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copic removal

검색결과 81건 처리시간 0.029초

후두이물 (Laryngeal Foreign Bodies)

  • 이광선;박영원;백만기;김종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2년도 제16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0.2-10
    • /
    • 1982
  • 후두이물은 기도일식도이물의 전체예에서 차지하는 수는 적으나 일단 걸리면 질식사 할 수 있으므로 곧 적절한 기구를 사용하여 제거할 수 없으면 기관절개술을 요하는 응급질환이다. 저자들은 3예의 후두이물의 보고와 함께 이 질환의 진단, 예방 및 처치에 대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아의 위장관 이물질에 대한 임상적 고찰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Children)

  • 이보형;이현경;김미정;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75-84
    • /
    • 2001
  • 1997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 이물질을 삼켜 내원한 15세 이하의 환아를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발생빈도, 발생시간, 이물질의 크기와 종류 및 위장관내의 위치, 임상증상, 이물질에 의한 위내시경 소견, 이물질의 제거 혹은 자연 배출되기까지의 기간, 치료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총 37례 중 남아가 25예(67.5%) 여아가 12예(32.5%)였으며, 남녀비는 2.1:1이였다. 연령별 분포는 1세 이상 2세 미만이 7예(19%)로 가장 많았다. 이물질을 삼킨 시간별 분포는 오후 3시와 4시경이 11예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이 오후에 발생하였다. 이물질의 종류로는 동전이 20예(54%), 손목에 끼는 팔찌자석, 바둑알, 탄력붕대를 고정하는 클립, 열쇠고리, 빨래집게에 부착된 C형의 클립이 각각 1예였다. 위장관내 이물질의 위치는 위장이 16예(43.2%)로 가장 많았으며 상부식도가 12예(32.5%), 소장이 5예(13.5%), 하부식도가 4예(10.8%)였다. 병원에 도착 당시의 임상증상은 무증상이 22예(59.4%)로 가장 많았으며, 구토가 7예(19.0%), 상복부 통증이 3예(8.1%), 오심과 연하곤란이 각각 2예(5.4%), 복통이 1예(2.7%)였다. 치료방법으로 이물질을 삼킨 총 37예 중 20예(54.0%)에서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되었으며, 3예(8.1%)에서는 이물질의 자연 배출이 확인되었고, 수술적 제거를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이물질을 삼킨 후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은 12예(52.2%)가 12시간 이내에 제거되었으며, 4예(17.4%)가 24시간 이내에 제거되었고, 가장 긴 기간은 7일이었다.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환아에서의 내시경 소견은 15예에서는 정상 소견이었으며, 5예에서 이물질에 의한 이상소견이 있었다. 상부 위장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을 시행한 경우 안전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내시경을 시행함에 따른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상부위장관 이물질의 제거에는 위내시경이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치과치료시 발생한 이물질 삼킴에 대한 치험례 (FOREIGN BODY INGESTION DURING DENTAL TREATMENT IN PEDIATRIC PATIENT)

  • 김선하;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2
    • /
    • 2011
  • 상부위장관 이물질의 섭취는 대부분 위장관에서 자연적으로 배출되지만, 20% 정도에서는 내시경 또는 수술적 제거의 적응증이 된다. 특히 치과치료중 소아가 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기구 중 bur 등은 예리하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생리적 협착 부위에서 걸려 자연배출이 힘들 수 있다. 또한시간이 지날수록 식도벽에 고착되고 궤양 등의 합병증을 일으켜 내시경으로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소아가 삼켰을 경우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겠다.

Foreign Body Ingestion in Children: Should Button Batteries in the Stomach Be Urgently Removed?

  • Lee, Jun Hee;Lee, Jee Hoo;Shim, Jung Ok;Lee, Jung Hwa;Eun, Baik-Lin;Yoo, Kee Hwan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9권1호
    • /
    • pp.20-28
    • /
    • 2016
  • Purpose: Foreign body (FB) ingestion is common in children, and button battery (BB) ingestion has been increasing in recent years.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outcomes of FB ingestion, particularly BBs in the stomach. We evaluated whether the current recommendations are appropriate and aimed to suggest indications for endoscopic removal of BB in the stomach in young children. Methods: We investigated patient age, shape, size, location of FBs, spontaneous passage time and resulting complications among 76 children. We observed types, size, location of BB and outcomes, and analyzed their associations with complications. Results: Coins and BB were the two most common FBs. Their shapes and size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spontaneous passage time. Size, spontaneous passage time, and age were also not associated with any specific complications. For BB ingestion, all 5 cases with lithium batteries (${\geq}1.5cm$, 3 V) presented moderate to major complications in the esophagus and stomach without any symptoms, even when the batteries were in the stomach and beyond the duodenum, while no complications were noted in 7 cases with alkaline batteries (<1.5 cm, 1.5 V) (p=0.001). All endoscopies were conducted within 24 hours after ingestion. Conclusion: The type and voltage of the batter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ether endoscopy is required to remove a BB in the stomach. For lithium battery ingestion in young children, urgent endoscopic removal might be important in order to prevent complications, even if the child is asymptomatic and the battery is smaller than 2 cm.

수두증을 동반한 송과체 부위 종양에 대한 내시경적 치료 (Endoscopic Management of Pineal Region Tumors with Associated Hydrocephalus)

  • 김정훈;나영신;김준수;안재성;김창진;권병덕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5호
    • /
    • pp.575-580
    • /
    • 2001
  • Purpose : In general, pineal region tumors are managed by using microsurgical approach or stereoctactic biopsy. However, in selected cases endoscopic approach to pineal lesions might prove to be as effective as microsurgery and less invasive. We report an alternative surgical strategy for managing certain patients with pineal neoplasms that allows treatment of the symptomatic hydrocephalus as well as tumor biopsy under direct vision in the same sitting.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two patients with pineal region tumors with associated hydrocephalus were treated in one session by endoscopic third ventriculostomy and endoscopic tumor biopsy at our institution from October 1996 to January 2000. All patient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Results :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There was one cause of significant bleeding during biopsy, but was controlled endoscopically, and the patient recovered completely without neurologic deficit resulting from intra-operative bleeding. The symptoms related to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ICP) have resolved in all patients, and the need for a shunt is completely eliminated. Histological diagnosis was achieved in 21 of the 22 patients by this procedure. A biopsy was not obtained in one patient. Although this pineal region tumor was seen endoscopically, this could not be biopsied because of technical difficulties in working around an enlarged massa intermedia. The lesions included fourteen germinomas, three mixed germ cell tumors, and one each of the followings: pineocytoma, pineoblastoma, pineocytoma/pineoblastoma(intermediate type), meningioma, and low grade glioma. Five of the 22 patients subsequently underwent formal microsurgical tumor removal. Additional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could then be initiated according to the histological diagnosis. Conclusion : We consider that endoscopy affords a minimally invasive way of reaching three objectives by one-step surgery in the management of pineal region tumors with associated hydrocephalus : 1) cerebrospinal fluid(CSF) sample for analysis of tumour markers and cytology, 2) treatment of hydrocephalus by third ventriculostomy, and 3) several biopsy specimens can be obtained identifying tumors which will require further open surgery or adjuvant radiation and/or chemotherapy. However, complications and morbidities should be emphasized so as to be avoided with further technical experience.

  • PDF

상악동을 침범한 함치성 낭종의 내시경을 이용한 치험례 (ENDOSCOPIC APPROACH FOR TREATMENT OF DENTIGEROUS CYST IN MAXILLARY SINUS)

  • 박용희;윤현중;김성원;이상화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250-254
    • /
    • 2007
  • Dentigerous cysts are the most common type of developmental odontogenic cysts. They form as a result of a separation of the follicle from around the crown of an unerupted tooth. Usually this lesion can be asymptomatic. Such cysts are often discovered accidently on inspection of x-rays. In other advanced cases, cortical bone expansion, displacement of teeth, secondary infection can be observed. The treatment of dentigerous cyst is enucleation. And according to size, location of lesion and environmental structure marsupialization can be considered. However, Marsupialization takes long treatment time and, cystic tissues are remained so secondary surgery may be needed for total removal., Risks of oroantral fistula, damage on maxillary sinus wall and infraorbital nerve can be considered as complications of conventional surgical treatment of cysts located in maxillary sinus. We treated third molar origin dentogerous cyst located in maxillary sinus removing endoscopically both the tooth and an associated dentigerous cyst. We report our clinical experience with literature review.

Single Center Experience with Gastrostomy Insertion in Pediatric Patients: A 10-Year Review

  • Kim, Jiyoung;Koh, Hong;Chang, Eun Young;Park, Sun Yeong;Kim, Seung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0권1호
    • /
    • pp.34-4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outcomes of gastrostomy insertion in children at our institute during 10 years. Methods: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was performed on 236 patients who underwent gastrostomy insertion from October 2005 to March 2015. We used our algorithm to select the least invasive method for gastrostomy insertion for each patient. Long-term follow-up was performed to analyze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method of gastrostomy insertion. Results: Out of 236 patients, 120 underwent endoscopic gastrostomy, 79 had laparoscopic gastrostomy, and 37 had open gastrostomy procedures. The total major complication rates for endoscopic gastrostomy insertion, laparoscopic gastrostomy insertion, and open gastrostomy were 9.2%, 8.9%, and 8.1%,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major complication was gastroesophageal reflux requiring Nissen fundoplication (3.8%), and other complications included peritonitis (1.3%), hiatal hernia (1.3%), and bowel perforation (0.8%). Gastrostomy removal was successful in 8.6% and 5.0% of patients in the endoscopic and surgical gastrostomy groups, respectively. Gastrocutaneous fistula occurred in 60% of surgically inserted cases, requiring a second operation. Conclusion: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the outcome of gastrostomy insertion, as well as to introduce an algorithm that can be used for future cases.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make a consensus on choosing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gastrostomy insertion.

몰루칸 앵무새에서의 내시경을 이용한 식도 이물 제거 일례 (Endoscopic Removal of Esophageal Foreign Body in a Moluccan Cockatoo (Cacatua moluccensis))

  • 이소영;유종현;박철;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1
    • /
    • 2007
  • 13개월령의 수컷 몰루칸 앵무새가 경미한 식욕부진을 주 증상으로 하여 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 동물병원에 내원하였다. 신체 검사에서,식도 이물이 소낭 부위에서 촉진 되었다. 흥부 방사선 검사에서 흥부 식도 부위에 위치한 선상의 식도 이물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환자는 먹이용 튜브에 의한 식도 이물로 진단되었다. 식도 이물은 내시경과 겸자를 이용하여 다른 부작용 없이 제거되었다. 이 증례 보고는 새에서 내시경을 이용한 효과적인 식도 이물 제거를 보여준다.

소아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방법 변화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Endoscopic Removal Methods in 127 Cases of the Esophageal Foreign Bodies)

  • 김점수;양정수;정혜성;이민혜;박찬후;최명범;우향옥;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4호
    • /
    • pp.459-465
    • /
    • 2002
  • 목 적 : 식도 이물의 내시경적 적출의 최근 경향과 내시경적 적출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 소아에서 유연형 내시경을 통한 식도 이물 제거술이 정착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방 법 : 1987년 1월부터 2001년 7월까지 14년 6개월간 경상대학교병원 소아과와 이비인후과에서 식도 이물로 진단하여 유연형 내시경과 강직형 내시경으로 치료하였던 12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는 소아과에서 Olympus사의 XP-20, XQ-240과 Pentax사의 2731와 다양한 보조 기구를 사용하고 전신마취나 midazolam이나 diazepam 등의 약제는 사용하지 않았다. 결 과 : 1) 연도별 분포 : 1998년까지는 이물의 제거에 강직형 내시경이나 유연형 내시경이 비슷하게 이용되어 왔다. 1999년 이후부터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2) 연령별, 성별 분포 :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4례(6%)였고, 1-5세의 경우 43례(65.1%), 5-10세의 경우 17례(25.7%), 10-15세의 경우 2례(3.2 %)로 총 66례였다.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는 1세 미만의 경우 8례(13.5%), 1-5세는 42례(68.8%), 5-10세는 7례(11.5%), 10-15세는 4례(6.6%)로 총 61례였다. 두 경우 모두 1-5세가 호발 연령이었다. 남녀 비를 보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 1.64 : 1이었고 강직형 내시경을 사용한 경우에는 1.13:1로 남아에서 다소 많았다. 3) 이물의 종류, 증상, 제거까지 걸린 시간 및 합병증 : 이물의 종류로는 유연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는 54례, 강직형 내시경으로 제거한 경우 42례로 동전이 제일 많았고 임상 증상은 유연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무증상이, 강직형 내시경의 경우에는 연하 곤란이 제일 많았다. 식도 이물을 제거까지 걸린 시간은 대부분 이물을 삼킨 후 24시간 이내였다(108례, 85%). 24시간 이후에 이물을 제거 한 경우는 병원에 늦게 온 경우이며 17례(5%)였다. 이중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11례로 미란이 7례, 궤양소견을 보인 1례, 출혈 2례, 천공 소견을 보인 1례가 있었다. 4) 동반 질환 : 동반된 질환아 있었던 8례(7.5%)였으며 식도 협착이 5례, 뇌성 마비가 3례였다. 결 론 : 본 병원에 소아 내시경실이 생긴 이후 과거 10년 동안 소아 내시경에 의한 이물의 제거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뚜렷한 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던 강직형 내시경을 이용한 이물의 제거가 최근 2-3년 전까지도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연형 내시경은 전신 마취의 불편함 없이도 쉽게 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며, 최근 2-3년 간 유연형 내시경에 의한 식도 이물의 제거가 빈번해졌다. 앞으로도 내시경의 발달과 그 보조 기구의 발달로 인하여 전신 마취 없이 유연형 내시경을 사용한 이물의 제거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고 처음에 시도하는 치료 방법으로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Successful Removal of Endobronchial Lipoma by Flexible Bronchoscopy Using Electrosurgical Snare

  • Yun, Seong Cheol;Na, Moon Jun;Choi, Eugene;Kwon, Sun Jung;Lee, Seong Ju;Oh, Sun Hee;Cha, Eun Jung;Son, Ji Wo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4권2호
    • /
    • pp.82-85
    • /
    • 2013
  • A 62-year-old man with a chronic cough presented with atelectasis of the left upper lobe on chest X-ray. Chest computed tomography showed an atelectasis in the left upper lobe with bronchial wall thickening, stenosis, dilatation, and mucoid impaction. We performed bronchoscopy and found a well-circumscribed mass on the left upper lobe bronchus. The mass was removed by flexible bronchoscopy using an electrosurgical snare and diagnosed with lipoma. An endobronchial lipoma is a rare benign tumor that can be treated by a surgical or endoscopic approach. We report the successful removal of endobronchial lipoma via flexible bronchoscopic electrosurgical sn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