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obronchial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25초

폐결핵에 병발하는 기관지 결핵에 관한 연구 (Endobronchial Tuberculosi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 김선영;서지원;신경상;정성수;박상기;김애경;조해정;김주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38-146
    • /
    • 1996
  • 연구배경 : 기관지 결핵은 폐결핵의 특이형태 또는 일종의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으며 진단 및 치료에 많은 문제점이 있어왔으나 전체적인 발생율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않다. 저자들은 활동성 폐결핵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여 기관지 결핵의 빈도 및 임상상을 연구하였다. 방법 : 1995년 3월 부터 1996년 2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내과에 내원하여 활동성 폐결핵으로 진단받은 환자 103명을 대상으로 폐결핵 진단후 2주 이내에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임상 증상과 흉부 방사선 검사 및 기관지 세척액 항산균 검사, 폐기능검사 등을 시행하였다. 결과 : 활동성 폐결핵 환자 103명 중 기관지 결핵환자는 55명으로 기관지 결핵의 동반율은 53.4% 였고 이중 남자는 32명으로 43.8%의 발병율을, 여지는 23명으로 76.7%의 발병율을 보였다. 가장 흔한 증상은 기침, 객담, 발열 등의 비특이적 증상이었고 진찰소견상 수포음, 감소된 호흡음 및 천명이 청진되었다. 기관지경상의 기관지결핵 아형은 7가지 모두가 관찰되었으며 부종-충혈형이 가장 흔히(32.7%) 관찰되었고, 만성 비특이성 기관지염형 및 섬유성 협착형의 순으로 관찰되었다. 이들 아형과 흉부 방사선 소견 및 결핵의 진행정도와는 무관하였고, 우폐의 침범율이 좌폐보다 높았으며, 좌상엽이 가장 호발하는 부위였고, 우상엽, 기관의 순으로 침범된 소견을 보였다. 또한 폐기능검사 소견상 특이한 점은 없었고, 폐결핵만 존재한 경우와 차이가 없었다. 이들에서 객담 및 기관지 세척액 항산균 도말 검사 양성은 72.7% 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서 폐결핵환자에서 기관지 결핵의 병발은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높으며, 페결핵의 진단시 특히 항산균 도말양성시 기관지 내시경 검사의 시행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관지 방선균증의 임상적 고찰 (Diagnosis and Treatment of Endobronchial Actinomycosis)

  • 최재철;고원중;권용수;류연주;유창민;전경만;강은해;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김태성;이경수;한정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8권6호
    • /
    • pp.576-581
    • /
    • 2005
  • 배 경 : 기관지 방선균증은 매우 드문 질환이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조직학적으로 진단된 7명의 기관지 방선균증 환자의 임상상과 치료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10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 내원하여 기관지 방선균증으로 진단된 7명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특징과 치료에 대해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기침과 가래가 가장 흔한 임상증상이었다. 진단까지의 기간은 중앙값 4개월(범위 1-16개월)이었다. 흉부 방사선 소견은 기관지내 종괴와 동반된 경화 또는 무기폐가 6명에서 관찰되었고 1명에서 기관지내 결절이 관찰되었으며, 이중 5명에서 기관지결석이 동반되었다. 이들 환자의 정주용 항생제 사용기간은 중앙값 3일(범위 0-12일)이었으며, 경구용 항생제 사용 기간은 중앙값 147일(범위 20-412일)이었고, 2명의 환자는 정주용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모든 환자에서 치료 후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호전의 소견을 보였다. 결 론 : 기관지결석을 동반한 기관지내 병변이 있을 때 기관지 방선균증을 의심하여야 한다. 항생제 치료기간은 병변의 진행 정도,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고려하여 개별화할 수 있을 것이며, 모든 환자에서 2-6주의 정주용 항생제에 이은 6-12개월의 경구용 항생제의 사용이 필요하지는 않을 것이다.

악성 종양에 의한 기도폐쇄시 내기관지 근접치료 : 저선량 치료 대 고선량 치료의 비교 (Endobronchial Brachytherapy for Malignant Airway Obstruction: Low Dose Rate Versus High Dose Rate)

  • 조영갑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23-128
    • /
    • 1996
  • 목적 : 악성 종양으로 인해 기도 폐쇄가 온 환자들을 저선량 및 고선량으로 내기관지 근접 치료하였을 경우의 대중치료 효과, 생존율 및 병발증을 비교 검토한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10월부터 1992년 6월까지 저선량 방법으로 21명, 1992년 8월부터 1994년 4월까지 고선량 방법으로 22명, 총 43명의 환자들에게 내기관지 근접치료를 시행하였다. 총 91회의 치료시, 모두 Fluorocopy하에서 굴절성 Fiberoptlc 내시경을 이용하였으며, 저선량 방법의 21회는 15-30 Gy를 0.75 cm 원경에, 고선량 방법의 64회는 5-7.5 Gy를 Ir-192 선원으로부터 1 Cm 원경에 각각 투사하였다. 결과 : 주관적 및 객관적 치료효과의 분석은 임상재진시 나타난 환자의 증상, 흥부 방사선 사진 및 흥부 단층촬영의 결과로 이루어졌다. 저산량으로 치료한 21명 중 15명의 환자와 고선량으로 치료한 22명 중 19명의 환자들이 주관적 치료효과가 있었음을 보였고, 8명의 저선량 환자와 10명의 고선량 환자가 흥부 방사선 사진과 단층 촬영상에서 객관적 효과가 있었음을 나타냈다. 결론 : 저선량 및 고선량 방사선에 의해 근접치료의 기술은 비교적 간단하며 환자가 별다른 후유증 없이 치료를 잘 받아 드리는 편이다. 이 치료 방법은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말기 폐암환자에게 내기관지 협착 내지는 폐쇄가 왔을 때 기관지의 공기소통을 원활히 증진시켜주는 대증치료 방법 이다.

  • PDF

Endobronchial Metastasis of Epithelioid Sarcoma

  • Kim, Seo-Yun;Lee, Ji-Yeon;Lee, Yeon-Joo;Park, Sung-Soo;Koo, Hyeon-Kyoung;Lee, Sang-Min;Yim, Jae-Joon;Yang, Seok-Chul;Yoo, Chul-Gyu;Han, Sung-Koo;Shim, Young-Soo;Kim, Young-Wh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5호
    • /
    • pp.423-427
    • /
    • 2011
  • Epithelioid sarcomas are rare soft tissue sarcomas with a high tumor grade and high local recurrence and metastasis rates. Although the lung is the most common site of metastasis, endobronchial metastasis hasn't been reported yet. We now report a case of epithelioid sarcoma with endobronchial metastasis. A 28-year-old man had recurrent pneumothorax and underwent wedge resection. He presented at our hospital with hemoptysis, dyspnea, and chest pain. Chest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left pneumothorax, multiple lung nodules and endobronchial lesions at the right lower basal lobe. Bronchoscopy showed a hemorrhagic mass obstructing the bronchus of the right lower basal lobe. Magnetic resonance imaging revealed multiple nodular lesions in the left thigh muscles. The bronchoscopic biopsy of the endobronchial lesion and the muscle biopsy of the thigh showed the same feature epithelioid sarcoma. This is the first case report of an epithelioid sarcoma with endobronchial metastasis that was diagnosed by bronchoscopic biopsy.

기관지결핵에 의한 기도협착에서 풍선카테터를 이용한 기도확장요법 (Balloon Dilatation of Bronchial Stenosis in Endobronchial Tuberculosis)

  • 정희순;한성구;심영수;김건열;한용철;김우성;임정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3호
    • /
    • pp.236-244
    • /
    • 1991
  • The prevalence rate of pulmonary tuberculosis is 1.8% in 1990, and endobronchial tuberculosis may exist in 10 to 40% of active disease. Endobronchial tuberculosis usually leaves bronchial stenosis as the complication despite of modern chemotherapy, and it is often misdiagnosed as bronchial asthma. When bronchial stenosis involves major airway, its treatment needs such special measures as steroid therapy, surgical intervention and/or laser therapy, but the therapeutic result is often disappointing. To exploit a new treatment modality for bronchial stenosis, balloon dilatation was carried out in 12 patients with endobronchial tuberculosis. Under local anesthesia, 4F-Fogarty balloon was inserted via bronchofiberscope in ten cases and 10F-Gruentzig balloon was introduced under fluoroscopic guide in two others. Endobronchial tuberculoses were subdivided into two(16.7%) with actively caseating type, seven (58.3%) with fibrostenotic type, and three (25.0%) with stenotic type without fibrosis, according to the bronchoscopic findings. In 7 healed cases which were all stenotic with fibrosis, three (42.9%) took favorable turn in clinical status but four (57.1%) were not improved with balloon dilatation. In 5 active cases, all (two with actively-caseating type and three with stenotic type without fibrosis) were improved with this method. $FEV_{1.0}$ or FVC increased 10% or more after procedure in seven (70.0%) of ten and bronchial lumen remained enlarged in eight (66.7%) of twelve, in whom follow-up examination was done after the procedure. Balloon dilatation of bronchial stenosis is more effective, when endobronchial tuberculosis is in active stage than in healed fibrotic stage. It is suggested that bronchial stenosis can be minimized by early diagnosis and early application of balloon dilatation in the course of disease.

  • PDF

폐쇄성 폐렴 후 자연 퇴행을 보인 기관지내 육종 1예 (A Case of Spontaneously Regressed Endobronchial Sarcoma after Obstructive Pneumonia)

  • 박순효;전영준;권건영;한승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1호
    • /
    • pp.94-99
    • /
    • 2007
  • 악성 종양의 자연 퇴행은 아주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그 중 폐에 발생한 육종의 자연 퇴행의 경우 국내 보고로 처음이다. 여러 보고들에서 자연 퇴행에 대한 원인 기전을 밝히려는 많은 노력들이 있었으나 아직 정확히 규명된 기전은 없으며 최소한 한 가지 이상의 기전이 관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저자들은 기관지내 육종을 진단하고 2개월 후 폐쇄성 폐렴과 부폐렴 흉수로 치료한 것을 제외하고 특별한 치료 없이 지내던 중 폐렴 발생 1년째 기관지경 검사상 기관지내 육종이 완전히 자연 퇴행되었음을 보여준 1예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자궁근종을 동반한 원발성 기관지 평활근종 (Primary Endobronchial Leiomyoma Combined with Uterine Leiomyoma)

  • 심현정;임정환;이석;김대현;박강진;이세련;정종필;손준광;김수옥;오인재;김규식;김유일;임성철;김영철;김석모;나국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5호
    • /
    • pp.490-495
    • /
    • 2006
  • 자궁근종의 병력을 가진 51세 여자가 기침, 가래,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기관지내시경하 조직 생 검상 평활근종이 발견되었고 환자의 자궁근종의 병력을 고려했을 때 양성 전이성 폐평활근종과의 감별이 필요하였다. 좌하엽 절제술과 동시에 자궁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두 병변의 조직학적 소견을 비교해 보았을 때 폐의 병변은 자궁근종과는 무관한 원발성 기관지 평활근종으로 확진되었으며 이후 증상의 호전을 보여 현재 경과관찰 중이다.

신절제술 20년 후에 발생한 신세포암종의 단발성 기관지 내 전이 (Solitary, Endobronchial Metastasis from Renal Cell Carcinoma 20 Years after Nephrectomy)

  • 김민주;김정임;원규연;이한나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994-999
    • /
    • 2021
  • 수술 이후 10년 이상이 경과된 후 발생하는 후발성 전이와 더불어 기관지 내 전이는 신세포암의 특징적인 소견이다. 본 증례 보고는 신절제술 20년 후에 세분절 기관지에서 발생한 신세포암의 단일성 기관지 내 전이의 사례를 보고하고 문헌을 고찰하고자 한다. 71세의 남자가 폐렴을 주소로 병원에 입원하였다. 흉부 단순촬영에서 우하폐야의 다발성 결절성 병변을 보여 흉부 컴퓨터단층사진을 촬영하였고 우폐의 염증성 침윤과 함께 우하엽에 4.3 cm 크기의 경계가 좋은 길쭉한 고형성 종괴를 발견하였다. 포함된 상복부에 우측 신절제술의 흔적으로 20년 전에 투명 신세포암으로 우측 신장 절제술을 받았던 기왕력을 확인하였다. 병변은 폐우하엽 절제술로 제거하였고, 병리학적으로 기관지 내 전이성 투명신세포암으로 진단되었다. 신세포암의 병력이 있다면 절제술 후 수십 년이 지난 후라도 기관지 내 종양에 대하여 신세포암의 기관지 내 전이 가능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흉강경을 이용한 전폐절제술 (Thoracoscopic Pneumonectomy)

  • 성숙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9호
    • /
    • pp.808-811
    • /
    • 1994
  • We reported a successful right pneumonectomy using video assisted thoracoscopy for endobronchial tuberculosis. Thoracoscopic surgery has many advantages in spite of its technical difficulties. These advantages include good cosmetic effects, short hospital stay, decreased postoperative morbidity, and good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The patient was young unmarried female, and her right lung was nearly total obstructed by endobronchial tuberculous dissemination and secondary pulmonary infection. The procedure was a little complicated by inadequate placements of the thoracoscopic ports and 5cm length utility thoracotomy incision. Minimal pain killer was needed only two days after operation and scar of operative wound was very satisfying. Postoperative course was unusual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7 days after operation.

  • PDF

기관지 폐동맥 성형술을 이용한 폐절제술 (Bronchoplastic and Angioplastic Operation in Pulmonary Resections)

  • 백효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5호
    • /
    • pp.374-378
    • /
    • 1994
  • Bronchoplastic and angioplastic operation in lung surgery is appropriate treatment for a wide range of benign endobronchial lesions and low grade malignancies. Between March 1990 to February 1994, four patients underwent bronchial sleeve resection and one patient received left upper lobe lobectomy with pulmonary artery angioplasty. Types of disease includes two cases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and three cases of lung cancer. The main operation performed are one pneumonectomy, two right upper lobectomy and one each of left upper lobectomy and left lower lobectomy. All cases received sleeve resection not due to decreased respiratory reserve but due to anatomic suitability. One patient who received pneumonectomy had postoperative complication of empyema thorac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