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Design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의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최소주거면적 기준의 인체측정학적 방법 연구 - Karl H. E. Kroemer의 인체측정학적 데이터 적용 방법 - (A Study on the Anthropometrical Method of Minimum Residential Space Standard for the Super-Aged Society of Korea - by Anthropometrical Data Application Methods of Karl H. E. Kroemer -)

  • 이호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5-24
    • /
    • 2017
  • Purpose: Korea is expected to enter an aged society in 2018 and then a super-aged society in early 2025. The country's aging is progressing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However, the foundation of the elderly friendly industry is weak, and measures at the government level are urgently needed. Especially, housing problems of the elderly are one of the most urgent measures to be taken. Korea does not have th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for the elderly, and the current general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is based on the survey of the housing situation without scientific evidence. Therefore, both standards need to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Methods: Th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has been calculated following Karl H. E. Kroemer's Min or Max design also being called as-single cut and dual cut theory- as the maximum population value and minimum population value theory of Ernest J. McCormic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formula made using a few key factors, such as corresponding dimension, practical dimension, clearance, spare dimension, integrated dimension. These elements can be defined and used as formulas to calculate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s. Results: Assuming the results of the spatial variability in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possible to raise the standard of living in a terms of sustainable minimum size for the young, old and all residents. Implications: The government should set a minimum residential area standard with scientific grounds and set up a policy improving the life of people who live in an needy residential environment.

에너지 자립형 단지계획 프로토타입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totype Setting for Energy Independent Site Planning)

  • 하승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59-366
    • /
    • 2021
  • 전 지구적으로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화두로 떠오른 지는 30년이 넘었다. 최근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령을 발표하고 이산화탄소증가를 방지하기 위한 세계기후변화 협약 등 에너지 절약과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에 대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도시들은 에너지 절약관점에서 계획되지 않기 때문에 새롭게 계획되는 도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해 능동적 에너지 절약형 도시구조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 새로운 국가 비전인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립형 친환경 주거단지의 새로운 프로토타입을 설정하고 향후 하고자 한다. 에너지 자립형 단지계획과 단지계획요소의 정량적 표준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메가스포츠시설의 사후 활용을 위한 임시주거 계획 -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중심으로 - (The Planning of Temporary Housing for Post Application of Mega Sports Facilities - Focused on the 2018 Winter Olympics -)

  • 이종찬;강윤도;김병선
    • KIEAE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1-46
    • /
    • 2016
  • Purpose: This is a study on the planning of temporary housing for post application of Mega Sports facil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which is to suggest building an alternative temporary housing using shipping containers(high cube), which solve the lack of accommodations and recycle temporary housing after Olympics, save money and be eco-friendly in Olympics. Method: This study includes this ; research on the a fact-finding survey about Mega sports facilities post application and demand survey on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ccomodations and an analysis about temporary housing plan. Furthermore we decided temporary housing building plan by analyzing residents' needs and traits of the housing etc. Through this, we made a schematic design for household units. Result: As a result, this study is a plan of making space, forms, and structure. The planned size is $38.4m^2$(L:12m, W:3.2m) except balcony, and indoor height is 2.5m. The space consists of entrance, bathroom, bedroom and living room with folding furniture system. Also there's a detailed floor plan of the ceiling, wall, and floor we drew up. The ceiling and wall consist of dampproof film, noncombustible board, fire proof urethane form, and color-designed sheet. The floor is composed of floor tile, cement mortar, light concrete(with heat coil), insulation, and dampproof film. Additionally, this study is a plan of interior dry wall with detail using modular construction method for work efficiency and quality improvement.

신규 공공주택단지의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이용에 관한 거주자 평가 분석 (Resident's Assessment of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 in New Public Housing Estates)

  • 오정익;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55-161
    • /
    • 2016
  • 본 연구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규 공공주택단지에 건설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이용하는 거주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 평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6개 도시 소재 분양 및 임대 아파트 단지 11곳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통계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거주자들 대부분은 현주택단지에 이사 오기 전까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들어보거나 사용해 경험이 없었으며, 대부분 이사 직후 관리사무소 직원을 통해 사용법을 습득하였다. 다만, 분양아파트 거주자들에 비해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의 이용법 교습시점이 3배 이상 늦어졌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만족도는 분양아파트 거주자보다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에게서 더 높았고, 세부적인 항목에서도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이 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부정적으로 평가된 항목은 거의 없었으나 사용자 중심의 편리성이 강화된 시설로 거듭나는 요구가 있었다. 분양 및 임대아파트 거주자들 대부분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이 쾌적한 주거환경 구축하므로 확대 보급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재가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경로당 환경색채 체크리스트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Color Checklists for Senior Center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elders)

  • 최예림;박혜경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4권
    • /
    • pp.327-337
    • /
    • 2018
  • 최근 우리나라는 OECD 국가중 1위를 차지할 만큼 고령화사회로 고속화되고 있으며, 한국의 기대수명이 점차적으로 늘어감에 따라 사회에서 노인의 비중은 커져간다. 따라서 주요 노인계층의 행복감은 사회 전체적 분위기 및 행복감에 기여되는 부분이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변화로 인한 노인의 삶의 질적 저하는 우울증, 자살률 증가 등의 사회적 문제로 발전될 수 있다. 이처럼 노인의 삶의 질과 만족도 향상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주어지면서, 경로당은 재가노인 사회활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복지시설 형태로서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최근 경로당의 역할 부담의 증가로 인하여 노후된 환경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물적 인적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정작 사용자를 배려한 실내환경의 질적 논란이 일고 있다. 색채환경은 사용자의 심리적, 정신적 영향이 높은 실내 환경인자일 뿐 아니라, 가장 저비용으로 환경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라는 점에서 경로당 색채환경의 질 향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노인시설지침 중 색채환경에 대한 내용은 미비한 실정이며, 노인관련 시설에 대한 선행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산발적이므로 경로당 색채환경의 현주소 파악과 향후 개선방향의 도출을 위하여 관련 연구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재되어 있는 경로당 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과 경로당의 주 사용자인 노인의 특성(신체적, 심리적, 선호적) 관련 연구를 종합하여 체크리스트를 도출하며, 이는 경로당 색채환경의 평가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경로당이 현재 전국적 네트워크를 가지는 주거영역에 기능하는 중요 노인여가시설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활성화될 기존의 경로당 환경개선을 보다 사용자인 노인의 심리적, 정신적 만족도 향상을 가능하게 하여 사회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신도시 아파트단지의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운용 및 관리실태 (Management of Automated Vacuum Waste Collection Systems in Suburban Apartment Complexes)

  • 오정익;이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6-62
    • /
    • 2016
  • 본 연구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지속가능한 정주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신규 공공 아파트단지에 건설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에 대한 운영자와 거주자 평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수도권 소재 10개 지구의 시설 운영 관리 담당 실무자와 이들 지구의 11곳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은 경제적 편익이 큰 시스템으로, 효율적인 시설 운영을 위해 전문성 강화, 설계 및 성능 개선, 인력 증원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개선사항은 시설에서 접수된 민원, 그리고 투입시설 및 관로시설의 수리 이력과 빈도가 반영된 결과였다. 한편, 거주자들은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사용 평가에 대해서는 사용자 친화적 요소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거주자들은 투입시설을 주로 이용하는 점을 고려할 때 개선사항들은 투입구의 안전성, 위생적 관리, 고장 발생 시 신속한 수리, 악취제거, 쓰레기 분리 등이 있었으며, 올바른 시설 이용을 위한 거주자 대상의 교육을 지적하였다. 실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의 운영 관리가 사용자의 부주의와 실수에 의한 고장이 빈번하여 제기되는 민원이 많은 점을 고려할 때 향후 시설 운영 관리의 전문성 강화 뿐만 아니라 거주자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