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gineering Exploration

검색결과 1,423건 처리시간 0.041초

남해 대륙붕 퇴적물의 음파전달속도 보정 (Correction of sediment sound velocity in the South sea shelf of Korea)

  • 정자헌;이광수;서영교;김대철;이광훈;박수철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3권 2호
    • /
    • pp.433-436
    • /
    • 2004
  • 퇴적물의 음파전달속도에 크게 영향을 주는 온도변화에 따른 속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기존에 제시되었던 값들보다 약간 낮은 값을 보여주었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결국 해양퇴적물의 온도에 따른 속도 변화율은 해수에서의 변화율과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아 해양퇴적물의 경우 온도에 따른 속도 변화는 공극수의 음향특성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서로 다른 퇴적물 유형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속도변화를 조사한 결과도 절대값은 달라도 변화양상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sign space exploration in aircraft conceptual design phase based on system-of-systems simulation

  • Tian, Yifeng;Liu, Hu;Huang, J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4호
    • /
    • pp.624-635
    • /
    • 2015
  • Design space exploration has been much neglected in aircraft conceptual design phase, which often leads to a waste of time and cost in design, manufacture and opera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explore design space based on operational system-of-systems (SoS) simulation during the early phase for a competitive design.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to analyze aircraft performance parameters in four steps: combination of parameters, object analysis, operational simulation, and key-parameters analysis. Meanwhile, the design space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pplied in earthquake search and rescue SoS is explored based on this methodology. The results show that applying SoS simulation into design phase has important reference value for designers on aircraft conceptual design.

시연에 의해 유도된 탐험을 통한 시각 기반의 물체 조작 (Visual Object Manipulation Based on Exploration Guided by Demonstration)

  • 김두준;조현준;송재복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0-47
    • /
    • 2022
  • A reward function suitable for a task is required to manipulate objects through reinforcement learning.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reward function if the ample information of the objects cannot be obtained. In this study, a demonstration-based object manipulation algorithm called stochastic exploration guided by demonstration (SEGD) is proposed to solve the design problem of the reward function. SEGD is a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in which a sparse reward explorer (SRE) and an interpolated policy using demonstration (IPD) are added to soft actor-critic (SAC). SRE ensures the training of the critic of SAC by collecting prior data and IPD limits the exploration space by making SEGD's action similar to the expert's action. Through these two algorithms, the SEGD can learn only with the sparse reward of the task without designing the reward function. In order to verify the SEG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hree tasks. SEGD showed its effectiveness by showing success rates of more than 96.5% in these experiments.

Helicopter-borne electromagnetic surveys for civil engineering in Japan

  • Konishi Naotoshi;Ashida Yuzuru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422-431
    • /
    • 2003
  • Helicopter-borne electromagnetic (HEM) systems were originally developed for the exploration of mineral deposits. The frequency range of a conventional HEM system for mineral exploration, however, is relatively low and so not invariably suitable for its application to the fields of civil engineering because of its poor resolution in the shallower part of the earth. A DIGHEM HEM system was acquired by Nippon Engineering, with the frequencies chosen by the senior author. The five frequencies range from 220 Hz (the lowest) to 137,500 Hz (the highest). These frequencies improve the resolution of materials in the shallower part while maintaining a depth of investigation of greater than 100 m. This paper describes six case histories of geological and geotechnical surveys for civil engineering using HEM. These case histories include HEM surveys for investigating landslide, an alluvial area, root selection of road construction, areas related to dam and tunnel construction, and the simultaneous joint inversion of HEM and CSAMT data for a deep tunnel. These survey results show that HEM has sufficient resolution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ns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outlining the regional geology and its engineering problems.

  • PDF

Application of Geophysical Exploration for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and Engineering

  • Ohya Satoru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1년도 정기총회 및 제3회 특별지포지움
    • /
    • pp.1-13
    • /
    • 2001
  • The role of geophysics i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and Engineering is considered. In the developing era since 60's in Japan, geophysics has mainly contributed to investigation of new constructions such as tunnels, dams and high-rise buildings. In the coming sustainable era, geophysics must be used for maintaining the safe and easy human life. Application examples of geophysics to investigations for disaster prevention, maintenance of existing constructions and soil and groundwater pollutions are presented to demonstrate their role in Environmental Geo-engineering. Future subjects in this field for geophysics and geophysicists are also discussed.

  • PDF

실규모 굴착 시험장에서의 시간경과 물리탐사 자료 분석 (Time-lapse Geophysical Survey Analysis for Field-scale Test bed of Excavation Construction)

  • 신동근;송서영;김빛나래;유희은;기정석;남명진
    • 지질공학
    • /
    • 제29권2호
    • /
    • pp.137-151
    • /
    • 2019
  • 굴착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지반함몰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굴착공사 주변 지층변화를 분석하고 모니터링하는 탐사기법과 기술이 필요함에 따라 다양한 탐사기술들을 적용, 보완함으로써 해석 기법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 연구에서는 굴착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지반침하 위험요소와 굴착, 지하수 등에 의한 이완영역을 탐지하기 위한 실규모 현장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장 실험을 수행하기 위해 실규모 굴착현장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도심지 현장을 고려한 탐사법 중 전기비저항 탐사, 다중채널분석표면파탐사를 활용, 각 개별탐사의 적용 유효성 검토 및 모델링을 이용한 최적 탐사변수 도출과 설계, 탐사결과의 상호연관성을 비교 해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 각 탐사별로 이완영역에 대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해 지하수면 위치를 확인하고 굴착에 대한 영향 파악할 수 있었다. 추후 지하수의 영향을 고려한, 즉 굴착면을 고려한 모델링에 대해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센싱 및 계측 기술에서의 혁신: 지구물리 탐사를 위한 압축센싱 및 초고해상도 기술 (A Breakthrough in Sensing and Measurement Technologies: Compressed Sensing and Super-Resolution for Geophysical Exploration)

  • 공승현;한승준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4권4호
    • /
    • pp.335-341
    • /
    • 2011
  • 탐사 시스템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센싱 및 계측 시스템은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보다 높은 샘플주기로 정보를 수집 한다. 이는 경우에 따라 센싱 및 계측 시스템이 비효율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샘플자료로부터 높은 정밀도의 정보 취득에 관한 새로운 두 가지 연구분야를 소개하고자 한다. 하나는 가능한 적은 샘플로 원래의 정보를 복원하는 압축센싱(Compressed Sensing)기술이며, 또 다른 하나는 이미 얻어진 한정된 샘플로부터 높은 해상도의 정보를 추정하는 초고해상도(Super-Resolution)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압축센싱 기술의 기본이론과 복원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탐사분야의 적용 사례, 초고해상도 기술의 배경 및 최근의 기술인 FRI (Finite Rate of Innovation) 개념과 LIMS (Least-squares based Iterative Multipath Super-resolution)기술의 적용사례를 소개한다. 결론으로는 이러한 새로운 기술들이 지구물리 탐사분야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한국의 자력탐사 (A Review of Magnetic Exploration in Korea)

  • 박영수;임무택;임형래;구성본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8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13-20
    • /
    • 2008
  • 자력탐사는 가장 역사가 오래된 물리탐사법으로서, 우리나라에도 비교적 일찍 도입되었다. 일본 강점기에도 지구자기장을 관측하였고, 광상조사와 온천조사에 이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한국전쟁의 혼란이 끝난 1950년대 중반부터 산업화를 위한 우라늄, 철광을 비롯한 금속 광물자원, 석탄 그리고 지하수 등을 대상으로 자력탐사가 활발하게 수행되었다. 1970, 80년대는 물리탐사 전문 인력이 많이 배출되었고, 탐사 장비가 현대화 되어 탐사, 자료처리 및 해석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광업의 쇠퇴는 자력탐사를 비롯한 물리탐사의 관심이 전통적인 광물, 에너지 자원에서 새로운 지하자원으로 대두한 지하수, 지열 등으로 옮겨갔다. 또한 1990년대 이후 등장한 부지평가, 지반조사, 지하 매장물, 환경오염 등의 토목.환경 물리탐사라는 새로운 문제에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고 있다.

  • PDF

부여지역 유적지 발굴을 위한 3차원 GPR 탐사 (Three dimensional GPR survey for the exploration of old remains at Buyeo area)

  • 김정호;손정술;이명종;임성근;조성준;정지민;박삼규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4년도 정기총회 및 제6최 특별 심포지움
    • /
    • pp.49-69
    • /
    • 2004
  • 문화재 발굴에 있어서 물리탐사의 중요한 역할중의 하나는 효율적이고도 체계적인 발굴을 위하여 지하 천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지표 레이다 탐사(GPR)는 지하 천부의 고분해능 영상을 제공하여 줄 수 있기 때문에 고고학 탐사에 있어서 중요한 물리탐사 방법 중의 하나로 인식된다. 역사유물은 지질구조와는 달리 일정한 방향성이 없이 매몰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근본적으로 2차원 탐사보다는 3차원 탐사가, 그리고 측선탐사보다는 면적탐사의 개념을 동원하여 탐사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3차원 GPR 탐사는 매우 조밀하게 측선을 설정하고 대단히 많은 자료를 획득하여야 가능하므로 넓은 지역의 조사에 항상 적용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탐사방법을 고안함이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선 부여 가탑리 지역의 백제시대 유적지 발굴조사에 선행하여 3차원 GPR 탐사를 중심으로 한 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조사의 1차적인 목적은 지하 하부 구조에 대한 고분해능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계획된 유적발굴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있었다. 한편 고고학 발굴을 위한 효율적인 지하 영상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중 채널 안테나와 자동 측량 시스템을 채용한 GPR 자동연속탐사 시스템의 유적지발굴에 대한 효용성을 검증함에 그 부차적인 목적이 있었다. 자료측정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미리 측선을 설정하지 않고 조사영역 내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자료를 취득하는 개념을 채택하였다. 이와 같은 시스템을 이용하여 탐사한 결과, 2일 간에 걸친 현장 탐사 결과로써 약 $17,000 m^2$에 걸친 지역에 대한 3차원 탐사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미리 측선을 설정하지 않고 자료를 획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산처리 결과 획득한 지하 영상으로부터 경작지, 수로, 인공 구조물 또는 유물 등의 존재를 알려주는 이상대들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 연구 사례를 통하여 3차원 GPR 탐사 또한 국부적인 이상대의 규명뿐만 아니라 광역적인 고고학 조사에도 다른 물리탐사와 마찬가지로 쉽게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3차원 GPR 탐사가 향후 국내의 문화재 조사에 표준화된 탐사과정 중의 하나로써 적극 활용되길 기대한다.

  • PDF

탄화수소 탐지를 위한 해양 인공송신원 전자탐사 (Marine Controlled-source Electromagnetic Surveys for Hydrocarbon Exploration)

  • 김희준;한누리;최지향;남명진;송윤호;서정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9권2호
    • /
    • pp.163-170
    • /
    • 2006
  • 탄화수소 확정매장량의 부족으로 인해, 주로 육상이나 천해에서 수행되던 탄화수소 탐사는 점차 대륙붕을 넘어 깊은 바다까지 확대되고 있다. 심해에서도 탄성파 자료의 획득이 가능하지만, 탄산염암, 화산암 등이 분포하는 해저지층, 해저 영구 동토 지역 등과 같이 탄성파의 반사 강도가 강하고 산란이 심한 지층에서 얻은 자료는 지층의 분석이 쉽지 않기 때문에 보완 탐사가 필요하다. 탄화수소의 전기비저항이 높은 특성으로 인하여 전자탐사로 그 부존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해양 인공송신원 전자탐사는 석유 탐사의 보완적인 방법의 하나로써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이 탐사 방법은 천해지역보다 오히려 심해지역에서 더 높은 감도를 얻을 수 있어서 특히 심해지역의 보완 탐사로 유용하다. 여러 석유회사에서 전자탐사가 보완 탐사로 유용함을 인식한 지는 불과 5년 밖에 되지 않았지만, 현재는 시추 지역 선정에도 전자탐사를 이용하고 있다. 전자탐사는 도입 초기부터 매우 훌륭한 결과를 얻었으며, 최근에는 여러 회사에서 탄화수소 탐사를 위해 자기지전류탐사나 전자탐사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