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al feeding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초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에 의한 장폐색에 관한 연구 (Meconium Obstruc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홍기배;성인창;이건송;장영표;송희승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1호
    • /
    • pp.52-58
    • /
    • 2011
  • 목 적: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은 장관 영양을 지연시키고 장폐색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이 진단과 치료의 유용성에 대한 원칙은 아직 논란 중이다. 본 연구는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임상 소견을 관찰하고,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 관장 후 장폐색 증상 호전, 장관영양의 진행, 합병증 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 극소저출생체중아 중에 태변 장폐색으로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을 시행한 14명의 임상 소견과 방사선 소견, 장관 영양의 진행,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 치료 후 호전 여부,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합병증 등을 관찰하였다. 이들의 주요임상 소견을 장폐색 증상 없이 수유 진행이 가능하였던 극소저출생체중아 18명과 비교 하였다. 결 과: 1) 태변 장폐색을 보인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태변 장폐색이 없었던 극소저출생체중아에 비해 낮은 5분 Apgar 점수를 보였다(p<0.05). 또한, 출생 후 마지막 태변 배출시기(일), 첫 수유 시작 시기(일), 전 장관 영양 도달 시기(일)들도 의미 있게 지연되었다(p<0.05). 2) 고삼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14명에서 18 회를 시행하였다. 18회 중 12회에서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하였으며 이 중 11회에서 관장 후 다량의 태변 배출과 함께 장폐색 증상의 호전이 있었으나, 1예는 호전이 없어 회장절개술로 태변을 제거하였다. 3) 조영제가 회장 말단에 도달 못한 5명 중 3명에서 증상의 호전이 없어 조영제 관장을 재시행 하여 조영제가 회장말단에 도달하였고 장폐색 증상이 호전되었다. 4) 고삽투압 수용성 조영제 관장과 연관된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다. 결 론: 극소저출생체중아 태변 장폐색에서 고삼투압수용성 조영제 관장은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었다.

Fundoplication in Neonates and Infants with Primary Gastroesophageal Reflux

  • Yoo, Byung Geon;Yang, Hea Kyoung;Lee, Yeoun Joo;Byun, Shin Yun;Kim, Hae Young;Park, Jae Ho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7권2호
    • /
    • pp.93-97
    • /
    • 2014
  • Purpose: Gastroesophageal reflux in infant is a physiological process. However, surgery is performed in high risk infants with severe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when medical management fails. This study focuses on efficacy and safety of Nissen fundoplication for GERD in infants under age 12 month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ase analysis of 11 neonates and infants under 12 months of age who underwent Nissen fundoplication following a failure of medical treatment between June 2010 and June 2013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The record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fundoplication on symptoms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s: A total of 11 infants consist of four males and seven females. Mean birth weight was $2,305.5{\pm}558.6g$ (1,390-3,130 g). They had some underlying disease, which are not related with GERD such as congenital heart disease (54.5%), prematurity (45.5%), neurologic disease (18.2%), respiratory disease (18.2%), and other gastrointestinal disease. Mean body weight at surgery was $3,803.6{\pm}1,864.9g$ (1,938.7-5,668.5 g). Mean age at operation was $99.9{\pm}107.6days$ (17-276 days). Duration from operation to full enteral feeding was 10.9 days. Symptoms related GERD disappeared in all patients including one who got reoperation. One infant died of congenital heart disease unrelated to surgery. There were no complications related to fundoplication. Conclusion: Fundoplication is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in the neonates and infants with severe GERD.

Prealbumin and Retinol Binding Proteins Are Not Usable for Nutrition Follow-Up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 Tekguc, Hakan;ozel, Deniz;Sanaldi, Huriye;Akbas, Halide;Dursun, Oguz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1권4호
    • /
    • pp.321-328
    • /
    • 2018
  • Purpose: Feeding children is a problem in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PICU) and it is difficult to know the correct amou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if prealbumin or retinol binding proteins (RBP) are effective relative to daily enteral nutrition, without being affected by severity of diseases or infections and can be used to follow up nutritional amount. Methods: This is a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that includes 81 patients admitted to PICU in Akdeniz University with estimated duration >72 hours, age between 1 month and 8 years. Daily calorie and protein intake were calculated and prealbumin, RBP and C-reactive protein (CRP) levels were measured on the first, third, fifth and seventh mornings. Results: We find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daily calorie intake and prealbumin levels (r=0.432, p<0.001), RBP levels and daily protein intake (r=0.330, p<0.001). When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of prealbumin, RBP, CRP, calorie and protein intake during intensive care stay, we found that increase of Prealbumin and RBP levels are explained by decrease of CRP levels (r=-0.546 and -0.645, p<0.001) and not with increase of nourishment. Conclusion: Even adjusted for PRISM3, age and CRP, prealbumin and RBP are correlated with last 24 hours' diet. However, it is not convenient to use as a follow up biomarker because increase of their levels is related with decrease of CRP levels.

Thoracic Epidural Anesthesia and Analgesia (TEA) in Patients with Rib Fractures

  • Kim, Young-Jin;Cho, Hyun-Min;Yoon, Chee-Soon;Lee, Chan-Kyu;Lee, Tae-Yeon;Seok, June-Pill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2호
    • /
    • pp.178-182
    • /
    • 2011
  • Background: We analyzed the results of surgical reduction and fixation of ribs under thoracic epidural anesthesia and analgesia (TEA) in patients who had no more than 3 consecutive rib fractures with severe displacement to examine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is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8 to March 2010, 35 patients underwent surgical reduction and fixation of ribs under TEA. We reviewed the indications for this technique, number of fixed ribs, combined surgical procedures for thoracic trauma, intraoperative cardiopulmonary event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establishment of enteral nutrition, and ambulation. Results: The indications of TEA were malunion or nonunion of fractured ribs in 29 (82.9%; first operation) and incompletely ribs under previous general anesthesia in 6 (17.1%; second operation). The average number of fixed ribs per patient was 1.7 (range: 1~3). As a combined operation for thoracic trauma, 17 patients (48.6%) underwent removal of intrathoracic hematomas, and we performed repair of lung parenchyma (2), wedge resection of lung (1) for accompanying lung injury and pericardiostomy (1) for delayed hemopericardium. No patient had any intraoperative cardiopulmonary event nor did any need to switch to general anesthesia. We experienced 3 postoperative complications (8.6%): 2 extrapleural hematomas that spontaneously resolved without treatment and 1 wound infection treated with secondary closure of the wound. All patients reestablished oral feeding immediately after awakening and resumed walking ambulation the day after operation. Conclusion: Thoracic epidural anesthesia and analgesia (TEA) may positively affect cardiopulmonary function in the perioperative period. Moreover, this technique leads to an earlier return of gastrointestinal function and early ambulation without seve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resulting in a shortened hospital stay and lowered costs.

Chylothorax after Surgery for Congenital Cardiac Disease: A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tocol

  • Shin, Yu Rim;Lee, Ha;Park, Young-Hwan;Park, Han 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3권2호
    • /
    • pp.41-48
    • /
    • 2020
  • Background: Chylothorax after congenital heart surgery is not an uncommon complication, and it i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morbidity. However, consensus treatment guidelines are lacking. To improve the treatment outcomes of patients with postoperative chylothorax, we implemented a standardized management protocol at Severance Hospital in September 2014. Methods: A retrospective review of patients treated at a single center was done. All corrective and palliative operations for congenital heart disease performed at our institution between January 2008 and April 2018 were reviewed. The incidence and treatment outcomes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were analyzed. Results: The incidence of chylothorax was 1.9%. Sixty-one percent of the patients could be managed with a low-fat diet, while 28% of the patients required complete restriction of enteral feeding. Thoracic duct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2 patients and chest tube drainage de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No patient required thoracic duct ligation or pleurodesis. After implementation of the institutional management protocol, the number of chest tube drainage days decreased (median, 24 vs. 14 days; p=0.45). Conclusion: Implementing a strategy to reduce postoperative chylothorax resulted in an acceptabl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hylothorax. Instituting a clinical practice protocol helped to curtail the treatment duration and to decrease the requirement for surgical treatment. Image-guided embolization of the thoracic duct is an effective treatment for postoperative chylothorax.

Effect of early oral nutrition supplement using Encover in patients undergoing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 Byeong Jun Lee;Joon Seong Park;Hyung Sun Kim;Dong Sup Yoon;Jin Hong Lim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4-250
    • /
    • 2022
  • Backgrounds/Aims: Early recovery after surgery has become a popular tre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 of nutritional intervention using Encover, an oral nutritional supplement, in patients undergoing hepato-biliary-pancreatic surgery. Methods: This single center, prospective case-control study was conducted in Gangnam Severance Hospital from September 2018 to April 2019. Through randomization, patie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30 patients) and a control group (30 patients). At postoperative seven days,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structed to take two packs of Encover (JW Pharmaceutical, Seoul, Korea) daily for seven days. Body cell mass index was measured at seven days after surgery and 14 days after discharge an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was performed at 14 days after discharge. Results: Body cell mass index during outpatient follow-up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at at discharge in both groups. However, the amount of body cell mass index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ostoperative seven days and outpatient follow-up in either group. During outpatient follow-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mean value of PG-SGA score than the control group (11.32 ± 3.46 vs. 9.48 ± 3.97; p = 0.037). Conclusions: Short-term Encover doses after surgery may not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n weight gain or other body cell mass index. Encover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ther dietary conditions based on PG-SGA.

3년간 단일기관 신생아실의 위장관 질환의 분석 (Analysis of Neonatal Gastrointestinal Disease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or 3 Years Neonatal GI Diseases in a NICU for 3 Years)

  • 권경아;배미혜;박경희;변신연;조용훈;김해영;성시찬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37-344
    • /
    • 2011
  • 목적: 신생아 시기에 수술적 치료를 한 위장관계 질환과 저체중 출생아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위장관계 질환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병원과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환아 중 위장관계 질환으로 진단되고 외과적 치료를 받은 125명과 괴사성 장염과 서혜부 탈장으로 진단받은 환아 40명을 대상으로 원인 질환 및 빈도, 출생력, 성별, 동반 기형과 혈청학적 결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괴사성 장염과 서혜부 탈장을 제외한 총 125명 환아 중에서 항문 직장 기형이 가장 흔하였고, 남성이 우세하였다. 24명(19.2%)에서 타기형이 동반되었고 수신증, 선천성 심장 기형이 많았으며, 항문 직장 기형에서는 43.9%에서 동반 기형이 있었다. 출생체중을 보면 괴사성 장염의 경우 76.0%가 1,500 g 미만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술 후 완전 장관 영양까지의 기간은 괴사성 장염이 평균 30.8일로 가장 길었다. 술 후 합병증은 담즙정체증, 패혈증과 유착 등이 있었다. 괴사성 장염을 제외한 위장관계 질환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은 1.6%의 사망률을 보였으며 수술적 치료를 받은 괴사성 장염의 사망률은 18.8%였다. 괴사성 장염의 수술군에서 보존적 치료군보다 직접 빌리루빈이 의미있게 더 높았다. 결론: 수술적 치료를 받은 위장관 질환의 생존율은 높고 수술적 치료의 성과도 우수하였다. 괴사성 장염 환아 중 수술군에서 직접 빌리루빈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경피 중심정맥 도관의 유용성과 합병증 (Clinical Use and Complications of Percutaneous Central Venous Catheteriz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향;김선희;변형석;최영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9호
    • /
    • pp.953-959
    • /
    • 2005
  • 목 적 :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경구 수유가 불가능한 기간 동안 총정맥영양을 시행할 목적으로 경피 중심정맥 도관(percutaneous central venous catheter, PCVC)을 시술하는데 이의 가장 흔한 합병증인 패혈증은 신생아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1,500 g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시행한 PCVC의 유용성 및 도관과 관련된 합병증 발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1,500 g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 중 PCVC를 시행했던 32명을 연구군(1,000 g 미만 17명, 1000-15,00 g 15명)으로 하였고, PCVC를 하지 않은 24명(1,000 g 미만 9명, 1,000-1,500 g 15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연구군과 대조군 간에 체중증가 양상과 2,000 g이 되는 시기를 비교하였고, 입원기간 동안 체중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환 질환 및 도관 관련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연구군과 대조군의 특징을 보면 출생체중, 재태주령, Apgar 점수, 호흡곤란 증후군, 인공환기 기간, 튜브영양을 처음 시작하는 시기, 경구수유 시작 시기 및 시작 시의 체중, 튜브영양에서 경구수유까지 걸린 기간, 총 정맥영양을 시작한 생후 일수와 기간, 종료시 체중 및 2,000 g에 도달하는 시기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고, 총 정맥영양 기간만 연구군에서 $25.5{\pm}10.78$일로 대조군 $39.9{\pm}9.87$일에 비해 의의있게 길었다(P<0.001). 이환 질환 및 합병증에 있어서 호흡곤란 증후군, 만성 폐질환, 동맥관 개존, 뇌실내 출혈, 괴사성 장염, 패혈증, 골연화증 및 담즙 정체 발생빈도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뇌실내 출혈만 연구군에서 87.5%로 대조군(58.3%)에 비해 의의있게 높았다. 연구군과 대조군을 1,000 g 미만과 1,000-1,500 g으로 나누어 비교해 본 결과, 연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1,000 g 미만에서는 패혈증 빈도가 의의있게 높았으며(35.3% vs 0%, P<0.05), 1,000-1,500 g에서는 뇌실내 출혈 빈도가 의의있게 높았고( 86.7% vs 40%, P<0.05), 2,000 g에 도달하는 시기도 오히려 늦었다. 결 론 : 경피 정맥도관술을 실시한 연구군에서 총 정맥영양기간이 길었지만 체중 증가에는 효과가 없었고 오히려 1,000 g 미만에서는 패혈증 빈도가 그리고 1,000-1,500 g에서는 뇌실내 출혈의 빈도가 높았기에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경피 정맥 도관을 통한 총 정맥영양요법 시에는 무균적 조작과 수액 공급 속도 등에 더 주의를 기울여야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미숙아의 장천공에서 복막 배액술의 치료효과에 관한 임상적 경험 (Clinical experience of therapeutic effect of peritoneal drainage on intestinal perforation in preterm infants)

  • 이준석;구교연;이순민;박민수;박국인;남궁란;이철;최승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1호
    • /
    • pp.1216-1220
    • /
    • 2009
  • 목 적:미숙아의 장천공의 치료법으로 고전적으로 개복술이 추천되지만 활력징후가 불안정한 초극소 미숙아에서 복막배액술이 새로운 치료법으로 제안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숙아에서 발생한 장천공에서 일차적 치료로 복막배액술을 시행한 증례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2006년 4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최근 3년동안 연세대학교 강남세브란스 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받던 28주 이하의 미숙아들 중에서 장천공이 발생한 7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천공된 미숙아들의 임상적 특성과 이차적 수술의 시행 여부, 질병 이환, 합병증과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결 과:대상 환아 7명의 제태 연령 중앙값은 26주 2일(24주 2일-28주 2일)이며 출생체중 중앙값은 921 g(640g-1,210g)이었다. 장천공은 평균 생후 15일(6일-33일)에 발생하였으며, 5명(71%)이 생존하였고, 3명(43%)이 이차적 개복술을 시행하였으며 개복술을 시행한 3명 중 2명이 조직 검사상 괴사성 장염이 확진되었다. 사망한 2명 중 1명은 2차 개복술을 복막배액술 시행 48시간 이내에 시행 받았으며, 다른 1명은 2차 수술적 처치를 시행받지 않고 사망하였다. 동반 질환으로 동맥관 개존증이 4명(57%)에서 발생하였고, 이중 indomethacin을 3명(43%)에서 투여하였으며, 6명(86%)에서 범발성 혈관내응고증 소견을 보였으며, 5명(71%)의 환아에서 장천공이 발생하기 전에 장관영양을 시행하였다. 생존한 환아 중 4명(80%)에서 담즙정체가 발생하였으며, 4명(40%)에서 뇌실주위 백질연화증, 3명(60%)에서 구루병이 발생하였다. 결 론:복막배액술은 미숙아의 장천공에 대한 초기치료법으로써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생체징후가 불안정한 초극소 미숙아에서 일차적 치료로 고려해 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향후 대규모 무작위 대조법에 의한 임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예방적 indomethacin 투여효과 (Effect of prophylactic indomethaci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이보련;김수진;구수현;전가원;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59-965
    • /
    • 2006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환자 치료의 질적, 양적 성장으로 인해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의 생존률은 많은 향상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동맥관개존증 및 뇌실내출혈과 연관된 이환율 및 사망률은 높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시도된 약물 중 indomethacin의 예방적 투여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재태연령 29주,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출생체중아 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Indomethacin을 생후 6시간 이내에 24시간 간격으로 0.1 mg/kg를 투여받은 예방군 28명과 대조군 56명으로 분류하여 두 군의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의 발생율 및 합병증과 사망률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결 과 :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로서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예방군에서 $25.1{\pm}1.3$주, $746{\pm}132g$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25.2{\pm}1.6$주, $738{\pm}142g$으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 외에 성 비, 부당경량아, 쌍생아의 비율,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분만 방법,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호흡곤란증후군의 유무, 융모양막염의 여부에서도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Indomethacin의 예방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했던 동맥관개존증과 3도 이상의 고도의 뇌실내출혈의 발생 비율에서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첫 번째 치료적 indomethacin이 투여된 빈도는 예방군에서 더 많았고 indomethacin 투여된 시간은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사망률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합병증과 관련된 인자로 폐출혈, 기흉, 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의 발생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자발성 회장 천공의 발생은 대조군에서는 없었던 반면에 예방군에서는 10.7%로 나타났고, 괴사성 장염에서 천공된 경우를 합한 경우에도 예방군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완전장관영양에 도달한 시기는 예방군에서 $31.5{\pm}17.1$일이었고, 대조군에서는 $22.1{\pm}7.6$일로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태변이 배출되는 데까지 걸린 기간과, 위장관 출혈의 발생빈도, 신 기능의 손상 정도의 평가에서는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 후 저용량 indomethacin을 예방적으로 사용하여 뇌실내출혈이나 동맥관개존증의 비율을 감소시키진 못하였고, 오히려 장관 천공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장관영양의 진행이 늦어지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