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tracheal aspirat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기계호흡기 관련 폐렴환자의 정량적 배양에 있어서 Endotracheal Aspirates과 Protected Specimen Brush의 비교 관찰 (A Comparative Study of Endotracheal Aspirates and Protected Specimen Brush in the Quantitative Cultures of the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 류경렬;김민구;김기량;정호경;박영호;강병선;김호철;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5호
    • /
    • pp.737-743
    • /
    • 1995
  • 연구배경: 기계호흡을 하고 있는 환자에서 폐렴은 흔히 일어나는 병원 감염이며 사망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상적인 폐렴 진단 기준이나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객담의 정성배양법은 폐렴 진단에 오류가 많기 때문에 PSB를 이용한 정량배양법이 진단에 이용되고 있으나, PSB를 쉽게 이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비교적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EA의 정량배양의 진단적 가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72시간 이상 기계호흡을 하고 있는 환자중 임상적으로 폐렴이 의심되는 환자 10명과, 대조군 5명을 대상으로 EA와 PSB를 이용하여 추출한 객담을 정량 배양하였다. 결과: EA와 PSB의 정량배양에서 폐렴의 진단 기준을 각각 $10^5cfu/ml$, $10^3cfu/ml$으로 정할때 PSB에서 민감도 70%, 특이도 80%, 양성예측치 88%, 음정예측치 57%, 정확도 73%, EA에서 민감도 70%, 특이도 60%, 양성예측치 78%, 음성예측치 50%, 정확도 67%였다. 결론: 저자들의 조사결과 기계호흡을 하는 환자의 폐렴진단에서 객담의 정량배양시 cut-off point를 EA에서 $10^5cfu/ml$ 이상 배양된 경우로 정할때, 민감도 70%, 특이도 60%, 양성예측도 78%로서 특이도가 EA 보다 높은 PSB를 대치하지는 못하지만 기관지 내시경을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유용하리라고 추측되나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PDF

일개 대학병원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한 포도알균 항생제 내성 경향 차이 (Differences in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by Clinical Specimens in a University Hospital in South Korea)

  • 홍성노;김준;성현호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85-92
    • /
    • 2018
  • 황색포도상구균의 유병률에 대한 정보와 항생제 내성 리스트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황색포도상구균 감염의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하는 데 필요하다. 이 연구는 한국의 어느 병원 임상 검체에서 얻은 황색포도상구균 균주의 빈도와 항생제 저항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람 양성구균 1,746 개의 균은 S. aureus으로 확인되었다. S. aureus은 객담(N=565, 32.4%), 기관내 흡인(358, 20.5%), 상처(329, 18.8%), 혈액(137명, 7.8 %), 고름(59 %, 3.4 %)이었다. 객담, 기관 내 흡인, 상처, 혈액, 소변 및 고름에서 스크리닝 된 1,282개의 S. aureus 균주 모두 글리코 펩타이드 옥시 졸리 디논(리네 졸리드) 및 스트렙토그라민(퀴뉴프리스틴/달포프리스틴)에서 모두 민감성이 나타났다. 황색 포도상 구균은 기관 내 흡인과 비교하면 소변, 혈액, 고름, 상처 및 객담에서 내성이 유의하게 낮았으며(P<0.01), 기관내 흡인 검체에서 분리 된 황색포도상 구균의 경우 특히 내성의 빈도가 높았다. 결과적으로, 임상 표본에 따라 황색 포도상 구균의 항생제 저항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기관 삽관 중인 환자에서 Blind Protected Specimen Brushing의 역할 (The Role of Blind Protected Specimen Brushing (PSB) in Intubated Patients)

  • 유희승;홍지현;윤장욱;엄광석;이재명;김철홍;장승훈;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1호
    • /
    • pp.59-68
    • /
    • 2003
  • 연구배경 : 기관 삽관을 한 환자에서 정확한 폐렴의 진단과 원인균을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다. 경기관 흡인물(endotracheal aspirate) 배양검사는 간편하지만, 객담채취시 오염의 기회가 많고, 부적절한 객담채취의 기회가 높아서 그 원인균을 알아내는데는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렴 진단 방법의 일환으로 좀 더 간편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인 blind PSB를 시행하여 진단의 유용성과 치료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관 삽관을 한 환자중에서 감염성 폐령이 의심되었던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blind PSB(protected specimen brushing)를 시행하였고, 경기관 흡인물(endotracheal aspirate) 배양 및 혈액 배양검사를 통한 진단 결과와 비교하였다. 대상환자에서 기관 삽관 튜브를 통하여 폐렴이 생긴 폐구역에 해당되는 기관지에 접근하여 PSB 카테터로 기관지내의 화농성 분비물을 채취하여 15분 이내에 정량적 배양검사를 의뢰하여 $10^3/ml$ 이상의 colony forming units를 보일 때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51명의 환자 중 병원내 감염 폐렴은 27명(52.9%)이었고, 이 중에서 VAP가 19명(37.3%)이었고, 지역사회 감염 폐렴은 15명(29.4%)이었다. 비 폐렴성 폐 침윤으로 확인된 9명(17.6%)의 환자 중 울혈성 심부전이 5명(98%), 폐결핵이 3명(5.9%), 폐출혈이 1명(2.0%) 이었다. 원인균 규명을 위한 배양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객담에서 각각 83.3%(35/42), 77.8%(7/9), 혈액에서 각각 14.3%(6/42), 100%(9/9)였고, blind PSB에서는 각각 548%(23142), 88.9%(8/9)였다. 유사한 민감도와 특이도를 고려하면, blind PSB는 객담배양검사에 비하여 우월하다고 할 수 있다. 초기 항생제 치료는 blind PSB 배양결과에 따라서 항생제를 교체하였는데, 항생제를 교체한 환자군의 생존율은 교체하지 않았던 환자군의 생존율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Blind PSB는 기관 삽관된 환자에서 폐렴이 의심되는 경우 비감염성 폐침윤과의 감별에 도움을 주고 폐렴의 원인균을 간편하고 빠르게 확인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경기관 흡인물 배양검사에 비해 신뢰도는 낮지 않으면서 정량적 배양이 가능하여 불필요한 항균제의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관지 내시경검사를 할 수 없는 환자에서도 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기관지 내시경이 필요없어 검사비용에 비한 효과면에서 유용하고 안전한 검사이다.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 진단에서 인공기도 흡인액을 이용한 Multiplex PCR과 세균배양 결과의 비교 (Multiplex PCR of Endotracheal Aspirate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s in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 송주한;명순철;최송호;전은주;강형구;이혜민;조성근;최재철;신종욱;박인원;최병휘;김재열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3호
    • /
    • pp.194-199
    • /
    • 2008
  • 연구배경: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조기에 진단하면 이 질환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이용하여 기계환기폐렴의 주된 원인균인 녹농균, 폐렴막대균 그리고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에 대한 multiplex PCR법을 시행하여 기계환기폐렴의 원인균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기계환기폐렴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24시간 이내에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채취하여 $20^{\circ}C$ 냉동실에 보관하였고, 추후에 multiplex PCR을 시행하였다. Forward & reverse primer는 각각의 원인균에 특이한 부위에 맞춰서 제작하였다(녹농균의 oprL gene, 폐렴막대균의 16S rRNA,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의 mec gene). 기관내튜브흡인액의 배양검사를 포함한 기계환기폐렴 환자의 임상적 및 검사실 소견을 함께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명(남자 18명, 여자 6명)의 기계환기폐렴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나이(평균${\pm}$표준편차)는 $70{\pm}11$세였다. 모든 환자는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기관내튜브 흡인액의 배양에서 11명에서 원인균이 검출되었다(녹농균 2예, 폐렴막대균 1예, 메치실린내성 포도알 균 2예, 기타 그람음성간균 3예, 폐렴알균 2예, 복합감염 1예). 녹농균에 대한 multiplex PCR은 3예에서 양성이 나왔으며, 2예가 배양결과와 일치하였다. 폐렴막대균에 대해서는 4예에서 양성이었으며, 1예가 배양결과와 일치하였다. 메치실린내성 포도알균은 2예에서 양성이었으나, 모두 배양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기계환기폐렴의 예후는 적절한 항생제의 사용 여부와 폐렴 발생 당시의 APA-CHE III score에 영향을 받았다. 결론: 기관내튜브 흡인액을 이용한 multiplex PCR법은 기계환기폐렴에서 그람음성균의 진단에는 가능성을 보였으나, 향후 실제 유용성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Airway foreign body occurs unintentionally during anesthetic management of patient with asthma

  • Cho, Woo Jin;Yun, So Hui;Choi, Yun Suk;Lee, Bang Won;Kim, Mi Ok;Park, Jong Cook
    •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43-45
    • /
    • 2019
  • Intraoperative delivery of salbutamol (${\beta}_2$ agonist) through a breathing circuit may be performed in asthma patient. A 28-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asthma was diagnosed with chronic sinusitis and bilateral nasal polyps, and an endoscopic sinus surgery was performed. The patient was recommended salbutamol nebulization every 4 hours during the perioperative period because of the risk of asthma attack. At the end of the operation, when salbutamol was sprayed through the tube before extubation and the connector tip went inside the tube during injection. The patient was immediately referred to the pulmonary medicine department for bronchoscopy, where the foreign body was removed safely without any complications. When general anesthesia is performed on a patient who usually uses an inhaler for asthma, caution is required because the tip that connects the inhaler and the breathing circuit can aspirate into the endotracheal tube and enter the lungs when applying the inhaler before waking up the patient.

Carbapenem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로 인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 환아에서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 과 Colistin 항균제 병합요법의 치료적 예후: 예비 연구 (Outcome of High Dose AmpicillinSulbactam and Colistin Combination Therapy for Treating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aused by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a Pilot Study)

  • 정성희;김영아;최고은;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45-52
    • /
    • 2020
  • 목적: Carba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CRAB)에 의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VAP)의 치료에 있어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과 colistin의 병합요법 치료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예비 연구이다. 방법: 2017년도 6월부터 2018년도 8월까지 17명의 CRAB VAP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10명(58.8%)의 환자는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과 colistin 병합요법(병합치료군)으로 치료받았으며, 나머지 7명은 colistin 단독치료를 하였거나 colistin을 포함 또는 미포함하는 다양한 항균제의 병합치료(기타치료군)를 하였다. 본 연구는 두 그룹간의 임상 및 세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병합치료군에서 항균제 사용 후 발열기간은 1.30±1.70일이었고, 기타치료군에서는 1.71±1.49일이었다. 기관내관 흡인물 검체에서 균이 음전 될 때까지의 평균 기간은 병합치료군에서 3.40±1.71일 기타치료군에서 11.80±8.86일이었다(P=0.030). 항균제 치료 30일 이내 사망률은 병합치료균에서 1/10 (10%)이고 기타치료군에서 3/7 (42.9%)이었다. 결론: 소아의 CRAB에 의한 인공호흡기연관 폐렴 환자에서 고용량 ampicillin-sulbactam과 colistin의 병합요법이 임상적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