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emic taxa

검색결과 472건 처리시간 0.028초

경주시 생태복원하천인 충효천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Chunghyocheon in Gyeongju-si)

  • 유주한;정성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42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ecologically restored strea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Chunghyocheon stream, Gyeongju-si. The survey of vascular plants in this site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restoration.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276 taxa including 68 families, 188 genera, 242 species, 1 subspecies, 29 varieties and 4 forms. The rare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Prunus yedoensis Matsum. and Iris ensata var. spontanea (Makino) Nakai, and the Korean endemic plant was Lespedeza maritima Nakai.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3 taxa including 1 taxa of grade V, 3 taxa of grade III, 1 taxa of grade II and 8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62 taxa including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 Lepidium virginicum L., Poa compressa L.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L., Aster pilosus Willd. and Lactuca scariola L.. The hydrophytes were 34 taxa including 26 taxa of emergent plant, 1 taxa of floating-leaved plant, 2 taxa of free-floating plant and 5 taxa of submerged plant.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Flora and Conservation Counterplan of Sonjook Island)

  • 박선주;김종흥;김상민;박홍덕;우복주;백기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8-41
    • /
    • 2004
  • 본 조사지역인 손죽도는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에 속하며, 지리적으로는 동경 127도 21분, 북위 34도 16분에 위치하고 있다. 유관속 식물을 대상으로 2001년 12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12개월에 걸쳐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관속식물은 113과 291속, 519종, 60변종, 5품종 총 584종이 동정되었다. 이 지역은 전형적으로 곰솔이 우점종이며, 남방계 식물이 나타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중 특산식물은 10과 10속 8종 5변종으로 총 13종류로 이 지역에서 관찰되는 전체식물종의 2.0%를 나타낸다. 회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솔잎란, 애기등, 섬첨남성, 및 지네발란 등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 귀화식물은 9과, 20속, 23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귀화식물종 281종류의 8.2%로 조사되었다. 본 지역은 면적에 비해 한국특산식물, 회귀식물 및 멸종위기식물 등이 많이 분포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지만 한편으로는 귀화식물의 점유율이 점점 높아지는 등 환경오염에 따른 인위적인 훼손의 위협 증대되고 있어 섬 전체에 대해 지속적인 정부의 강력한 관리 및 개발 규제가 있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복계산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Mt. Bokgyesan)

  • 강상수;백원기;이우철;장근정;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8-226
    • /
    • 2006
  • 복계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0과 250속 350종 51변종 9품종으로 총 410종류가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410 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특산속인 금강초롱꽃속을 포함하여 총 15종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도 6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6과 10속 11종 1변종으로 총 12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생활형조성은 H-D4-R5-e type을 보였고,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9.8%로 가장 높았고, 목초용(38.3%), 약용(33.2%) 및 관상용(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복계산의 식생은 신갈나무 군락군(Quercetalia mongolicae community group)으로 대표되며, 하위군락으로는 소나무-신갈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박달나무-신갈나무군락(Betula schmidtii-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전형군락(typical community)이 형성되어 있고, 남서쪽 계곡으로는 가래나무군락(Juglans mandshurica community)이 분포하였다.

경주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 남산, 토함산, 단석산을 중심으로 - (Vascular Flora of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Mt. Nam, Mt. Toham, Mt. Danseok -)

  • 윤정원;김용식;신현탁;김기송;성정원;이창현;박기환;이명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0-195
    • /
    • 2013
  •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남산, 토함산, 단석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1년 7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총 7회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관속식물은 96과 284속 385속 4아종 41변종 6품종으로 총 43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7분류군, 특산식물은 13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41분류군으로 V등급 1분류군, IV등급 3분류군, III등급 9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24분류군이다. 한편 귀화식물은 29분류군으로 확인하였으며, 귀화율은 6.65%, 도시화지수는 9.03%이다. 조사된 436분류군의 유용도는 목초용 자원식물이 182분류군(41.7%), 식용 176분류군(40.4%), 약용 147분류군(33.7%), 관상용 52분류군(11.9%), 목재용 18분류군(4.1%), 염료용 16분류군(3.7%), 섬유용 8분류군(1.8%), 공업용 자원식물이 1분류군(0.2%) 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79분류군(18.1%)으로 나타났다.

장군봉(봉화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Mt. Janggunbong (Bonghwa-gun))

  • 남보미;정선;김재영;오병운;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7-478
    • /
    • 2016
  • 본 연구는 경북 봉화군에 위치하는 장군봉(1,136 m)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06년 5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15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총 82과 279속 397종 2아종 55변종 8품종 총 46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1분류군, 취약종 5분류군, 약관심종 7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중 Ⅳ등급이 8분류군, Ⅲ등급이 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을 유용성에 따라 구분했을 경우 식용 352종류, 목초용 107종류, 약용 71종류, 관상용 18종류, 목재용 8종류, 염료용 5종류, 공업용 3종류, 섬유용 2종류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111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28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남한강 일대의 관속식물상 (Vascular Flora of Namhan River)

  • 유성태;이명훈;이유미;장계선;김병도;신현탁;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3-490
    • /
    • 2013
  • 본 연구는 남한강 유역의 관속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2012년 3월부터 동년 11월까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증거표본에 의한 관속식물은 86과 250속 383종 2아종 39변종 6품종 등 총 4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낙지다리, 층층둥굴레, 흑삼릉 등 총 13분류군, 특산식물은 키버들, 할미밀망, 애기감둥사초 등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6분류군,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은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58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13.5%, 18.1%로 나타났다. 조사된 430분류군의 유용도는 목초용 자원식물이 174분류군(40.5%), 식용 141분류군(32.8%), 약용 112분류군(26.0%), 관상용 48분류군(11.2%), 염료용 11분류군(2.6%), 섬유용 7분류군(1.6%), 목재용 4분류군(0.9%), 공업용 2분류군(0.5%) 그리고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09분류군(25.4%)으로 나타났다.

청량산(봉화군, 안동시)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Cheongnyangsan (Bonghwa-gun, Andong-si))

  • 남보미;김재영;정선;이재현;남명자;오병운;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16-634
    • /
    • 2015
  • 연구는 경북 봉화군 명호면과 재산면, 안동시 도산면과 예안면에 걸쳐 위치하는 청량산(870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자원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였다. 2006년 3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총 16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총 97과 330속 541종 3아종 61변종 9품종 614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21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취약종은 8분류군, 약관심종은 5분류군,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중 V등급이 2분류군, IV등급이 10분류군, III등급이 1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청량산에 분포하는 분포특이종으로 세뿔투구꽃, 산토끼꽃 등 4종이 조사되었다. 이들은 유용성에 따라 구분하면 식용 234종류, 사료용 213종류, 약용 174종류, 관상용 62종류, 목재용 16종류, 염료용 12종류, 섬유용 11종류의 순으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167종(27.2%)로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2분류군으로 귀화율은 5.3%, 도시화지수는 10.0%로 나타났다.

선달산(경상북도 봉화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Seondalsan Mounta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 안민우;정선;김재영;조형준;허태임;이혜정;서을원;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9-316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는 선달산(1,236 m)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확증표본을 기초로 할 때 총 96과 341속 562종 18아종 53변종 5품종 63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1분류군, 취약종 3분류군, 약관심종 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중 V등급이 1분류군, IV등급이 11분류군, III등급이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분류군의 유용성에 따른 구분에 의하면 식용 440종류, 약용 505종류, 향료용 19종류, 산업용 234종류, 관상용 335종류, 생태복원용 214종류, 사료/퇴비용 269종류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30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제주도 왕이메오름의 식물상 (Wang-ime Oreum Flora on Jeju Island)

  • 박지현;서민희;문성필;송관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861-88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ra of the Wang-ime oreum located on Seogwipo-si, Jeju-do, to basic data for the Jeju Island plant distribution. A total of 366 taxa were found with 94 families, 240 genera, 358 species, 1 sub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a.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appeared as 2 taxa of grade V, 13 taxa of grade IV, 4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49 taxa of grade I. There were 14 taxa for naturalized plants. The different plant life forms that appeared were large ground plants (M)(54 taxa), small land plants (N) (52 taxa), epiphyte (E) (6 taxa), indicator plants (Ch) (4 taxa), and semi-aquatic plants (H) (168 taxa), There were 34 and 48 taxa of plants(G) and annuals (Th)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ang-ime oreum, which is adjacent to ranches and grasslands, has little artificial interference, as more plants are distributed, and fewer naturalized plants are found than in Suwolbong and Dangsanbong. Accordingly, each ore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lora of Jeju-do, thus a management pla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cano is necessary.

주왕산국립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Korea)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71-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by surveying the flora distributed in Juwangsan National Park. The numbers of flora were summarized as 575 taxa; 99 families, 333 genera, 507 species, 4 subspecies, 56 varieties and 8 forms. The threatened species was Eleutherococcus senticosus, and the rare plants were 17 taxa; Anaphalis sinica, Jeffersonia dubia, Hylotelephium ussuriense, Berchemia berchemiaefolia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3 taxa; Salix pseudolasiogyne, Carpinus laxiflora, Pseudostellaria coreana,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Corydalis albipetal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9 taxa; 31 taxa of grade I, 16 taxa of grade II, 8 taxa of grade III, 7 taxa of grade IV and 7 taxa of grade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7 taxa; Fallopia dumetorum, Rumex crispus, Chenopoidum album, Amaranthus patulus, Lepidium apetalum and so forth,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ster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18 taxa; Anemone reflexa, Eranthis stellata, Hylomecon vernalis, Lathyrus vaniotii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31 taxa; Dianthus longicalyx, Thalictrum ichangense, Spiraea blumei, Glycine soja and so fo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