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emic plant

검색결과 669건 처리시간 0.026초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Mt. Danseok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07-521
    • /
    • 2017
  • 본 연구는 경주국립공원 단석산지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함과 아울러 자연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단석산지구를 대상으로 2011년 5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7과 331속 489종 4아종 48변종 11품종으로 총 55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은 1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8분류군, II등급은 12분류군, I등급은 24분류군 등 총 5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3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경주국립공원 서악 지구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Seoak District in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3-3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management and restoration plan by objective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Seoak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The flora summarized as 411 taxa including 92 families, 285 genera, 363 species, 2 subspecies, 41 varieties and 5 forms.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2 taxa including Exochorda serratifolia and Potentilla discolor.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Philadelphus schrenkii,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16 taxa including Asplenium sarelii, Pyrrosia petiolosa, Vitex negundo var. incisa and so forth.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2 taxa including Lespedeza maritima and Carpesium macrocephalum, and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4 taxa including Exochorda serratifolia, Glycine soja, Lespedeza maritima and Weigela subsessili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1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Viola papilionacea, Lamium purpureum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NI(Naturalized Index) was 12.4% of all 411 taxa of surveyed flora in this study and UI(Urbanized Index) was 15.9% of all 321 taxa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Potentilla discolor in rare plant, Philadelphus schrenkii in endemic plant and Dictamnus dasycarpus in specific plant were established the conservation plan. Whereas, invasive alien plants such as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should be removed as soon as possible. The damaged sites in Seoak District were divided between wildfire area and farmland. To restore a forest fire site, we will have to apply a natural renewal and community planting. In case of farmland, we will have to do ecological planting using native species and constrcut a forest wetland.

울진 소광리 일대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 Species in Sogwang-ri, Uljin-gun)

  • 신현탁;이명훈;윤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4-235
    • /
    • 2011
  • 본 연구는 소광리 일대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9년 4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총 10회에 결쳐 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89과 253속 367종 3아종 53변종 7품종의 4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특산식물은 1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54분류군,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1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1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3.4%로 나타났다. 조사된 430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176분류군(40.9%), 약용 145분류군(33.7%), 목초용 114분류군(26.5%), 관상용 63분류군(14.6%), 목재용 15분류군(3.4%), 섬유용 11분류군(2.5%) 그리고 공업용이 4분류군(0.9%)으로 나타났다.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 (The Flora and Vegetation of Dokdo Island in Ulleung-gun, Gyeongsanbuk-do)

  • 박선주;송임근;박성준;임동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4-278
    • /
    • 2010
  • 본 연구는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을 모니터링하여 독도생태계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독도의 식물상은 29과 48속 49종 1아종 3변종 총 53종류로 기록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섬기린초와 섬초롱꽃 2종류이고, 귀화식물은 갓, 방가지똥, 큰이삭풀, 콩다닥냉이, 흰명아주, 둥근잎나팔꽃 등 6종류로 확인되었다. 특히, 둥근잎나팔꽃은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식생형은 주로 해국-땅채송화, 해국-갯제비쑥, 왕호장근-도깨비쇠고비, 돌피, 물피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독도에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오동정의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분류군별 전문가의 조사가 필요하고, 고유식생을 유지하기 위하여 귀화식물 및 재배식물의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경주국립공원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Manhobong in Mt.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유주한;권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75-589
    • /
    • 2018
  • 본 연구는 토함산지구 내 만호봉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상을 조사 및 분석함으로서 경주국립공원의 생태계를 관리 및 보전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2012년 5월부터 2017년 8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증거표본을 기초로 관속식물상 목록을 작성한 결과, 91과 292속 397종 4아종 48변종 8품종 등 총 45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멸종위기야생생물은 2분류군, 희귀식물은 11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1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9분류군으로, V등급은 3분류군, IV등급은 5분류군, III등급은 2분류군, II등급은 11분류군, I등급은 18분류군이다. 귀화식물은 33분류군이고 귀화율(NI)과 도시화지수(UI)는 각7.2%, 10.3%이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돼지풀과 미국쑥부쟁이 2분류군이다.

백두대간 덕유산 지역의 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Deog-yu Area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고명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23
    • /
    • 2004
  • 백두대간 덕유산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1과 243속 353종 53변종 5품종 총 411종류가 확인되었다. 개비자나무, 생강나무, 대팻집나무 및 노각나무 등이 나타나 남부아구로 볼 수 있으나 거제수나무, 사스래나무, 처녀치마 및 금강애기나리 등 중부아구 식물도 확인되었으며, 해발 1,000m 이상인 곳에는 고산식물이 많이 분포하였다.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솔나리와 산작약, 그리고 구상나무, 금강애기나리, 말나리, 뻐꾹나리, 누른종덩굴, 등대시호, 흰참꽃 및 꽃창포 등으로 총 10종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보호 야생 동ㆍ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종은 솔나리 1종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종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 일월비비추, 죽대, 뻐꾹나리 등 12과 21속 20종 1품종 1변종으로 총 22종류가 확인되었다.

별립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Byeollipsan (Ganghwa-gun), Korea)

  • 김중현;김선유;윤창영;박성애;김용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1-455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Byeollipsan (Ganghwa-gun). The vascular plants from 13 field surveys were revealed to total of 574 taxa; 116 families, 355 genera, 505 species, 8 subspecies, 52 varieties, 7 forms and 2 hybrids. A high plant diversity were Asteraceae (12.3%), Poaceae (10.6%), Cyperaceae (6.1%), Fabaceae (4.5%) and Rosaceae (4.2%) in regular order. The seven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such as Clematis brachyura, Viola seoulensis, Populus × tomentiglandulosa, Salix koriyanagi, Ajuga multiflora f. rosea, Hemerocallis hakuunensis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were collected. The red data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were examined five taxa; Least Concern (LC) species of both Phacelurus latifolius and Belamcanda chinensis, Not Evaluate (NE) species of Lithospermum arvense, Scorzonera austriaca ssp. glabra and Polygonatum infundiflorum.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34 taxa comprising one taxa of degree IV, six taxa of degree III, 11 taxa of degree II, and 16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6 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index (NI) was 8.0%, Urbanization Index (UI) was 14.3%, respectively.

자원식물 활용을 위한 서운산 식물상 연구 (Study of Flora in Mt. Seoun to use Plant Resources)

  • 안영희;양영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59-276
    • /
    • 2001
  • 서운산(574m)은 지리적으로 북위 36$^{\circ}$54'~ 36$^{\circ}$50', 동경 127$^{\circ}$ 16'~127$^{\circ}$19'사이에 위치하며 경기도와 충청북도에 걸쳐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3월~10월까지 9차례에 걸쳐 실시한 현지조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소산 식물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조사지의 소산 식물은 90과 268속 383종 49변종 5품종 2교잡종 등 총 439종류로 확인되었다. 산림청 지정의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천마, 뻐국나리, 삼백초, 태백제비꽃 등이 조사되었으며, 특산식물은 총 12종으로 전체 소산식물의 2.7%를 차지하였다. 귀화식물은 총 24종류로 전체 소산식물의 5.5%에 해당되었다. 서운산에서 조사된 자원식물의 용도별 구분은 식용자원식물이 239종류(54.4%), 약용 자원식물이 270종류(61.5%), 관상용 자원식물이 217종류(49.4%), 목재용 자원식물이 46종류(10.5%), 사료용 자원식물이 56종류(12.8%)로 구분되었다.

  • PDF

지리산 기후변화 취약수종 분포지의 산림식생 유형 및 희귀-특산식물 분포 특성 (Vegetation Type Classification and Endemic-Rare Plants Investigation in Forest Vegetation Area Distributed by Vulnerable Species to Climate Change, Mt. Jiri)

  • 김지동;박고은;임종환;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113-125
    • /
    • 2018
  • 우리나라의 아고산대는 기후변화에 지역적 취약성을 띄는 지역으로, 아고산대의 산림식생은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관찰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지표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지리산 아고산대의 기후변화 취약수종 분포지의 산림식생을 대상으로 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 유형 및 희귀-특산식물 분포 특성에 대해 구명하였다. 2015년 3월부터 10월까지 37개소에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 분류를 통해 종조성을 파악하고, 종의 우점도를 파악하기 위해 중요치를 이용하여 식생유형별 층위구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식생유형분류체계는 8개 종군유형과 5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다. 산림청 지정 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은 17분류군이 출현하였고, 북방계식물의 비율은 41.2%이며, 식생단위별 해발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희귀-특산식물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치 분석 결과, 구상나무는 모든 식생단위에서 평균상대우점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층위별로 보았을 때 식생단위 1을 제외한 단위들에서는 신갈나무, 당단풍나무 등의 수종과 경쟁관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아고산대 산림식생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 뿐만 아니라 식생학적 접근을 통한 장기 모니터링의 기초지표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