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nvelope Detection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2초

Six-port 직접 변환 수신을 위한 광대역 Power detector 설계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roadband Power Detector for Six-port Direct Conversion Receiver)

  • 이용주;김영완;박동철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59-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직접 변환 방식인 six-port의 RF 출력 신호를 검파하고 요구 대역폭에서 입력 주파수 신호에 대한 진폭 및 위상 신호를 선형적으로 출력하는 광역 power detector를 설계 제작한다. Six-port 출력단에 접속되는 power detector는 높은 정합도를 갖고 반사파로 인한 Six-port 간 위상 불일치를 방지하고, 넓은 대역폭에서 낮은 VSWR을 유지하여야 하는 광역 특성을 갖는 power detector 설계가 필요하다. 광역 정합을 위하여 사용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강제 정합과 다단 LC 정합 회로, 그리고 isolator를 사용한 낮은 VSWR 특성을 갖는 설계 방법을 비교 분석한다. 설계 제작된 power detector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동적 동작 영역(dynamic range) 성능을 측정하여 Six-port의 수신 전송 신호 검파기로 활용될 수 있는 타당성을 평가한다.

  • PDF

젖소 말초혈액 림프구로부터 소백혈병 바이러스 배양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 (Cultivation and Electron Microscopy of Bovine Leukemia Virus from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of Holstein-Friesian Dairy Cattle)

  • 윤순식;박중원;변재원;강문일;유한상;한홍율
    • Applied Microscopy
    • /
    • 제35권1호
    • /
    • pp.23-30
    • /
    • 2005
  • 국내 젖소의 54.2%가 BLV에 감염되어 있지만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소백혈병 바이러스 (BLV) 입자를 확인한 연구 보고가 없기 때문에 BLV 항체 양성 소의 말초혈액 림프구를 배양, BLV를 발현시켜 전자현미경으로 바이러스 입자를 검출하였고 배양조건에 따른 바이러스 발현율 및 발현 시간을 비교하였다. 검사 결과 전형적인 C-형 바이러스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BLV 단크론 항체를 이용한 면역염색결과 BLV 항원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BLV는 대부분 세포 외부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세포질 막에서 생성, 발아되어 나오는 것도 관찰되었다. 전체 바이러스의 크기는 $90{\sim}100$ nm였으며 nucleocapsid는 $40{\sim}60$nm였다. 소태아혈청 (FBS)과 T- 및 B-림프구 분열촉진물질(mitogen)을 각각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두 군 모두에서 BLV 발현이 확인되었다. Lipopolysaccharide 첨가군은 배양 12시간, Conconavalin A 첨가군은 배양 24시간에 각각 림프구의 10%에서 바이러스가 관찰되었다. 또한 FBS만 첨가한 군과 FBS와 mitogen을 모두 첨가하지 않은 군에서도 관찰되었으나 바이러스의 수는 적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BLV 배양 기법을 활용하면 BLV에 감염된 소 중 바이러스를 발현하는 소, 즉 전파능이 있는 개체를 찾아내어 우선적으로 도태할 수 있기 때문에 BLV 감염으로 인한 피해를 막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a 대역을 사용하는 동기화 CDMA 위성 시스템 리턴링크의 수용용량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apacity of synchronous CDMA return link for a Ka band satellite communication system)

  • 황승훈;이용한;박용서;황금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1797-1806
    • /
    • 1998
  •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미래 위성통신용 Ka 대역(20/30 GHz)은 지상의 간섭으로부터 자유롭고 상대적으로 넓은 주파수 대역을 장점으로한다. 그러나, Ka 대역의 큰 단점은 강우 조건에서 매우 큰 대기중감쇄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통기화 CDMA는 유연한 주파수 재사용과 연성 통화인계(soft-handover), 간섭에 덜 민감한 점등의 이동통신을 위한 CDMA의 주요 특징뿐만아니라, 자기간섭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는 특징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Ka 대역에서 운용되는 동기화 CDMA 정지위성 시스템 리턴링크의 성능을 고찰하였다. 기후 조건에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가지는 정지위성 채널에 대해 신호의 포락선과 위상을 가우시안으로 모델링 하였다. 강우 조건에서의 비트 오율과 outage 확률 그리고 불완전한 칩동기화로 인한 검출손실을 해석적으로 계산하고, 기후 조건에 의한 시스템 수용용량 감소를 추정하였다. 강우에 의해 모든 사용자가 영향을 받는 일반적인 경우와, 기준 사용자만 영향을 받는 최악의 경우 두가지 경우에 대한 분석이 수행되었는데, 그 결과 동기화 CDMA는 전력제어 요구의 부담을 덜어주고, 불완전한 전력제어에 덜 민감함을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Digital PCR and Quantitative PCR with Various SARS-CoV-2 Primer-Probe Sets

  • Park, Changwoo;Lee, Jina;Hassan, Zohaib ul;Ku, Keun Bon;Kim, Seong-Jun;Kim, Hong Gi;Park, Edmond Changkyun;Park, Gun-Soo;Park, Daeui;Baek, Seung-Hwa;Park, Dongju;Lee, Jihye;Jeon, Sangeun;Kim, Seungtaek;Lee, Chang-Seop;Yoo, Hee Min;Kim, Se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358-367
    • /
    • 2021
  •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clared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as an international health emergency. Current diagnostic tests are based on the reverse transcription-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qPCR) method, which is the gold standard test that involves the amplification of viral RNA. However, the RT-qPCR assay has limitations in terms of sensitivity and quantification. In this study, we tested both qPCR and droplet digital PCR (ddPCR) to detect low amounts of viral RNA. The cycle threshold (CT) of the viral RNA by RT-PCR significantly varied according to the sequences of the primer and probe sets with in vitro transcript (IVT) RNA or viral RNA as templates, whereas the copy number of the viral RNA by ddPCR was effectively quantified with IVT RNA, cultured viral RNA, and RNA from clinical samples. Furthermore, the clinical samples were assayed via both methods, and the sensitivity of the ddPCR was determined to be equal to or more than that of the RT-qPCR. However, the ddPCR assay is more suitable for determining the copy number of reference material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qPCR assay with the ddPCR defined reference materials could be used as a highly sensitive and compatible diagnostic method for viral RNA detection.

고해상 해저 탄성파 탐사자료에 대한 너울영향 보정 (Swell Effect Correction for the High-resolution Marine Seismic Data)

  • 이호영;구남형;김원식;김병엽;정순홍;김영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6권4호
    • /
    • pp.240-249
    • /
    • 2013
  • 해양지질 조사 또는 엔지니어링 목적의 해양 탄성파 탐사에서 해상의 너울로 인하여 탐사자료의 품질이 저하된다. 1 ~ 2 m의 너울은 탐사 중에 종종 발생하는데, 1 m 이내의 정밀도를 요하는 고해상 해저탐사자료에서 이를 보정하여 줌으로써 탄성파 단면도의 수평적 연속성을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8채널 고해상 에어건 탐사자료와 3.5 kHz 천부지층탐사자료에 대하여 너울영향 보정을 적용하였다. 너울영향을 효율적으로 보정하기 위해서는 탐사자료에 나타나는 해저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해저면 수심값 추출을 위하여 해저면 부근의 최대 진폭을 이용하거나 최대진폭값의 일정 기준을 넘어서는 지점을 해저면 위치로 추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품질이 낮은 자료에 대해서는 수심값 추출이 용이하도록 엔벨로프 또는 해저면 요소파(wavelet) 신호와 상호상관을 수행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한 수심값으로부터 평균값을 구한 후, 그 차이를 보정하여 주었다. 시험 적용된 에어건 탐사자료에서는 약 0.8 m, 2종의 3.5 kHz 천부지층탐사자료에서는 각각 약 0.5 m와 약 2.0 m 범위의 너울영향을 보정하였다. 자료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해저면 수심값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을 보정함으로써 지층의 연속성이 향상된 고품질의 고해상 해저 탄성파 단면도를 제작할 수 있었다.

광섬유를 이용한 광영상 단층촬영기에 관한연구 (A study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ystem using optical fiber)

  • 양승국;박양하;장원석;오상기;김현덕;김기문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9
    • /
    • 2004
  • 본 연구에서 고분해능 측정과 저가격화 및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전세계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중인 광섬유를 이용한 광영상단층촬영기를 연구하였다. 광영상단층촬영기의 기돈원리로는 마이켈슨 간섭계를 이용한 것이다. 시스템의 구성으로는 광원은 분해능 및 측정범위를 고려하여 1,300nm 중심파장을 가지며 대역폭이 35nm인 상용제품의 SLD(Superluminersent diode)를 사용하였으며, 샘플내부의 영상을 검출하기 위한 간섭신호 검출방법은 기준거울이 선형적으로 이동하여 광경로를 일치하는 광지연선로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간섭계는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하여 기본적인 마이켈슨 간섭계를 구성하였으며, 스캐너는 시준기를 이용하여 샘플에 대한 초점을 고정하도록 하였으며, 스템모터를 이용하여 스텝모터를 이용하여 샘플에 대한 횡단방향으로 이동하여 샘플의 2차원 단층영상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수광부는 소신호인 간섭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감도가 뛰어나면 잡음특성이 우수한 800~1,700nm 측정범위의 광검출기를 사용하였다. 신호처리부에서 간섭신호의 포락선 신호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증폭 및 필터링 하여 A/D 변환을 거친 후 제작된 영상검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단층영상을 나타내도록 하였다. 측정결과 분해능은 약 30$\mu\textrm{m}$로서 이론식과 일치함을 확인하였으며, 탁구공의 단층영상을 측정하였다. 기본적인 마이켈슨 간섭계를 이용한 OCT시스템은 되돌아오는 간섭광의 절반이 광원부로 향하여 간섭신호의 절반이 손실되므로 검출기에서 검출된 신호가 미약하여 단층영상의 대비도를 떨어뜨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간섭계 구성의 개선이 필요하다. 또한 측정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광지연선로의 개선으로 통해 짧은 시간내 당층영상을 얻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기로 확장 가능한 PCS 단말기를 사용해서 위치추적을 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선정하게된 배경은 단말기아 망 이용료의 가격이 저렴하여 현실적으로 트럭이 쉽게 부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 인터넷 단말기를 활용하여 차량과 관제센터사이에 메시지 전송 등 부가적인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비교한 결과 토사 유출 억제효과는 한지형과 나지형잔디들의 혼합형(MixtureIII)과 자생처리구(MixtureV), Italian ryegrass와 자생식물의 혼합형(MixtureIV)등에서 비교적 낮은 수치를 토사유출량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생식물들이 비록 초기생육속도는 외래도입초종에 떨어지지만 토사유출의 억제효과면에서는 이들 외래초종에 필적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겠다.중량이 약 115kg/$m^2$정도로 나타났다.소 들(환경의 의미, 사람의 목적과 지식)보다 미학적 경험에 주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사람들에게 비슷한 미학적 경험을 발생시키는 것 이 밝혀졌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문화적인 국적과 사회적 인 직업의 차이, 목적의 차이, 또한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상관없이 아름다 운 경관(High-beauty landscape)을 주거지나 나들이 장소로서 선호했으며, 아름답다고 평가했다. 반면에,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화의 차이, 직업의 차 이, 목적의 차이, 그리고 환경의 의미의 차이에 따라 경관의 미학적 평가가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corner$적 의도에 의한 경관구성의 일면을 확인할수 있지만 엄밀히 생각하여 보면 이러한 예의 경우도 최락의 총체적인 외형은 마찬가지로 $\ulcorner$순응$\lrcorner$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도 $

  • PDF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유행 제3-4기 소아청소년 환자의 임상적 특성: 단일기관 후향적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Patients With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During the Third and Fourth Waves of the Epidemic in Korea: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Study)

  • 문가원 ;신동현;최수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3호
    • /
    • pp.131-140
    • /
    • 2022
  • 목적: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 2019,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된 이후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들이 지속적 출현으로 반복되는 코로나19 유행이 장기간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코로나19 유행 제3기와 제4기 중반까지 소아 청소년 환자의 임상적, 역학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한 18세 이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기간은 제3기 유행(2020년 11월 13일-2021년 7월 6일)과 제4기 유행(2021년 7월 7일-10월 31일)로 구분하였다. 결과: 총 93명이 분석에 포함되었다(제3기 33명, 제4기 60명). 제3기에 비해 제4기 환자군의 중간 연령이 유의하게 높았다(6.7세 vs. 2.8세, P=0.014). 가정 내 전파가 전체 환자의 60.2%에서 보고되었고 두 시기에서 유사하였다(69.7% vs. 55.0%, P=0.190). 전체 환자 중 87.1% (81명)가 유증상 확인자였다. 이중 12.3%는 호흡기 증상이 없었다. 후각/미각 소실은 제4기 유행 환자군에 더 많이 관찰되었다(10.7% vs. 34.0%, P=0.032). 대부분의 호흡기 감염은 상기도 감염(94.4%, 67/71)이었고 4명 환자에서 폐렴이 동반되었다. 두 유행기 동안 진단 시 바이러스 수치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단일기관 후향적 연구의 제한점이 있으나 국내 코로나19 유행 제3기와 제4기 중반 동안 소아청소년 환자는 대체로 경증이었고 두 시기에서 임상적 특성 차이가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