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alertnes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Two Patterns of Planned Behaviour and Alertness: Empirical Evidence in China

  • Lu, Hong;Wang, Jiafure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5권2호
    • /
    • pp.63-72
    • /
    • 2018
  • Researches based on the pattern of planned behavior holds that the three variables of entrepreneurial attitudes,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fluence each other and influence entrepreneurial intentions respectively. However, there are also different, even conflicting research conclusions that continue to emerge. Researches based on the pattern of alertness, believe that profit opportunities and individuals' pursuit to truth are the driving forces. Many scholars have demonstrated the impact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alertnes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However, as an exogenous causal agent, profit opportunities have a logical problem: if there are no other assumptions, the mere existence of opportunities does not adequately explain entrepreneurial alertness.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considered samples from mainland China, where entrepreneurial activities are very active currently, to test the role that entrepreneurial alertness is assumed to play in the planned behavior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three dimensions of alertness, individually partly intermediate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attitud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influence of subjective norm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at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article studied the production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integrating the two patterns of planned behavior and alertness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opened up a new field for subsequent research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기업가적 기민성 영향요인 (Impact Factors of Entrepreneurial Alertness)

  • 김우영;김형길;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1호
    • /
    • pp.1-10
    • /
    • 2018
  • 최근 학계 및 정부 관계자들로부터 기업가정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업가정신 연구 분야에서 기업가적 기민성을 기업가적 사고 방식의 핵심적인 능력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학술연구에서는 해외에서의 이러한 활발한 연구 흐름과 달리 기업가적 기민성에 관한 연구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환경에서 기업가적 기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서울, 경기 지역의 창업, 중소기업 대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기업가적 기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하여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Ardichvili의 Alertness 모형에 따라 기업가적 기민성에 미치는 독립변수로서 시장기술사전지식, 긍정적 태도, 사회적 네트워크, 월간도서건수로 선정하였고, 통제변수로서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연령, 창업경력을 선정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에 따르면, 독립변수로서 시장기술사전지식, 긍정적 태도, 월간도서건수는 기업가적 기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다만 사회적 네트워크는 측정변수를 정량적 지표인 정기모임 건수, 비정기모임 건수, 사적 모임 건수로 다루었으나 기업가적 기민성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가지는 몇 가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국내 학술연구에서 그동안 다루지 않았던 기업가적 기민성 요인에 관하여 실증 연구를 통하여 기업가적 기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는데 학문적 기여가 있다고 하겠다.

창업멘토링 기능이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적 기민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 Companies: Focusing on Entrepreneurial Alertness)

  • 이정하;이동명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45-61
    • /
    • 2023
  •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으로 창업률은 높아지고 있으나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률 및 성장률은 창업률에 비해 현격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스타트업의 생존률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창업멘토링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창원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들은 스타트업이 회사를 운영함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어 창업멘토의 멘토링을 통해 스타트업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창업멘토링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업멘토링과 창업기업의 기업가적 기민성에 대한 요인이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는지를 규명하기위해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창업멘토링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창업멘토링이 기업가적 기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업가적 기민성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요인별로 실증 분석하였다. 더불어 정부지원사업에 있어서 초기기업과 도약기업의 기준이 되는 창업 3년미만 기업과 3년이상 기업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멘토링 기능과 기업가적 기민성 간 업력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멘토링 문제해결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 평가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멘토링의 동기부여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간 업력에 따라 멘토링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에 조절효과가 일부에서 나타났다.

  • PDF

기업가적 기민성과 멘토링 및 멘토링 횟수와 기업성과 관계에서 기회인지의 매개효과 영향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Among Entrepreneurial Alertness, Mentoring, & Number of Mentoring on New Ventures' Performance)

  • 박미정;이선호;황보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24
    • /
    • 2021
  • 최근 정부는 제2 벤처 붐 확산을 위해 창업지원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지원 규모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창업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창업가가 갖추어야 할 기업가정신 교육이나 멘토링이 중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원프로그램에 선정된 기업 중 일부에서는 사업화 자금만을 목적으로 하고 기업가정신 교육이나 멘토링 등의 프로그램 참여를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부 창업지원사업에 선정된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제공되고 있는 멘토링의 내용과 횟수, 그리고 기업가적 기민성이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함으로써 기업가적 기민성과 멘토링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 실증분석에 따르면 첫째, 기업가적 기민성의 하위요인인 연합-연결력을 제외하고는 관찰-탐색력과 평가-판단력은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성과(재무, 비재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금조달, 기술지원, 경영지원 멘토링은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재무 및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멘토링 횟수 또한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의 재무, 비재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업가적 기민성 하위요인 중 연합-연결력이 기회인지를 매개로 기업성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볼 때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프로그램 설계와 운영시 창업자의 전략적 의사결정 기회를 침해하지 않는 방안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재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정부 창업지원 사업에서 창업기업에 제공되는 멘토링이 중요하다는 것이 실증적으로 규명된 만큼 각 창업기업의 성과목표에 맞는 맞춤형 멘토링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에서 핵심 구성 요소로 다루어지고 있는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 인지, 그리고 실무적 측면에서 창업기업 성과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는 멘토링과 멘토링 횟수에 대한 요인들을 기업성과 영향 요인으로 이론적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아울러 멘토링을 지원하는 창업기업 지원 기관들에게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청년세대의 주의력결핍성향(ADHD성향)과 스키마(Schema)가 기업가지향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HD-like Behavior and Schema of Youth Generation on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김영수;정회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35-648
    • /
    • 2019
  • 많은 기업가정신에 관한 연구들이 자기효능감, 셀프리더쉽과 같은 긍정적인 특성을 중점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최근에 해외에서는 ADHD 성향(주의력결핍성향)과 같이 부정적인 특성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ADHD 성향이 기업가지향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이 주로 기회발견과 기업가적 기민성에 초점을 둔 특성인 스키마가 기업가지향성과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청년 세대를 대상으로 리서치 회사를 통해서 온라인 조사를 진행한 결과 ADHD 성향은 위험감수성과 혁신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미래지향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키마는 기업가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가지향성도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ADHD 성향이 높을수록 미래지향성이 낮아서 창업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스키마는 기업가지향성을 통해서 창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