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lish book reading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6초

영미계목록규칙 발전의 사적 고찰 (A Historical Study on the American-British Cataloging Rules)

  • 심의순;손문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1권
    • /
    • pp.143-173
    • /
    • 1984
  • This study has been done to review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ataloging system of books with emphasis on those in England and the U. 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1844, Sir Panizzi invented what seems to be the first of its kind in history to list the inventory systematically at the British Museum. It is believed to be a complete system consisting of 91 articles. (2) A comparatively systematic system was developed in America by Jewett. in 1852. Composed of only 39 articles, the system is considered a renovative one worked out with due regard to the infrastructure of a library. (3) In 1876, a classic system based on a lexicographical order was set up by Cutter. Rated as the best one that was designed by an individual, the theory has since exercised widespreading effects on cataloging. (4) American and British library scientists collaborated in printing several editions of numerous volumes on the principles of classification, but they are not believed fully successful in establishing a consistent and compressive system. Their efforts found significance rather in their being the first international collaboration and setting a foundation upon which the international system of today has been developed. (5) The ALA Rule, published concurrently in ALA and LC in 1949, had two parts in its classification, the list of authors and that of titles. Its scientific classification has completed the cataloging of books in its developmental stage. (6) The 1967 American-British Rules integrated the cataloging systems published under separate covers by authors and titles. The system as well as the 1961 Paris System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standardization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throughout the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Book Description standardized Bibliographic system has enabled the librarians in different countries to exchange their bibliographical sources easily, helped to overcome the language barrier in listing and contributed to the efficient reading of bibliographical records through machines. (7) The second edition of the Angelo-American cataloging Rules, promulgated in 1978 under the influence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al description, was the one in which all the previous Rules were revised to have their strong points. The adoption of punctuation system to employ the computerized data processing and the standardization of description are expected to improve the cataloging system not only in the English speaking countries but in the Universal Bibliographic Control as well.

  • PDF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 의사소통의 언어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을 중심으로 (Utilizing Literary Texts in the College EFL Classrooms: Focused on Linguistic Aspects and Affective Ones)

  • 김령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45-152
    • /
    • 2018
  • 본 논문은 대학교의 교양 영어 수업에 문학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언어적, 정서적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통제 그룹은 지정된 교재만을 사용하였고, 목표 그룹은 교재와 더불어 네 편의 단편 소설을 읽고 일련의 추가 활동을 수행하였다. 그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측정하기 위해, 연구자는 학생들로 하여금 사전 시험과 사후 시험을 치르게 하였고,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비록 사후 시험에서 목표 그룹의 성적 평균이 향상되긴 하였지만 그 차이가 유의미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기에, 이들의 영어능력 향상이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전략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이 전략을 통해 목표 그룹의 정서적인 의사소통 양상이 촉진되었음은 추정할 수 있었다.

Wordsworth's Re-Formation of Individuality: "Spots of Time," the Fragment and the Autobiography

  • Park, Mikyung
    • 영어영문학
    • /
    • 제56권6호
    • /
    • pp.1361-1378
    • /
    • 2010
  • This paper argues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n analogy of the literary fragment to an organic individual on the basis of an autonomous system of organic unity by reading William Wordsworth's ways of self-writing in The Prelude. The organicity of a fragment is borrowed from Friedrich Schlegel's theoretic and literary approach to the Romantic fragment. Focusing primarily on the two "spots of time" in Book Twelfth, I attempt to formulate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a work of art and a literary autobiographer in terms of the self-generativity of the fragment. To be precise, both the fragment and the autobiographical project presuppose and at the same time depend on the engendering force of an organic unity and its resistance to discontinuity, which ironically affirms the persistent threat of disruption and death. Rewriting traumatic childhood experiences as rites of passage into adulthood, the two specified "spots of time" show the dominant mode of memory operative in the poem. Asserting the prominence of the individual as the very vehicle of realizing universal humanity, Wordsworth tries to re-form his individuality grounded in his childhood memories in a literary fashion. Under the premise that the poet is remembered by his posterity, The Prelude is constituted and reconstituted in conjunction with different versions of each memory. The poem also marks the poet's unachieved project of writing a philosophical poem, namely, The Recluse; for this very reason, The Prelude, which is complete in itself, points to an eternal work in progress, turning the truth of every fragment complete in its incompletion. As a trope of fragmentation, an autobiographical individuality is reformed in the poet's process of writing and re-visioning while simultaneously being dispersed once again between words, sentences, and pages.

문화, 제국, 민족 -비판적 전유를 위한 에드워드 사이드의 『문화와 제국주의』 읽기 (Culture, Empire, and Nation: A Critical Appropriation of Edward Said's Culture and Imperialism)

  • 고부응
    • 영어영문학
    • /
    • 제58권5호
    • /
    • pp.903-941
    • /
    • 2012
  • This essay examines Edward Said's Culture and Imperialism focusing on the concepts of 'culture,' 'empire,' and 'nation'. The approach is critical, theoretical, and historical rather than explicatory. Consequently, the range of the essay is not limited to Said's own explanation and argument about Western imperialism and its culture presented in the book. In doing this, this essay finally purposes to be a discursive resistance to the current global empire, the United States, via a critical reading of Said's work. Said's notion of culture is set upon to disclose the function of culture as an apparatus of ideological consent of the dominated to the dominant. When applied to imperial practice, Western culture functions to subject the colonized to the colonizer. Said's geographical approach to imperialism complements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of imperialism. Imperialism is not only the practice of Western-centered historicism but also the spatially mutual interac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rest of the world. Along with European imperialism, Said poses the current global empire of the United States as his main target of criticism. Said's problem is that he takes the United States as a nation-state. When examined, the United States is not a nation-state, but today's empire. The empire in the appearance of the nation-state United States does not work for the interest of the American nation, that is, the American people. The empire is the transnational and postnational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ion that works for the interest of global capital. In order to resist the current global empire, this essay suggests that the building or restoration of nation-states with its basic principle of people's sovereignty is in need.

국내 도서관·박물관 소장 고지도의 현황 및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Utilization of Old Map in Library and Museums in Korea)

  • 김지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7-125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지도에 대한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나아가 고지도를 이용한 서비스 및 정보제공 등 고지도의 효율적인 활용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고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국내 기관의 정보검색시스템을 조사하고 해당 웹 사이트에서 고지도 자료 검색 및 정보 접근 방법을 탐색하였다. 이 외에 각 기관의 홈페이지와 도록 및 연구서, 간행물 등을 참고하여 국내 도서관 및 박물관의 고지도 소장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국·공립 및 대학 도서관과 박물관 등 76개 기관에 약 2,200여점의 고지도가 소장되어 있었다. 고지도 소장 각 기관에서는 영인본 간행, 전시회 및 도록, 목록 및 총서 등의 연구서 편집서의 간행 등 출판사업을 수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고지도의 희귀성, 유일본 등의 자료적 특성으로 원문 자료의 열람 및 이용이 제한적이다. 고지도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첫째, 고지도 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 및 학술정보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한 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자료로 고지도 활용을 제안한다. 셋째, 고지도 자료에 대한 지식과 인문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정보를 선별하여 제공하는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1922년 발행 고등보통학교 교과서를 통해 본 경주 금관총 발견에 따른 일본의 반응 - 경주의 신발굴품(濱田耕作: 하마다 코사쿠) - (Japan's excitement over the discovery of Gyeongju Geumgwanchong (Gold Crown Tomb) seen through high school textbooks published in 1922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of Joseon (Korea) - Newly Excavated Artifacts of Gyeongju (濱田耕作: Kosaku Hamada) -)

  • 유우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1호
    • /
    • pp.199-222
    • /
    • 2022
  • 일제강점기였던 1921년 9월말, 경주 노서리(盧西里)에서 우연히 발견된 고분인 금관총(金冠塚)이 발굴된 지 100년이 되었다. 한반도뿐만 아니라 아시아 더 나아가서는 세계적인 발견으로 알려져 있는 금관총의 발굴보고서는 발굴 3년 후인 1924년과 1928년에 조선총독부가 일본어와 영어로 출판한 경주 금관총과 그 유보(慶州金冠塚と其遺寶: A ROYAL TOMB "KINKANTSUKA" or THE GOLD CROWN TOMB at KEISHU, AND ITS TREASURES)라는 책과 도판(圖版)으로 발행된 것이 있으며 이 책들을 2011년에 경주 문화재연구소에서 우리말로 번역하여 소개한 것이 있다. 발굴보고서는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이었던 하마다 코사쿠(濱田耕作)(후일 교토제국대학 총장)와 조선총독부 고적 조사 사무촉탁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가 작성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보고서보다 훨씬 빠른 시기인 고분 발굴에서부터 약 반년 후인 1922년 7월에 서문이 작성된 조선의 고등보통학교(高等普通學校)의 5학년에서 교재로 사용된 '고본 고등 조선어 및 한문 독본 제5권(稿本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卷五)' 교과서를 발견하여 소개한다. 이 교과서에서 하마다 코사쿠(濱田耕作)는 '경주의 새로운 발굴품(慶州의 新發掘品)'이라는 제목과 우리말로는 조금 어색한 표현이지만 '매우 큰 발견'이라는 뜻으로 '절대의 발견(絶大의 發見)'이라는 부제목을 달아 하나의 단원으로 일본어가 아닌 우리말로 금관총 발굴의 성과와 학술적, 고고학적 발견,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발굴 직후에 작성된 원고이기 때문에 발굴 당시의 고고학 연구자로서 흥분된 느낌과 향후의 연구에 대한 기대를 그대로 읽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금관총 발굴 후 조선총독부 조사책임자의 흥분된 현장의 목소리를 집필한 지 100년이 되는 2022년에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고분 발견부터 보고서의 작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연표로 정리하여 일련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