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coding Time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5초

Molecular Cloning of Two cDNAs Encoding an Insecticidal Toxin from the Spider, Araneus ventricosus, and Construction of a Recombinant Baculovirus Expressing a Spider Toxin

  • Chung, Eun-Hwa;Lee, Kwang-Sik;Han, Ji-Hee;Je, Yeon-Ho;Chang, Jin-Hee;Roh, Jong-Yu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4권1호
    • /
    • pp.43-49
    • /
    • 2002
  • We have cloned cDNAs encoding toxin from the spider, Araneus ventricosus, and constructed a recombinant baculovirus expressing the insecticidal toxin. The cDNAs encoding toxin were cloned from the cDNA library of A. ventricosus. Sequence analysis of the cDNAs encoding the toxin of A. ventricosus revealed that the 240 bp cDNA for AvTox-1 and 192 bp cDNA for AvTox-2 have an open reading frame of 80 and 64 amino acid residues, respectively. The deduced protein sequence of the toxin genes of AvTox-1 and AvTox-2 was aligned to that of the snack Anemonia sulcata and scorpion Centruroides limpidus limpidus, respectively. Northern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AvTox-2 toxin gene showed a fat body-spe-cific expression pattern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Furthermore, we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of improving baculovirus by incorporating the A. vontricosus toxin gene into Bombyx mori nuclear polyhedrosis virus genome under the control of polyhedrin promoter, The AvTox-2 toxin gene was expressed as approximately 5.8 kDa band in the recombinant baculovirus-injected silkworm larvae. Bioassays with the recombinant virus expressing AvTox-2 on 5th instar silkworm larvae demonstrated a decrease in the time to kill $(LT_{50} days)$ compared to wild-type BmNPV-Kl $(LT_{50} 6.72 days)$ in the injection of 10 virus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ventricosus toxin is a novel member of the spider toxin family, suggesting that the toxin gene can be used in recombinant baculoviruses to reduce insect feeding damage and increase the speed of insect kill.

Multi-Sever based Distributed Coding based on HEVC/H.265 for Studio Quality Video Editing

  • Kim, Jongho;Lim, Sung-Chang;Jeong, Se-Yoon;Kim, Hui-Yon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5권3호
    • /
    • pp.201-208
    • /
    • 2018
  •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range extensions (HEVC RExt) is a kind of extension model of HEVC. HEVC RExt was specially designed for dealing the high quality images. HEVC RExt is very essential for studio editing which handle the very high quality and various type of images. There are some problems to dealing these massive data in studio editing.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cedure is re-encoding and decoding procedure during the editing. Various codecs are widely used for studio data editing. But most of the codecs have common problems to dealing the massive data in studio editing. First, the re-encoding and decoding processes are frequently occurred during the studio data editing and it brings enormous time-consuming and video quality loss. This paper, we suggest new video coding structure for the efficient studio video editing. The coding structure which is called "ultra-low delay (ULD)". It has the very simple and low-delayed referencing structure. To simplify the referencing structure, we can minimize the number of the frames which need decoding and re-encoding process. It also prevents the quality degradation caused by the frequent re-encoding. Various fast coding algorithms are also proposed for efficient editing such as tool-level optimization, multi-serve based distributed coding and SIMD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 based parallel processing. It can reduce the enormous computational complexity during the editing procedure. The proposed method shows 9500 times faster coding speed with negligible loss of quality. The proposed method also shows better coding gain compare to "intra only" structure. We can confirm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solve the existing problems of the studio video editing efficiently.

H.264/AVC를 위한 적응적 인트라 프레임 압축 (Adaptive Intra Frame Encoding for H.264/AVC)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447-1454
    • /
    • 2014
  • 인트라 프레임은 GOP (Group of Pictures)의 처음 프레임을 의미하며, H.264 표준에서 인트라 프레임의 모든 매크로블록은 하나의 양자화 파라미터로 압축한다. 그리고 인트라 프레임은 이후 프레임들을 압축할 때 사용하기 때문에 인트라 프레임의 압축 결과는 전체 프레임 그룹의 화질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인트라 프레임을 최적으로 압축할 수 있는 양자화 파라미터를 찾는 것은 화질 개선을 위해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인트라 프레임을 압축하기 위한 최적의 양자화 파라미터를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최적 양자화 파라미터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경사하강법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최적값을 탐색한다. 실험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최적 양자화 파라미터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최적값도 정확하게 예측함을 보여준다.

바디 제스처 인식을 위한 기초적 신체 모델 인코딩과 선택적 / 비동시적 입력을 갖는 병렬 상태 기계 (Primitive Body Model Encoding and Selective / Asynchronous Input-Parallel State Machine for Body Gesture Recognition)

  • 김주창;박정우;김우현;이원형;정명진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
    • /
    • 2013
  • Body gesture Recognition has been one of the interested research field for Human-Robot Interaction(HRI). Most of the conventional body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s used Hidden Markov Model(HMM) for modeling gestures which have spatio-temporal variabilities. However, HMM-based algorithms have difficulties excluding meaningless gestures. Besides, it is necessary for conventional body gesture recognition algorithms to perform gesture segmentation first, then sends the extracted gesture to the HMM for gesture recognition. This separated system causes time delay between two continuing gestures to be recognized, and it makes the system inappropriate for continuous gesture recognition. To overcome these two limitations, this paper suggests primitive body model encoding, which performs spatio/temporal quantization of motions from human body model and encodes them into predefined primitive codes for each link of a body model, and Selective/Asynchronous Input-Parallel State machine(SAI-PSM) for multiple-simultaneous gesture recogni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gesture recognition system using primitive body model encoding and SAI-PSM can exclude meaningless gestures well from the continuous body model data, while performing multiple-simultaneous gesture recognition without losing recognition rates compared to the previous HMM-based work.

복수 특징의 사전 검사에 의한 영상 벡터양자화의 고속 부호화 기법 (A Fast Encoding Algorithm for Image Vector Quantization Based on Prior Test of Multiple Features)

  • 류철형;나성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2C호
    • /
    • pp.1231-123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백터 양자화를 위한 새로운 고속 부호화 기법을 제안하는데, 제안 기법은 다차원의 참조 표로 복수 특징의 부분 거리를 사용한다. 복수 특징을 사용하는 기존 기법은 탐색 순서와 연산 과정을 고려할 때 복수 특징을 단계적으로 처리한다. 반면에 제안 기법은 참조 표를 사용하여 복수 특징들을 동시에 활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용한 수준의 메모리를 위해 테두리 효과를 고려하는 참조 표의 구성 방법과 참조 표의 부분 거리를 활용하며 현재의 탐색을 중지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 기법의 효율성을 확인시켜 주는데, 부호책 크기가 256일 때 제안 기법은 OHTPDS 기법이나 $M-L_2NP$ 기법 등과 같이 최근에 제안된 기법들이 요구하는 연산량의 $70\%$ 수준까지 연산량을 감소시킨다. 가용한 수준의 전처리와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제안 기법은 전체탐색 기법과 통일한 화질을 유지하면서 전체 탐색 기법이 요구하는 연산량의 $2.2\%$ 이하로 연산량을 감소시킨다.

멀티모드 이동 방송용 EWS(Emergency Warning System) 송·수신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ulti-Mode Mobile Broadcasting EWS Encoding and Decoding Systems)

  • 권기원;박용석;박세호;백종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2호
    • /
    • pp.1281-1288
    • /
    • 2012
  • 본 논문은 재난 정보를 다양한 모바일방송 규격에 따라 인코딩 및 송출, 수신 및 디코딩하는 멀티모드 방송용 EWS 송 수신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은 전 세계 모바일 방송 표준 중 T-DMB, DVB-H, ISDB-T와 디지털 라디오 규격인 DRM을 지원하며, 각각의 방송 규격에 따라 재난 정보를 인코딩하는 송출부와 각 표준에 따른 RF 방송 신호를 수신 및 디코딩하는 수신부 형태로 구성된다. 제안한 멀티모드 방송용 EWS 송신시스템은 단일 시스템상에서 각각의 방송규격으로 EWS 재난 데이터 생성하고 상용 방송 송출 장비규격에 만족하는 채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난정보가 송출 가능하며 수신 시스템에서는 단일 H/W에서 해당 모드의 재난 정보를 수신, 디코딩하여 단말기 화면에 표출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각 모드별 상용 방송장비에서 송출되는 RF 신호를 수신하여 문자기반의 재난 정보를 표출하는 정합 검증 과정을 통해 정상동작 결과를 제시한다.

레트로바이러스를 이용한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 유전자 발현이 대장암 세포의 전이 및 종양형성에 미치는 영향 (Anti-tumorigenic and Invasive Activity of Colon Cancer Cells Transfected with the Retroviral Vector Encoding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2)

  • 오일웅;정자영;장석기;이수해;김연수;손여원
    • 약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9-196
    • /
    • 2004
  •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issue inhibitors of MMPs (TIMPs) playa key role in tumor invasion and metastasis. As an inhibitor of MMP-2, TIMP-2 is known to block both the invasive and metastatic behavior of cancer cells, and decrease tumor growth activity.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IMP-2 over-expression induced by retroviral mediated gene transfer in vitro and in vivo. The human colon cancer cell line SW480 was transfected with the retroviral vector encoding TIMP-2. The effects of TIMP-2 over-expression were analyzed by invasion assay and gelatinase activity test in colon cancer cells and tumorigencity in nude mice. In evaluation of the transfection efficiency of the retroviral vector encoding TIMP-2 in colon cancer cells, we confirmed up-regulation of TIMP-2 expression dependent on the time of cell culture. In addition, inhibition of MMP-2 expression in SW480/TIMP-2 was shown by gelatin zymography. In the in vitro invasion assay SW480/TIMP-2 inhibited the invasiveness on matrigel coated with collagen. To determine whether TIMP-2 can modulate in vivo tumorigenicity and metastasis, SW480/TIMP-2 cells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in nude mice. The tumor mass formation of SW480/TIMP-2 cells in nude mice was markedly decreased compared to nontransfected cancer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colon cancer cells transfected with the retroviral vector encoding TIMP-2 inhibits the invasiveness in vitro and tumorigenicity in vivo.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Seysen 기법을 이용한 격자 감소 기반 전부호화 기법 (Lattice-Reduction-Aided Preceding Using Seysen's Algorithm for Multi-User MIMO Systems)

  • 송형준;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6호
    • /
    • pp.86-9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입출력 시스템을 위해 격자 감소 기법 기반 전부호화(preceding) 기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송신 단에서 완벽한 채널 상태 정보(CSI : 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이용할 수 있을 때, 벡터 분산 기법(VP : vector perturbation)은 큰 채널 전송 용량(sum capacity)을 얻을 수 있으면서 간단한 수신기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VP 기법의 부호화는 비결정적 난해(NP-hard : nondeterministic polynomial time-hard) 문제이다. 이에 반해 격자 감소 기법 기반의 VP 기법은 부호화 복잡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 및 이중 베이시스의 동시 감소를 통한 Seysen 격자 감소 기반 VP 기법(VP-SLR : vector perturbation with Seysen's lattice reduction)을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는 LLL 기반 VP기법(VP-LLL : vector perturbation with Lenstra-Lenstra-Lovasz lattice reduction)에 비해 제안된 VP-SLR 기법이 더 낮은 비트 오류율(BER : bit error rate)과 더 큰 전송 용량을 가짐을 보여준다.

프랙탈 알고리즘 기반의 실시간 영상 부호화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Moving Picture Encoder Based on the Fractal Algorithm)

  • 김재철;최인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6호
    • /
    • pp.715-726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범용 DSP칩인 ADSP2181를 사용하여 프랙탈 알고리즘 기반의 영상 부호화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제작된 부호화기는 고정소수점을 지원하는 Analog Device사의 ADSP2181 두 개를 사용하여 구현되었고, 영상부호화는 3단계의 파이프라인 구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첫 번째 파이프라인단인 영상 획득부는 NTSC표준 영상 신호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여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한다. 두 번째 단에서의 주제어부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프랙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마지막 단인 출력 제어부는 부호화된 영상 계수를 RS422 포트를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설계 제작된 프랙탈 영상 부호화기의 성능은 QCIF 영상 포맷에서 정지영상에 대하여 초당 10프레임 이상의 부호화 속도를 얻었다. 프랙탈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프레임간 중복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시에는 초당 평균 30 프레임 이상의 부호화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EPCglobal Gen-2 RFID 시스템 태그와 리더간의 무선 전송 방식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Wireless Communications between Tag and Reader in EPCglobal Gen-2 RFID System)

  • 윤희석;마나르모하이센;장경희;배지훈;최길영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047-105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모의 실험을 통하여 EPCglobal Gen-2의 리더와 태그간 상 하향 링크에서의 부호화, 변조 방식, 시간 동기 및 주파수 동기, 그리고 preamble등의 규격에 대한 성능을 분석한다. 리더에서 태그로의 통신에서 사용되는 부호화 및 변조 방식에 의한 파형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태그에서 리더로의 통신에 사용되는 부호화 방식과 backscatter 변조 방식을 설명하며, backscatter 변조된 FM0 code의 BER 성능을 모의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또한, 하향 및 상향 링크에서의 주파수, 시간 동기 및 preamble과 frame 동기의 필요성 및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상향 링크 preamble의 정확한 검출 확률에 대한 모의 실험을 통하여 13 dB $E_b/N_0$에서 preamble의 detection 확률이 거의 1에 근접함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