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ship Education Satisfaction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4초

취업 대상자의 현 직장 만족도 조사 : 취업 대상자 교육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Job satisfaction of the Recipients with Working Ability : The Implication for Further Studies)

  • 김민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2호
    • /
    • pp.149-166
    • /
    • 2011
  • 우리나라 근로 시장의 개방성은 취업 대상자들의 이동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근로자의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을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는 청년패널2007(YP2007)의 청년 취업대상자용 설문지를 통해 현 직장 만족도의 현황을 분석하여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취업 대상자들의 현 직장 만족도의 특성을 인구 통계학적 측면, 직장 상황의 측면, 심신 상태의 측면, 직장 환경 만족도의 측면, 현 직업 선택 시 고려사항의 측면으로 정리하였고, 이를 통한 탄력적 시장 경제에 적합한 교육의 필요성을 바라보았다.

  • PDF

시니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창업의지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for Seniors and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 김명숙;이재현;고종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3호
    • /
    • pp.233-241
    • /
    • 2013
  • 본 연구는 중소기업청 주관으로 시행되고 있는 시니어창업역량교육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고 창업교육내용 및 교육환경이 창업교육만족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동 프로그램의 수행기관인 H대학교의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육생 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주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대응표본 t검증과 경로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니어창업역량교육프로그램이 시니어들의 창업의지 제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업교육내용과 창업교육환경이 창업교육만족과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수업 적응도 및 만족도 실태 분석: 한동대학교 사례 (Analysis of class adaptation and satisfaction under untact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COVID-19: Handong Global University case)

  • 김우성;최혜봉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09-119
    • /
    • 2021
  • 2019년 말 코로나 바이러스가 대유행하면서 대부분 대학이 갑작스럽게 비대면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갑작스럽게 비대면 교육을 진행한 대학들이 겪었던 어려움 중 하나는 교육의 질 관리에 관한 것이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 교육의 질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된 지표들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실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한동대학교에서 2020년 봄에 진행한 수업 적응도 및 만족도 결과들을 동일 교수자의 이전 자료들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수업유형이나 비대면 수업 방식에 따라 강의 적응도와 만족도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는 수업적응도와 만족도 모두 이전보다 비슷하거나 약간 척도 값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시간으로 수업을 진행한 강의가 강의 녹화 방식으로 진행한 강의에 비해서 모든 만족도 설문 문항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강 인원 및 교수자의 이전 온라인 강의 경험 유무에 따른 만족도의 변화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청년층 직업선택과 창업의 영향요인 분석 - 7개국 국가 간 비교연구 -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Job Choices and Start-ups of Youth - Comparative Study among 7 Countries -)

  • 오세호;남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268-280
    • /
    • 2020
  • 본 연구는 청년층의 직업선택과 창업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진로 체계가 잘 구축되어 있거나 창업이 활성화된 비교대상 6개 국가(중국, 인도네시아, 영국, 독일, 이스라엘, 미국)를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통계의 표본은 글로벌 기업가 정신 트랜드 지수(GETR)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7개국 청년층의 7,082명을 표본으로 활용하였다. 다변량 분산분석과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요인별 국가 간의 평균비교를 하였으며, 부모 영향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직업선택의 영향요인으로 직업만족도, 부모 영향도, 직업변경 의향도로 나타났다. 한국의 직업만족도는 7개국 중 가장 낮았으며 직업변경 의향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부모 영향도는 7개국 중 중간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직업만족도가 직업변경 의향도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유사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창업의 영향요인으로 창업교육, 창업의지, 직업만족도, 부모 영향도로 나타났다. 이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국가 간의 평균 비교분석과 요인 상호간의 영향도를 검증하였으며, 부모 영향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모든 국가에서 창업교육이 창업의지를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만족도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모 영향도가 유사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정부와 대학 등 교육기관에서 청년층의 진로 전반에 대한 정책방향을 수립 시 도움이 될 유용한 시사점이 될 것이다.

고등학생의 진로상담 교육과 진로체험 교육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영향 (Effect of Career Counseling and Career Experience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High School Students)

  • 백주경;천준협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0-51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지역 고등학생 568명을 임의 선정하여 학교 진로교육(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현장견학, 대학 혹은 전공체험, 및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한 학생들의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에 나타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각 항목별로 만족도에 따라서 3개의 상(a), 중(b), 하(c)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방법: 진로교육 상담 후에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결과: 진로상담, 진로 및 직업체험, 대학 혹은 전공체험, 창의적 체험활동 수업의 만족도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 항목에서 a>b>c집단 순이며, a집단이 b 및 c집단보다 높게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진로캠프, 기업가 정신 및 창업 체험 수업의 만족도의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으며, a·b·c집단의 수치 간에는 차이는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현장견학 수업의 만족도 평균치는 a>c>b집단 순으로 나타났고, a집단은 b와 c집단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로 높았다. 결론: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및 미래계획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격교육 서비스요인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취업 준비생을 중심으로 (Effect of Service Factors in Distance Education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mpacts: Focusing on Employment Opportunities)

  • 박광록;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101-111
    • /
    • 2019
  • 원격교육에서 서비스품질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를 높이기 위해 중요한 부분이다. 하지만 이제까지 원격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함에 있어서 원격교육 서비스품질에 대한 단편적인 효과중심으로 연구되었고 구체적인 대상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취업 준비생들을 대상으로 원격교육 서비스요인이 고객만족도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 하였다. 2019년 3월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원격교육을 경험한 취업 준비생 258개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유형성, 문제해결,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편리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만족도은 고객충성도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에서 유형성, 문제해결, 상호작용성, 정보제공성, 편리성과 고객충성도 사이에 정(+)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시사점은 4차 산업혁명시대에 교육과 ICT(정보통신기술)가 융합된 에듀테크 관련 교육기업의 서비스품질 요인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실질적인 연구를 함으로써 교육기업의 창업과 마케팅 과정에 있어서 창업가와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기업의 원격교육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또한 서비스품질의 중요성 검증과 다양한 효과에 대한 평가를 취업교육 영역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에도 다각도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인터넷 창업교육 현황과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Internet Business;Current Status & Future Direction)

  • 정진수;양영석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3-174
    • /
    • 2007
  • 창업교육의 일환으로 인터넷 창업교육이 공공과 민간영역에서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창업성공에 이르게 하는 데는 부족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창업교육의 현황을 고찰해보고 전자상거래지원센터에서 진행중인 인터넷 창업교육 실태조사를 통해 교육생 만족도 및 교육내용에 중요도와 실제 교육반영도 조사를 통해 창업교육 진행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교육생들의 연령, 학력, 교육동기와 창업교육 경험유무에 따라 교육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나, 이들의 요구에 기반한 다양한 형태의 맞춤식 교육이 요구되었다. 둘째,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기술적 요소에 대한 교육과 더불어 창업리더쉽, 사업수행능력 등 인적 요소, 사업추진환경과 사업아이템 등 사업환경적 요소에 대한 교육 보강이 요구되었다. 셋째, 창업후 사후지원과 컨설팅, 수료생 커뮤니티 구축, 수료생간 아이템 연계 지원, 상호네트워킹, 멘토링 등 교육후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조사분석을 통해 인터넷 창업의 성공적 지원을 위한 교육진행과 사후 연계체제 구축을 통해 창업교육의 고도화 및 내실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 PDF

소상공인의 개인성향 및 시장 환경특성과 경영성과 간에 경영교육 만족도가 미치는 조절효과 검증 (Te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Management Education between Small Business Owner's Individual Personality, Market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erformance)

  • 황선재;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6호
    • /
    • pp.45-57
    • /
    • 2019
  •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으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경영교육이 개인성향 및 시장 환경특성과 경영성과 간의 영향관계에 미치는 조절 역할에 대한 분석 연구는 미비한 현실로 본 연구를 통한 검증제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 등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368부를 수집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경영교육만족은 경영성과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2단계에서 평균중심화한 성취욕구와 경영교육만족도간의 상호작용을 추가로 투입한 결과 성취욕구와 경영교육만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항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환경특성 중 시장매력도와 경영교육만족도는 모두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2단계에서 평균중심화한 시장매력도와 경영교육만족도간의 상호작용을 추가로 투입한 결과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상호작용항 역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는 경영교육만족도의 조절효과를 통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치열한 경쟁환경 속에서 그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versity Entrepreneurial Education Service Quality on Education Satisfaction, Entrepreneurial Capabilit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곽동신;정화영;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37-48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의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에서 다양한 창업교육이 진행되고 있지만 창업성과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성과를 높이기 위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창업교육의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기 위해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5개 요소 21개의 문항을 설정하고, 설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둘째, 고객 만족에 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창업교육 수강생의 교육만족을 정의하고, 창업역량의 요소 중 성취역량, 창의성역량,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 등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은 기존의 연구와 다르게 유형성과 신뢰성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 4개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된 창업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과 창업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창업역량 요인을 4개로 정의하여 설문을 분석한 결과 성취역량과 창의성역량이 하나의 요인으로 분석되어 개념화역량, 사회적 역량과 함께 3가지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교육만족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업의지는 창업역량에 영향을 받았지만, 교육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만족이 창업역량을 통하여 창업의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차후 연구에서는 대상을 여러 지역 혹은 전국으로 확대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른 변수와의 접근 방법을 가지고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Education and Mentoring of Entrepreneurship on the Intentions of Business Start-Up - Focusing o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

  • 김영태
    • 벤처혁신연구
    • /
    • 제3권1호
    • /
    • pp.1-26
    • /
    • 2020
  • 본 연구는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이들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표본은 20대에서 50대까지의 예비창업자(창업 3년 이내 포함) 178명이며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은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1.0)을 이용하였다.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 분석결과 나타난 주요 발견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업교육과 멘토링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창업교육과 멘토링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은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칠 때 매개역할을 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를 향상하는데 창업교육과 멘토링이 주요 역할을 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지를 촉진하기 위한 선행변수로서 창업교육과 멘토링의 중요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매개변수로 선정한 회복탄력성은 교육학과 심리학에서 주로 연구되던 변수로서 창업교육 및 멘토링과 창업의지간에 매개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