상을 방지하며, 항산화 효소 및 resveratrol과 같은 항산화 물질을 증가시켜 항노화 기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호장근 발효 추출물은 피부노화 예방 및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아쿠아포닉스 기술을 이용한 친환경 항노화 제품 개발 (Development of Sustainable Anti-aging Products Using Aquaponics Technology)

  • 김유아;전태병;장욱주;박병준;강학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07-31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생식물로부터 지속가능한 천연 항노화 화장품 신소재 개발을 위해 수생식물인 어리연꽃의 친환경 아쿠아포닉스 시스템 적용 가능성 및 항노화 효능을 검증하였다. 어리연꽃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내에서 부엽형태의 담액식 방식에서 성장 가능하고, 근경번식을 통해 증식됨이 확인되었다. 또한, 어리연꽃의 재배에 질산염, 칼륨 및 수온이 크게 영향을 미치며, 최적 조건은 각각 $80{\mu}g/mL$, $63.5{\mu}g/mL$$25^{\circ}C$로 확인되었다. 특히 주성분 2종(3,7-di-O-methylquercetin-4'-O-${\beta}$-glucoside 및 sweroside)이 약 $5{\mu}g/mL$ 이상 함께 존재 시 시너지 유효성이 있었다. 어리연꽃 추출물은 환경 유해물질 $benzo[{\alpha}]pyrene$, ammonium nitrate, formaldehyde에 의해 손상된 피부 세포의 회복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염증성 조절 인자인 $PGE_2$, $TNF-{\alpha}$ 및 COX-2를 억제하고, 콜라겐 분해 효소인 MMP-1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염 및 항노화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쿠아포닉스 기술 기반 어리연꽃 추출물의 원료 표준화는 화장품 분야에서 신규 항노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