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lish Learning Motiva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1초

A Comparative Analysis of Demotivation in Secondary English Classes

  • Kim, Kyung-Ja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4호
    • /
    • pp.75-94
    • /
    • 200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demotivation factors and compare the factor between two secondary school student groups. It furthermore examined how the factors related to students' L2 proficiency. A 31-item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07 junior (JH) and senior high school (SH) student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the principal axis factoring: Teachers' competence and teaching styles,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classes and grading system, Difficulty of learning English, Lack of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and Inadequate learning contents. Although both JH and SH students did not perceive their English teacher as a strong attribution of demotivation, Difficulty of learning English and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classes and grading system were the two strongest demotivating factors. When compared the overall mean scores of each factor between JH and SH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factors except Factor 4, with SH students reporting stronger demotivation. JH students attributed their demotivation to Difficulty of learning English, while SH students attributed that to Dissatisfaction with English classes and grading system. Both groups tended to attribute their demotivation to external forc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several demotivation factors related negatively to L2 proficiency.

  • PDF

TED 활용 영어학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PLS-SEM 적용 (Analyz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English Classes Using TED : using PLS-SEM)

  • 주미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59-36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TED talk을 활용한 영어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TED talk이 수업 재료로의 활용이 적절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교양영어 과목으로 50-60분간 한 학기 온라인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의 영어학습동기, TED talk 활용학습에 대한 학습 흥미도, 학습 태도, 학습 만족도, 학습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수집된 자료를 PLS-SEM 모델을 적용하여 SMART PLS 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학습동기는 수업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학습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TED talk 활용 수업에 대한 흥미도는 학습태도와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태도는 학습효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TED talk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학습효과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대학 영어수업에서 TED talk은 학습자에게 흥미와 만족도를 높이고 적극적인 수업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므로 긍정적인 학습효과가 있으며 영어교육에서 활용할만한 가치와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L2 Learning Motivation: Comparing L2 Motivational Self System with Socio-educational Model

  • Kim, Yoon-Kyoung;Kim, Tae-Yo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8권1호
    • /
    • pp.115-132
    • /
    • 2012
  • In order to confirm ecological validity of D$\ddot{o}$rnyei's second language motivational self,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495 South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L2 learning motivation and motivated behavior by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The participants' ideal L2 self, ought-to L2 self, integrativeness, and instrumentality were examined and compared to identify which motivational factor had the most effect on their motivated L2 learning behavior. Among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concept of integrativeness was replaced with the ideal L2 self as a more appropriate concept for understanding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L2 learning motivation. As for instrumentality, promotional aspects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the ideal and ought-to L2 selves, whereas preventional aspects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e ought-to L2 self. The ideal L2 self had the most impact on the motivated behavior, and the ideal L2 self and ought-to L2 self reflected the students' different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It is suggested that D$\ddot{o}$rnyei's (2005, 2009) L2 motivational self system can be a better psychological model than Gardner's (1985) socio-educational model for understanding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L2 learning motivation.

  • PDF

평생교육에 대한 중년과 노년 영어 학습자의 태도와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Attitudes and Percep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English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 최경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69-75
    • /
    • 2022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40대 이상의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년과 노년으로 구분하여 평생 교육에 대한 연령 집단별 태도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5월 20일부터 2021년 6월 30일까지 경북 지역에 소재한 평생교육기관에서 연구 참가자 8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 필요성, 열정, 이점, 저해요인, 학습동기, 선호하는 과목과 학습방법을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노년 학습자들이 중년 학습자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영어 학습 태도를 보였고, 학습동기와 선호하는 과목에서는 두 그룹 모두 의사소통 영역을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학습에 대한 저해요인으로는 영어에 대한 자신감 부족과 함께 연령에 따라 상이한 어려움이 조사되었고 선호하는 학습법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노년 학습자의 긍정적인 학습 태도에 따른 학습 성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연령에 따른 세분화된 영어 프로그램 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영어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문화지도 (Teaching American Culture to Improve English Skills)

  • 강용구;김종선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71-9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est and general proficiency of English through cultural understanding. To achieve this purpose, two classes of the 2nd grade in the informational high school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ntrol class.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was used for the control class and a cultural learning - compare and contrast Korean culture and American culture - was taken for the experimental. After various cultural differences were studied, surveys of students' attitude and reading and listening test were take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students' interest in English was improved through learning the American culture that was related to the content of each lesson. Secondly, English reading and communicative skills were improved by learning about cultural aspec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eaching culture stimulates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and helps students retain such affective attitudes. And English communicative skills were improved as well.

  • PDF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a DST Project to Develop English Skills

  • Moon, Dosi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00-206
    • /
    • 2020
  • Digital storytelling, a 21st century educational tool that combines digital media with storytelling, is considered as a powerful tool to learn foreign languages in an authentic and meaningful way. This study explored cybe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with a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implemented to enhance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The results of 9 week-long research indicated that most of the students' attitudes were positive: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was effective to increase their English skill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Mos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process writing approach and videotaping tasks provided them with good opportunities to develop their English writing and speaking skills. Although many students had difficulties selecting a topic and writing a script in the initial stage, they could handle with these challenges with the help of professors' feedback and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projects. After completing the project, most students expressed a strong sense of accomplish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gital storytelling project effectively met cyber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needs and facilitate their English learning.

과학영재고등학생의 과학과 영어과목에서의 학습전략 사용 및 동기의 차이와 학업수행과의 관계 (Relationship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used in Both Science and English Classes and Motivation to Academic Performance by Science-gifted High School Students)

  • 성현숙;김일;김영상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95-117
    • /
    • 2009
  • 본 연구는 과학영재 고등학생의 과학과 영어과목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동기에서의 차이와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과학영재 고등학교 1학년 144명이었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는 영어과목보다 과학과목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에 해당하는 인지전략, 초인지 전략, 자원관리전략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였고 동기 또한 유의미하게 높았다. 과학영재가 사용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은 물리학점의 개인차를 전혀 설명해주지 못하였고 동기의 변인 중 과제가치만이 물리학점 분산의 2퍼센트를 설명해 주었다. 영어과목에서는 초인지 전략이 영어학점 분산의 8퍼센트를 설명해주고 자원관리전략 중 시간 및 공부환경조절이 15퍼센트를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동기의 변인 중 자기효능감이 영어학점 분산의 30퍼센트를 설명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질그룹인 과학영재가 교과목에 따라 어떠한 자기조절 학습전략과 동기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지를 시사해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효율적인 학업수행을 위해 어떠한 점이 교수학습과정에서 도모되어야 하는지 그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초등학교 영어과 학습 부진아를 위한 RPG 게임 기반 학습 콘텐츠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PG based learning contents for English low-achiever of elementary school)

  • 오영범;정희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35-34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영어 학습부진아를 위한 RPG 게임 기반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교수 설계의 기본 모형인 ADDIE 모형을 토대로 교육과정 및 관련 문헌을 분석하여 설계 전략을 추출하였으며, 이 설계 전략을 활용하여 영어 교육용 RPG 게임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초등학교 5학년 영어 학습부진아 4명을 대상으로 2개월 동안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자유 글쓰기, 인터뷰, 그리고 담임교사의 관찰 방법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영어 학습부진아들은 RPG 게임 자체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이것은 학습 기대감과 만족감으로 이어졌다. 게임에서 미션의 해결에서 오는 만족감은 새로운 미션에 대한 도전감을 갖도록 하였는데, 이것은 Keller가 언급하고 있는 '계속동기(continuing motivation)'의 측면에서 해석될 수 있다.

  • PDF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이 영어말하기 능력향상과 정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in College English Class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Speaking Ability and Affects)

  • 이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306-319
    • /
    • 2018
  • 본 연구는 기존 영어교재 및 학습법의 한계를 뛰어넘어, 교수의 비중을 줄이고 대학생들의 협동학습을 통해 언어감각 발전을 증진시키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이 영어말하기 능력향상과 정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서울소재 K대학 대학생 5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2018년 3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약 4개월에 걸쳐, 직접 영어말하기를 위한 협동학습을 진행하고, 정의적 성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은 대학생의 영어말하기 능력 향상(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에 차이가 발생하였다. 세부요인별로는 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순으로 차이가 발생하였다. 둘째,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은 대학생의 정의적 성과 중 학습자신감과 학습흥미에 차이가 있었지만, 학습태도와 학습동기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셋째, 대학교양 영어수업의 협동학습은 영어말하기 능력향상(정확성, 유창성, 복잡성)이 정의적 성과의 학습자신감과 학습흥미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발생하였지만, 학습태도와 학습동기에는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리허설을 통한 초등 영어 드라마 활동이 학습자 요인과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hearsed primary English drama activities on the learner variables and L2 achievements)

  • 김현진;이진아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1호
    • /
    • pp.183-204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hearsed English drama activities on the learner variables and oral communication achievement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ty children in the treatment group participated in the drama activities while forty-two children in the contrast group participated in the regular clas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treat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tests and the post-tests in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motivation, confidence, perceived competence, willingness to communicate, and listening and speaking achievements;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progressed in their attitudes toward and participation in the classroom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it is concluded that the rehearsed drama activities positively affect the learner variables and oral communicati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