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Aesthetics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3초

한식레스토랑에서의 환경단서와 체험요인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명성의 조절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vidence and Experiences on Brand Attitude: Focused on a Moderator Role of Brand Reputation in Korean Restaurant)

  • 유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88-50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식당에서 환경단서와 체험요인이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관계에서 브랜드명성이 조절변수 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국의 한식당 중에서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여 상위 20위 안에 드는 H와 B 외식업체를 방문했던 고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353부의 설문지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주요한 4가지 사항이 발견되었다. 첫째, 환경단서 중 공간성, 심미성, 청결성, 쾌적성이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체험유형에 속하는 행동, 관계, 인지, 감성 모두가 브랜드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명성은 환경단서 중 심미성차원과 브랜드태도 간에만 조절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명성은 체험 중 행동과 브랜드태도 간에만 조절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식당 마케터들은 환경단서와 체험을 강화시키고, 마케팅 기법을 활용하여 브랜드명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가로 활성화를 위한 가로변 노천카페의 유형별 설계요소 평가 (An Evaluation of Design Factors with Sidewalk Cafes for Street Revitalization)

  • 김동찬;최우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47-5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유형별로 평가함으로써 추후 노천카페 가이드라인을 만들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가로변 노천카페의 전수조사가 시행되었다. 그리고 평가기준을 선정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와 중요도 조사가 사용되었고, 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분석, 요인분석 등과 같은 통계방법들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노천카페의 유형은 가로와의 관계성 관점에서 가로돌출형, 가로개폐형, 혼합입체형, 가로앙각형, 사인제공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평가항목의 5개 요인은 접근성, 심미성, 정체성, 환경성, 문화성이었는데, 이 5개 요인의 누적기여율은 68.731%로 높은 편이었다. 이러한 평가항목을 토대로 조경 전문가 4인이 5점 리커트 방식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형별 평가 결과, 가로돌출형과 가로개폐형은 '심미성'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혼합입체형은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가로앙각형은 '접근성', '심미성', '문화성', 사인제공형은 '접근성', '정체성', '환경성'의 점수가 낮았다. 지표별 평가 결과, '문화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고, 항목별 평가 결과, '장애인의 안전성', '프로그램의 흥미성', '출입의 개방성'의 평가점수가 가장 낮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요구와 관심은 높지만 연구가 미흡한 분야인 노천카페의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평가를 수행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로변의 노천카페만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추후 주변 환경의 차이에 대한 고찰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의 노천카페를 대상으로 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가 평가를 시행하였으므로 추후 이용자 입장에서의 중요도와 만족도 조사도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암호 영양상태 및 인부하 분석 (Trophic State and P Loading Analysis for Juam Lake)

  • 배상옥;이용운;이성우;정선용
    • 환경영향평가
    • /
    • 제9권4호
    • /
    • pp.291-300
    • /
    • 2000
  • Juam lake is a major water reservoir for the industrial and agricultural activities as well as the residental life of Kwangju and Chonnam regions. However, the water quality of the lake is getting worse due to a large quantity inflowing to the lake. The excessive growth of algae by the overfertilization may result in water treatment problems and also the interference with desirable water uses of navigation, aesthetics, recreation, and aquatic ecosystem.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es and their amount of planktons in the lak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 loading amount and the chlorophyll-a used as a primary productivity index.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show that (1) the predominant species of algae are Microcystis aeruginosa, Anabaena affinis, Melosira granulata, Synedra acus, and Coelastrum cambricum, (2) the trophic state of the lake can be classified as eutrophic, and (3) there is close relation between the P loading amount and the chlorophyll-a.

  • PDF

작동하는 복합환경조절장치 및 녹색기반시설로서 조경 -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옥외공간 설계 - (Constructing Landscape as an Operational Multi-Environmental Control Utility and Green Infrastructure - Landscape Design for National Marine Biology Resource Institute -)

  • 성종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1-56
    • /
    • 2012
  • Landscape space can and should play as a multi-functional agent : healing contaminated soil, reducing natural hazards, supporting living things, making comfortable environment for human, and appealing to human aesthetics, etc. This article aims to show the possibility and role of landscape space as such agent. In landscape design for National Marine Biology Resource Institute, distributed rain water treatment system and rain gardens are introduced to replace a mono-functioning large detention pond which was suggested by disaster impact assesment. Phytoremediation and vegetation filtering system with muti-cell wetlands are also adapted to heal the contaminated soil. This kind of landscape as a 'living machine' which can play as an operational control utility of multi-environment and thus can be combined effectively into green infrastructure is important for post-industrial city, especially in an era of climate change.

최신 자연채광 디자인 사례들 분석 및 그 적용에 관한 연구 - 미국 LEED 인증 공동주택 사례분석을 바탕으로 - (Study on the Analysis and the Application of State-of-the-Art Daylighting Design Cases - Based on the Case Studies of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Multi-Family housing -)

  • 윤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265-27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e-of-the-art daylighting design among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multi-family housing cases and to explore the feasibilities for their applications in domestic housing design. Occupants in multi-family houses are reported to consume more electricity power than those in single houses. That may imply the problems of daylighting design in domestic housing design for multi-family houses have better insulation system and less windows and outside walls than single houses. Therefore two systems, daylight delivery system and daylight control system, are scrutinized for daylighting design with LEED cases. The findings show when windows as a daylight delivery system are combined with overhangs, fins, louvers, fenestration materials, speciality fenestration, or interior controls as a daylight control system, the outcome goes with more energy savings and better facade design. Beside those, lightshelves as a daylight delivery system seem to have potentials in domestic multi-family houses with deep plans and less outside walls. Daylighting designs in domestic multi-family houses need to pursue available options more to achieve the integration of energy and aesthetics values.

현대 조경설계에서 생태-예술 이원론의 해체 (Deconstructing the Dichotomy between Ecology and Art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 배정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48-56
    • /
    • 2003
  • 20세기 후반을 거치며 환경 관련 이슈는 조경 이론과 설계에서도 중심 주제로 자리잡아 왔다. 환경에 대한 고려를 중심에 둔 이른바 생태적 조경계획 설계는 조경의 패러다임에 일대 전환을 가져오고 조경의 대사회적 역할을 교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흐름은 동시대 조경 이론과 설계의 가장 첨예한 쟁점 중의 하나인 생태학과 예술 사이의 이분법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즉 생태적 조경은 환경적 가치 대형태 구축, 부지의 생태적 분석 대 창조적 표현이라는 이원론적 갈등 관계를 형성해 온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양상의 생태-예술 이원론을 해체하고 대안적 조경의 지평을 구축하는 일이 현대 조경설계가 풀어야 할 최우선의 과제라고 파악한다. 이 논문은 특히 최근의 조경설계에서 실험되고 있는 경험의 구축, 변화와 프로세스의 고려, 일시성과 불확정성을 존중하는 태도 등을 통해 생태-예술 이원론을 해체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을 모색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전략에서 드러나는 대안적 조경미학이 최근의 환경미학과 공유하고 있는 이론적 지형을 검토함으로써 생태학과 예술의 접점을 가로지르는 조경설계의 새로운 좌표를 탐색한다.

도시화에 따른 공공공간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Types of Sustainable Public Spaces upon Urbanization)

  • 백승경;김주연;이승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58-165
    • /
    • 2009
  • Ever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large cities have become a field of new lifestyle and urbanization, causing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s a result, countermeasures for revolving these problems is needed. In addition, large cities in the information age have become a space where each nation executes its public policy to express the competitiveness of each city. In this study, countermeasures for the environmental crises caused by urbanization as well as the sustainable spatial designs for the cities are investigated as a new source of urban competitiveness, and the environmental aesthetics for designing public space is consid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sustainable designs and planning that is applicable to public space.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sustainability, the items of the spatial implementation of ecological, economical and social sustainability are categorized. Based on this categorization, the sustainable designs of public space a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an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good public spaces from previous literature is conducted. The concepts of design and three elements--public space, sustainability, and their instrumental meanings, are integrated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sustainable public space in cities, rather than being a conceptual classification.

아파트 환경색채의 배색 조화 방법 -익산시를 중심으로- (The Methods of Harmony in Color Combination of Environmental Color for Apartment -Focused on Iksan City-)

  • 김주미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29-34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경관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한 환경색채의 배색조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지역은 익산시 22개 아파트단지이며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색체계에 기초한 하드와 시빅의 배색모델을 준거의 틀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환경색채 지각과 색채미학에서 새롭게 제시된 다양한 이론들을 검토하였으며 환경 색채디자인에 적용될 수 있는 미학적 특성들을 제안하였다. 첫째, 색채조화 원리는 뉘앙스와 톤에 기초한다. 그러므로 뉘앙스와 관계된 명도와 채도의 조절이 배색에 중요하게 작용된다. 둘째, 색채지각에 있어 미적경험은 색채 속성들의 유사성과 차이성의 상호결합에 의한 효과로 정의되었다. 셋째, 색채조화이론은 더욱 통합적인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발전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적 자료는 환경색채디자인과 평가를 위한 기초적 정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ory and Practice on One of a Kind Furniture in Postmodernism

  • Moon, Sun-Ok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37-344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contemporary furniture theory and practice in Postmodernism mentioned as one of a kind furniture based on ideas from the tradition since Modernism. Qualitative conceptual analysis as the principal methodology was used to explore the postmodern furniture adopting or reflecting ornament from the tradition presented as postmodern furniture designers' point of view differently and variously. Thus, the examples about one of a kind or one-off furniture were dealt with Postmodern ideas appeared in the doubt over Modernism, Post-Modern furniture ideas from the traditional and Modern architecture, ornamental ism, Postmodern theorists, Postmodern furniture and the criteria. As a result, although one of a kind furniture design appealed newly from and based on the ornament of the tradition has been identified as new design like one of a kind furniture which shows lack of function, the piece with the meaningful ornament makes people happier in their daily life. Hence, one of a kind furniture, a work of art, has been required as striking a balance both function or comfort and aesthetics or beauty which makes the people more enjoyable.

  • PDF

풍력에너지의 환경친화적 이용 (Sustainable use of wind energy)

  • 이영희
    • 기술사
    • /
    • 제44권2호
    • /
    • pp.46-50
    • /
    • 2011
  • Wind energy, as an alternative to fossil fuels, is plentiful, renewable, widely distributed, clean, and produces no greenhouse gas emissions during operation. However, the construction of wind farms is not universally welcomed because of their visual impact, competing land use, comprising human health impacts, building and crop damage, loss of amenities and ecological impact, impact on wildlife, danger to birds, safety hazard, aesthetics and noise. Offshore wind power, in particular, offers a huge potential to generate clean energy. However, the envisaged massive expansion of wind farms in oceans is already causing severe environmental conflicts. Wind farms cause further harm to already threatened oceans. Wind power has negligible fuel costs, but a high capital cost. The expansion of climate-friendly wind energy use both onshore and offshore can only be successful it the legal and organizational conditions undergo some clear improve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