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scopic imaging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6초

폴립 가중치 영상 생성을 통한 캡슐내시경 영상의 학습 성능 비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Learning Performance in Capsule Endoscopy by Generating of PSR-Weigted Image)

  • 임창남;박예슬;이정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8권6호
    • /
    • pp.251-256
    • /
    • 2019
  • 캡슐 내시경은 식도부터 항문까지 소화기관 전체를 한 번에 촬영할 수 있는 의료기기로, 한 번의 검사에서 평균 8~12시간의 길이와 5만장 이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영상을 생성한다. 그러나 생성된 영상에 대한 분석은 전문가에 의해 수작업으로 진행되고 있어서, 질병 영상 진단을 돕기 위한 영상 분석 자동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위장관 내에서 발견될 수 있는 융기성 병변인 폴립 영상 자동 검출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 스케일 분석을 통해 폴립 의심 영역을 추출하고, 이것을 원본 영상과 합성하여 폴립 학습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중치 영상을 생성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수집한 452장의 데이터에 대해 머신 러닝 기법중 하나인 SVM과 RF로 실험한 결과, 원본 영상을 이용한 폴립 검출의 F1점수는 89.3%였지만, 생성된 가중치 영상을 통해 학습한 결과 F1점수가 93.1%로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A Multicenter Study of Changing Trends in Argentina Over the Past 30 Years

  • Arcucci, Maria Soledad;Contreras, Monica Beatriz;Gallo, Julieta;Antoniska, Mariela Andrea;Busoni, Veronica;Tennina, Cecilia;D’Agostino, Daniel;Kakisu, Maria Hisae;Weyersberg, Christian;Orsi, Marina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3호
    • /
    • pp.218-227
    • /
    • 2022
  • Purpos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diatr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over the past three decades in Argentina and determine if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two decades and the past decade.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multicenter analytical study in children with IBD between 0 and 18 years of age diagnosed between 1987 and 2017 in three tertiary health centers in Argentina. The evaluation included clinical characterization, endoscopy, histology, and imaging data together with therapeutic strategie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1, diagnosed between 1987 and 2007, and Group 2, diagnosed between 2008 and 2017. Results: Of the 756 patients included, 409 (54%) had ulcerative colitis (UC), 250 (33%) had Crohn's disease (CD), and 97 (13%) had IBD-unclassified (IBD-U). The positive family history was 3.8%, which was more frequent among children under two years of age (6.7%).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presentation and extraintestinal manifestations between periods, with hepatic manifestations being the most frequent. In the last decade, we found an upward trend in CD, a downward trend in UC/IBD-U, even after adjustment for socioeconomic status, and a decrease of 50% in surgical treatments coinciding with the advent of biological therapy.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multicenter cohort study in a Latin American country to describe clinical, endoscopic, and therapeutic data across the past 30-year period. Although CD was responsible for the overall increase in incidence, UC was still prevalent in this region.

Metastatic tumors to the pancreas: Balancing clinical impression with cytology findings

  • Mohamed A. Abdallah;Kimberlee Bohy;Ashwani Singal;Chencheng Xie;Bhaveshkumar Patel;Morgan E. Nelson;Jonathan Bleeker;Ryan Askeland;Ammar Abdullah;Khalil Aloreidi;Muslim Atiq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7
    • /
    • 2022
  • Backgrounds/Aims: Metastatic lesions of the pancreas (PMET) account for 1%-5% of all malignant solid pancreatic lesions (SPL).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utility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with fine needle aspiration (EUS-FNA) in diagnosing PMET.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EUS-FNA at a community referral center between 2011-2017 for SPL were identified. Clinical, radiologic, and EUS-FNA features of those with PMET were compared to those with primary solid tumors of the pancreas: pancreatic adenocarcinoma (PDAC) and neuroendocrine tumors (PNET). Results: A total of 191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olid pancreatic malignancy using EUS-FNA: 156 PDAC, 27 PNET, and eight (4.2%) had PMET. Patients with PMET were less likely to have abdominal pain (25.0% vs. 76.3% vs. 48.2%; p < 0.01) or obstructive jaundice (37.5% vs. 58.3% vs. 0%; p < 0.01) compared to PDAC and PNET. Those with PMET were more likely to have mass lesions with/without biliary or pancreatic ductal dilatations (100% vs. 86.5% vs. 85.2%; p < 0.01) and lower CA19-9 (82.5 ± 43.21 U/mL vs. 4,639.30 ± 11,489.68 U/mL vs. 10.50 ± 10.89 U/mL; p < 0.01) compared to PDAC and PNET. Endosonographic features were similar among all groups. Seven (87.5%) patients with PMET had a personal history of malignancy prior to PMET diagnosis. The primary malignancy was renal cell carcinoma in five PMET. Conclusions: PMET are exceedingly rare, comprising less than 5% of SLP. Patients with PMET are less likely to present with symptoms and mostly identified by surveillance imaging for the primary malignancy.

식도암 환자의 GET 영상 평가 (GET Imaging Evaluation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 문종운;이충운;서영덕;윤상혁;김용근;원우재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31-36
    • /
    • 2013
  • 위배출 시간 측정(Gastric Emptying Time, GET)은 비침습적이고 정량적 평가 방법으로서 주로 내시경이나 방사선적 검사로 기계적 폐쇄가 없음이 확인된 위정체 증상을 보이는 환자를 검사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 외에 식도암 환자(식도 절제술을 시행한)를 대상으로 수술 직후와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의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를 시행하여, 수술 후 흉강내에서 위장 기능의 평가 자료로서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원을 내원해서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93명을 대상으로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를 수술 직후와 1년 이상의 시간이 지난 후에 두 번 시행하였다. 환자의 검사 전 준비사항으로는 12시간 이상 밤새 공복과 약재나 흡연을 중단 시켜야 하고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주사 후 아침 일찍 검사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검사 방법은 유동식의 위배출 시간 측정은 예민도가 떨어지므로 시행하지 않고, 고형식의 위배출 시간 측정 방법으로 $^{99m}Tc-DTPA$로 표지된 레진이 들어간 계란찜, 그리고 김밥과 점성이 높은 발효유와 함께 먹은 후 입위 자세로 3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검사의 평가 방법은 위배출 곡선 상에서 위내 방사능치가 50%가 되는 시간, 즉 반감기(T1/2)를 구하였고, 반감기가 180분 이상시 지연 위배출, 180분 이내는 중등도, 삼킴과 동시에 소장으로 넘어가는 경우를 급속 위배출로 구분하였다. 일반적인 위배출 시간 측정 영상은 위의 전정부와 위저부가 강하게 나타나는 영상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장으로 넘어가는 영상이지만,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식도암 환자는 흉강쪽에 강한 집적 영상을 보였다. 수술 직후 반감기(T1/2)는 급속 위배출이 12.9%, 중등도 위배출이 52.7%, 지연 위배출이 34.4%로 나타났다. 이후 1년 이상의 시간이 흐른 뒤의 반감기 결과는 수술 직후 급속 위배출 환자 중 67%가 중등도 위배출로, 지연 위배출을 보였던 환자는 69%가 중등도 위배출로 나타났다. 중등도 위배출을 보였던 환자 중 급속 위배출 이나 지연 위배출로 나빠진 경우는 24%이다. 식도 절제술을 시행한 식도암 환자의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는 반감기(T1/2)가 급속 위배출 및 지연 위배출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중등도 위배출로 변하는 소견을 보였다. 이는 주로 위를 보는 위배출 시간 측정 검사가 흉강내의 식도를 대신하는 위장 기능의 평가에도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평가 기준을 세분화하고 검사의 시간 간격을 좁힌다면 좀 더 많은 정보와 분석으로 정확한 임상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