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apan's excitement over the discovery of Gyeongju Geumgwanchong (Gold Crown Tomb) seen through high school textbooks published in 1922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of Joseon (Korea) - Newly Excavated Artifacts of Gyeongju (濱田耕作: Kosaku Hamada) -

1922년 발행 고등보통학교 교과서를 통해 본 경주 금관총 발견에 따른 일본의 반응 - 경주의 신발굴품(濱田耕作: 하마다 코사쿠) -

  • YOO, Woo Sik (WaferMasters, Inc., Institute of Humanities Studi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유우식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 Received : 2021.12.12
  • Accepted : 2022.02.07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It has been 100 years since the excavation of Geumgwanchong (Gold Crown Tomb), a tomb that was accidentally discovered in Noseo-ri, Gyeongju at the end of September 1921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lthough it is known for its discovery, not onl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in Asia and beyond, the excavation report was published in Japanese and English by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4 and 1928, three years after the excavation. TOMB "KINKANTSUKA" or THE GOLD CROWN TOMB at KEISHU, AND ITS TREASURES) was published as a series of books and picture books. The excavation report was prepared by Kosaku Hamada (濱田耕作), who was a member of the Ruins Investigation Committe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later became the President of Kyoto Imperial University, Kyoto, Japan), and Sueji Umehara (梅原末治), who was commissioned to investigate the remain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is paper, the preface was written in July 1922, about half a year after the excavation of tombs, which was much earlier than the official reports, in the 'Korean and Chinese reading book (稿本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巻五)' by Hamada Kosaku (濱田耕作)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hich was titled 'New Excavated Artifacts in Gyeongju (慶州의 新發掘品)' with a subtitle '絶大의 發見', a slightly awkward expression in Korean, but it means 'a very big discovery'. The meaning has been introduced as a single unit, emphasizing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achievements of the excavation of Geumgwanchong, academic and archaeological discoveries, and cultural history in Korean language rather than Japanese language. Since the manuscript was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excavation, the excitement as an archaeological researcher at the time of the excavation and expectations for future research can be read as it i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troduce the voice of the excited field leader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fter the excavation of Geumgwanchong in 2022, the 100th anniversary of the writing. In addition, the process from the discovery of the tomb to the preparation of the report was summarized in one chronological table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the series of flows.

일제강점기였던 1921년 9월말, 경주 노서리(盧西里)에서 우연히 발견된 고분인 금관총(金冠塚)이 발굴된 지 100년이 되었다. 한반도뿐만 아니라 아시아 더 나아가서는 세계적인 발견으로 알려져 있는 금관총의 발굴보고서는 발굴 3년 후인 1924년과 1928년에 조선총독부가 일본어와 영어로 출판한 경주 금관총과 그 유보(慶州金冠塚と其遺寶: A ROYAL TOMB "KINKANTSUKA" or THE GOLD CROWN TOMB at KEISHU, AND ITS TREASURES)라는 책과 도판(圖版)으로 발행된 것이 있으며 이 책들을 2011년에 경주 문화재연구소에서 우리말로 번역하여 소개한 것이 있다. 발굴보고서는 조선총독부 고적조사위원이었던 하마다 코사쿠(濱田耕作)(후일 교토제국대학 총장)와 조선총독부 고적 조사 사무촉탁 우메하라 스에지(梅原末治)가 작성한 것이다. 본고에서는 이 보고서보다 훨씬 빠른 시기인 고분 발굴에서부터 약 반년 후인 1922년 7월에 서문이 작성된 조선의 고등보통학교(高等普通學校)의 5학년에서 교재로 사용된 '고본 고등 조선어 및 한문 독본 제5권(稿本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卷五)' 교과서를 발견하여 소개한다. 이 교과서에서 하마다 코사쿠(濱田耕作)는 '경주의 새로운 발굴품(慶州의 新發掘品)'이라는 제목과 우리말로는 조금 어색한 표현이지만 '매우 큰 발견'이라는 뜻으로 '절대의 발견(絶大의 發見)'이라는 부제목을 달아 하나의 단원으로 일본어가 아닌 우리말로 금관총 발굴의 성과와 학술적, 고고학적 발견, 문화사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발굴 직후에 작성된 원고이기 때문에 발굴 당시의 고고학 연구자로서 흥분된 느낌과 향후의 연구에 대한 기대를 그대로 읽을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금관총 발굴 후 조선총독부 조사책임자의 흥분된 현장의 목소리를 집필한 지 100년이 되는 2022년에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고분 발견부터 보고서의 작성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하나의 연표로 정리하여 일련의 흐름을 이해하기 쉽게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주 금관총 발굴보고서(국역), 201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p.9.
  2. 아라키 준, 2016, 「일제식민지기 금관총 출토유물을 둘러싼 다층적 경합」, 「한국사연구」174, pp.267~320.
  3. 오영찬, 2011, 「朝鮮古蹟硏究會의 설립과 운영 -1931~1932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Vol.55, pp.223~251.
  4. 이순자, 2007,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학원 한국사전공 박사학위논문
  5. 日帝强占期 資料調査報告 22輯, 2016, 「慶州 金冠塚(遺構編)」, 국립중앙박물관, pp.195~198.
  6. 정인성, 2009, 「일제강점기 '慶州古蹟保存會'와 모로가 히데오(諸鹿央雄)」, 「大丘史學」95, pp.1~39.
  7. 稿本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卷五, 1922, 「慶州의 新發掘品」, 朝鮮總督府, pp.95~102.
  8. 濱田耕作.梅原末治, 1924, 「慶州金冠塚と其遺實」, 「古績調査特別報告」第三册本文上册, 朝鮮總督府
  9. 濱田耕作.梅原末治, 1924, 「慶州金冠塚と其遺實」, 「古績調査特別報告」第三册圖版上册, 朝鮮總督府
  10. 濱田耕作.梅原末治, 1928, 「慶州金冠塚と其遺實」, 「古績調査特別報告」第三册圖版下册, 朝鮮總督府
  11. 濱田青陵, 1932, 「慶州の金冠塚」, 慶州古蹟保存會
  12. 경주 포커스, "경주 3.1만세운동 1차 불발은 일본인 밀고 때문"...아라키 준 박사 관련자료 발견. http://www.gj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416(접속일: 2021.12.11.)
  13. 6.10 만세운동, https://ko.wikipedia.org/wiki/6%C2%B710_%EB%A7%8C%EC%84%B8_%EC%9A%B4%EB%8F%99(접속일: 2021.12.11.)
  14. 이용락선생,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http://w3devlabs.net/korea/archives/tag/%EC%9D%B4%EC%9A%A9%EB%9D%BD(접속일: 2021.12.11.)
  15. 濱田耕作, https://ja.wikipedia.org/wiki/%E6%BF%B1%E7%94%B0%E8%80%95%E4%BD%9C(접속일: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