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demic Plants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5초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aekwoon in Chungcheongbuk-do)

  • 유주한;진연희;장혜원;이동우;윤희빈;이귀용;이철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0-223
    • /
    • 2003
  • 본 연구는 백운산의 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기간은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까지 조사하였다. 충북 백운산(1,087m)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0과 273속 411종 1아종 49변종 7품종 등 총 468종류(Taxa)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본 대상지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을 조사한 결과 천마. 말나리, 금강제비꽃, 매미꽃. 도깨비부채, 쥐방울덩굴, 개족도리, 태백제비꽃, 미치광이풀. 토현삼 등 총 10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 특산식물은 개족도리. 가는장구채, 할미밀망, 진범, 매미꽃, 흰털괭이눈, 조팝나무, 가시딸기, 광릉갈퀴, 뽕잎피나무, 서울제비꽃, 금강제비꽃, 자란초, 토현삼, 병꽃나무, 털잔대, 고려엉겅퀴, 각시서덜취, 분취 등 19종류로 조사되었다.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의 관속식물상 (Flora of Western Civilian Control Zone (CCZ) in Korea)

  • 김경훈;강신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65-588
    • /
    • 2019
  •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은 경기도 파주시 지역으로는 장단면, 군내면, 진동면을 포함한다. 연천군 지역은 장남면, 백학면, 미산면, 중면에 걸쳐있다. 본 조사에서는 파주시 장단면 일대와 군내면 정자리 덕진산성, 진동면 동파리 일월봉, 임진강변, 수내천, 초리천을 중심으로 세 개 면과 연천군 장남면 반정리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의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자세히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2년 4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월 2회 조사를 통해 461점의 표본을 확보하였고, 96과 305속 413종 4아종 41변종 6품종의 46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이후 2018년 10월까지 월 1회 조사하였다. 조사 시기 중 멸종위기종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우리나라 특산식물로는 고려엉겅퀴, 벌개미취, 키버들 등 6분류군이 확인 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으로는 IV급종은 5분류군, III급종은 7분류군, II급종은 14분류군, I급종은 18분류군의 4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서부 민간인 통제지역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단풍잎돼지풀을 포함한 35분류군으로 전체 식물의 7.5%에 해당한다.

가야산국립공원의 식물상과 보전방안 (Flora and Conservation Plan of Gayasan National Park)

  • 유주한;전세근;설정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09-130
    • /
    • 2013
  •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national park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in the Gayasan national park.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102 families, 328 genera, 469 species, 4 subspecies, 59 varieties and 9 forms. The endangered plants design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2 taxa; Pedicularis hallaisanensis Hurus. and Gymnadenia conopsea for. albiflora Y.N.Lee. The rare plants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ere 13 taxa; Crypsinus hastatus (Thunb.) Copel., Ligusticum tachiroei (Franch. & Sav.) M. Hiroe & Constance, Primula modesta var. fauriae (Franch.) Takeda, Lilium distichum Nakai ex Kamibay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5 taxa; Betula ermanii Cham., Carpinus laxiflora (Siebold & Zucc.) Blume, Stewartia pseudocamellia Maxim., Galium koreanum (Nakai) Nakai, Heloniopsis koreana Fuse, N.S. Lee & M.N. Tamura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6 taxa; Betula chinensis Maxim., Spiraea fritschiana Schneid., Vaccinium hirtum var. koreanum (Nakai) Kitam.,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Adoxa moschatellina L. and so forth. The plants with approval for delivering oversea were 22 taxa; Salix hallaisanensis H.L$\acute{e}$v., Sanguisorba argutidens Nakai, Viola albida Palib.,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30 taxa; Chenopodium album L., Lepidium apetalum Willd., Trifolium pratense L., Bidens frondosa L., Helianthus tuberosus L. and so forth.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Golji stream watershed in Gangwon province, Korea)

  • 김중현;김진석;김선유;이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6-163
    • /
    • 2014
  • 본 연구는 강원도 골지천유역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12년 5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11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24과 420속 730종 8아종 78변종 6품종 3교잡종의 총 82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한국고유종 34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식물 3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16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조사지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이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은 101분류군이며, 이 중 호석회식물은 37분류군, 북방계식물은 6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수생식물 34분류군, 귀화식물 69분류군이 발견되었다.

울릉도지역의 민속식물 (The Regional Folk Plants in Ulleung Island, Korea)

  • 정혜란;최경;문현식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5호
    • /
    • pp.25-35
    • /
    • 2012
  • 본 연구는 울릉도지역에서 이용되고 있는 민속식물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9년 3월부터 2010년 9월까지 수행되었다. 울릉도의 20개리에서 주민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한 조사야장 553장의 설문을 분석한 결과, 51과 93속 98종 2아종 13변종 총 113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조사된 113분류군 중에는 한국특산식물 5분류군, 희귀식물 14분류군, 귀화식물 5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었다. 용도별 이용현황은 약용 72종류, 식용 65종류, 관상용 5종류 등으로, 약용의 이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이용 부위로는 잎, 열매, 뿌리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표준식물명과 지방명의 일치성 여부를 분석한 결과 4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70대에서 가장 낮았다.

가지산(경남)의 관속식물상 (The Vascular Plants in Mt. Gaji (Gyeongsang nam-do))

  • 김중현;이지연;이병윤;윤창영;김민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03-326
    • /
    • 2010
  • 본 연구는 가지산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2006년 3월부터 10월,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총 12회에 걸쳐 수행되었다. 그 결과 관속식물은 106과 314속 503종 6아종 56변종 8품종으로 총 57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0분류군, 한국 고유종은 20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또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64분류군, 국외반출 승인대상 식물에는 2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편 귀화식물은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 3.8%로 나타났다. 조사된 573분류군의 유용도는 식용이 217분류군(37.8%), 약용 181분류군(31.5%), 목초용 91분류군(15.8%), 관상용 86분류군(15%), 목재용 19분류군(3.3%), 섬유용 11분류군(1.9%) 그리고 공업용이 7분류군(1.2%)으로 나타났다.

전남 동부지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A Study on the Flora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 이종원;안종빈;강신호;윤호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4-167
    • /
    • 2022
  • 본 연구는 전남동부지역에 위치한 우량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산림습원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식물상 및 식생 등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진행은 2020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 총 54회에 걸쳐실시하였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관속식물은 93과 251속 336종 5아종 47변종 7품종 총 39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641종의 약 8.5%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에 출현한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과 벌개미취 등 6과 6속 7종 1변종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한반도 특산식물 328분류군의 2.43%가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0과 12속 10종 1아종 1변종 총 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종(CR)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이 관찰되었다. 위기종(EN)은 복사앵도나무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석회암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기 때문에 식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취약종(VU)은 방울새란과 끈끈이주걱이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약관심종(LC)과 자료부족종(DD)는 이삭귀개, 뻐꾹나리 및 벗풀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총 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V등급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 4분류군으로 파악되었고, IV등급은 산황나무 및 가는잎개고사리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I등급은 천선과나무 및 좀작살나무 등 15분류이 나타났고, II등급은 꼬리조팝나무 및 닭의난초 등이 관찰되었다. I등급은 개미탑과 말오줌때 등 총 3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산림습원 내 침입외래식물은 주홍서나물, 개망초, 달맞이꽃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Naturalized Index)은 4.83%, 도시화지수(Urbanized Index)는 5.90%로 조사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습지유형 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남 동부지역 산림습원은 절대육상식물이 61.4%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고, 미분류 습지식물 19.1%, 임의습지식물 8.2%, 절대습지식물 4.6%, 임의육상식물 4.5%, 양생식물 2.3% 순으로 확인되었다.

Towards Conservation of Threatened Ceropegia Species Endemic to a Biodiversity Hotspot: In Vitro Microtuber Production and Proliferation, a Novel Strategy

  • Pandit, Sagar Subhash;Nair, Aneeshkumar;Naik, Dhiraj Dilip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79-88
    • /
    • 2008
  • Twenty-eight of 44 Indian Ceropegia species are endemic and their survival is threatened. As a step towards conservation, we implied in vitro methods for the sustainable propagule production in C. hirsuta, C. lawii, C. maccannii, C. oculata and C. sahyadrica. Effects of explant, growth regulators, sucrose and photoperiod were studied. High frequency microtuber production was achieved with the seedling-apical buds, grown on MS medium containing 4-6 mg $1^{-1}$ BAP, 3-8% (w/v) sucrose, under continuous illumination. Each microtuber, when subcultured proliferated to form a cluster of secondary microtubers. Every primary and secondary microtuber bore at least one shoot-bud and a root primordium. Each tuber (formed with any of the significantly effective treatments) weighed more than 500 mg, enough to plant directly in non-sterilized soils. Microtubers could be produced and proliferated round the year. Proliferation could be solely attributed to in vitro procedures as these plants bear solitary tubers in vivo. Microtubers could be sprouted in vitro to prepare ready to pot plantlets. As, this novel method succeeded for all five species, though they belong to different eco-physiological backgrounds, we recommend its implementation in the conservation programs for a broader range of Ceropegia species, supported by other integrated strategies.

  • PDF

Allozyme Diversity and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in Korean Endemic Plant Species : II. Hosta yingeri (Liliaceae)

  • Chung, Myong Gi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2호
    • /
    • pp.141-149
    • /
    • 1994
  • Levels of genetic diversity,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gene flow in Hosta yingeri, a herbaceous perennial endemic to Taehuksan, Sohuksan, and Hong Islands, were investigated.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conducted on leaves for 101 plants collected from three populations. Although the distribution of thespecies is restricted in the islands, it maintains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n; 64% of polymorphic loci in at least one population (Ps), the mean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p) of 1.92, and the mean effective number of alleles per locus (Aep) of 1.52. Overall, mean genetic diversity (Hep=0.250)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mean estimate for species with very similarlife history traits (0.102). Large populaton size, the persistence of multiple generations within populations, high fecundity, predominantly outcrossing breeding system, large size of pollinator visitation areas may be explanatory factors contributing the higher level of genetic diversity maintained within populations. Analysis of fixation indices showed an overall slight excess of heterozygotes (mean FIS=-0.066) relative to Hardy-Weinberg expectations, which may in part be due to the near self-incompatible breeding system in the speci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ele frequencies among populaitns were found for 14 out of 16 polymorphic loci (P<0.05). Slightly more than 80% of the total variation in the species was common to all populations (GST=0.198). As expected, indirect estimate of the number of migrants per generation (Nm=0.45, calculated from mean GST) and nine private alleles found in the three populations indicate that gene movement among three isolated island populations was low.

  • PDF

북한 생물정보 DB 구축에 의한 남북한 동·식물명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Zoology & Botany Name of South and North Korea Building Bio-information Database of North Korea)

  • 김남신;김석주;김영화;정성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7-39
    • /
    • 2019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zoology and botany name caused by language and science differences of South and North Korea since division. Biological data are collected North Korea biological information (flora and fauna, an illustrated flora and fauna book of North Korea, Etc.) and compared both side data based on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We could built 3,903 species of flora and 1,487 species flora on biological database. The criteria for comparative method is 5 types (korean name difference, scientific name difference, same species, similar species, North Korea endemic species). As a results, plants were identified korean name difference (911 species), scientific name difference (614 species), same species (880 species), North Korea endemic species (1,037 species) of 3,903 species, and animals were korean name difference (685 species), scientific name difference (104 species), same species (199 species), North Korea endemic species (226 species) of the 1,492 species.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in application with cooperation study for recovering bioinformatics differences of South and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