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carsia formosa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시설내 온실가루이와 온실가루이좀벌의 발생 및 주내분석 (Occurrence and Within -Plant Distribution of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and Encarsia formosa (Gahan) in Greenhouse)

  • 박종대;김도익;박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7-121
    • /
    • 1998
  • 온실가루이의 발생량은 성충과 약충 모두 토마토보다 오이에서 많았다. 끈끈이 트랩에 온실가루이는 오이에 접종후 3일째부터 유인되기 시작하여 3회의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온실가루이좀벌은 접종 15일째부터 성충이 유인되었다. 온실가루이 성충은 오이잎의 최상위 부분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으며 약충은 초기에는 상위부분에서, 40일째 이후에는 하위부분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온실가루이좀벌 성충은 중상위 부분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나 부위별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온실가루이좀벌에 의한 온실가루이 mummy는 오이의 중하위부분에서 발생이 많았다. 온실가루이의 방제를 위하여 온실가루이좀벌을 방사하는 시기는 황색끈끈이 트랩에 온실가루이 성충이 1주일 동안 5마리 정도 잡히기 시작할 때 온실가루 이좀벌mummy를 오이 5주당 50마리(1tag)씩 방사한 경우 방사후 40일정도에 방제효과가 인정되었다.

  • PDF

실내조건에서 친환경농자재가 기생성 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Insect Parasitoids in the Laboratory)

  • 유용만;강은진;서미자;강명기;이희진;김다아;길미라;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27-234
    • /
    • 2006
  • 시설하우스의 주요 난방제 해충인 온실가루이, 진딧물 및 아메리카잎굴파리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온실가루이좀벌, 콜레마니진디벌 및 굴파리좀벌 굴파리고치벌에 대한 친환경농자재 사용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먼저 친환경농자재가 천적과 직접 접촉하였을 경우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온실가루이좀벌의 머미에 분무하였을 경우, 61개 품목 중에서 살균성친환경농자재인 FEFAME (0.4%),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 G (2.7%)를 뿌린 경우에는 거의 우화하지 않았다. 또한, 성충에 미치는 잔효독성을 조사한 결과,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 J 와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o C는 처리 후 48시간 후의 생존율이 0%였고, 미량요소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E B (6.7%).,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인 EFAMPE H,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인 EFAMSM H (13.3%), 살균성친찬경농자재인 FEFAM A와 D (20.0%) 등이 처리 48시간 후 생존율이 낮게 나타났다. 콜레마니진디벌의 경우 직접접촉에 대한 평가에서 머미에 분무하는 경우에는 대조구(물)조차도 22%의 낮은 우화율을 보이고 있으며, 성충에 대한 잔효효과의 경우에,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o C는 처리 48시간 후 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고,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인 EFAMPE J (6.7%), EFAMPE F 와 EFAMPE H, 토양미생물친환경농자재인 EFAMSM H (13.3%)등이 20% 이하의 낮은 처리 후 48시간 후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굴파리좀벌 굴파리고치벌의 경우에는 식물성추출물친환경농자재인 EFAMPE J가 처리 후 48시간 후 0%의 생존율를 나타내었고, 몰리브덴함유친환경농자재인 EFAMMo C가 53.3%로 낮은 처리 후 48시간 후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이외 친환경농자재에 대하여는 영향이 거의 없거나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Molecular Variation of Endosymbiotic Bacteria Wolbachia in Bemisia tabaci and Related Whiteflies

  • Jahan, S.M. Hemayet;Lee, Kyeong-Yeoll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115-123
    • /
    • 2012
  • Whiteflies harbor several secondary endosymbionts, which are maternally inherited from mother to offspring, that have major effects on host preferences, biology, and evolution. Here, we identified Wolbachia bacteria in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as well as whitefly popluations from other countries by comparison of 16S rDNA sequences. Wolbachia were detected in all tested indigenous B. tabaci populations (Bangladesh, Myanmar, Nepal, and the Philippines) as well as Q1 biotype of Korea, whereas they were absent from B biotype of Korea and Q biotype of China. Wolbachia were also detected in all five tested Aleurodicus dispersus populations as well as Tetraleurodes acaciae, whereas they were not detected in all seven Trialeurodes vaporariorum populatuions. In addiiton, Wolbachia were detected in parasitic wasp (Encarsia formosa) of B. tabaci as well as honeybee (Apis mellifera). Among the 19 whitefly populations from different countries, our analysis identified four phylogenetic groups of Wolbachia, thereby demonstrating the high diversity of this genus. Wolbachia phylogeny suggests a correlation of geographical range with ecological variation at the species level.

  • PDF

온실재배 토마토에 발생하는 가루이류에 대한 황색점착트랩 방제효과 (Effect of Yellow Sticky Trap for Controlling Whitefly on Tomato Cultivated in Greenhouse)

  • 박종호;홍성준;한은정;심창기;이민호;김민정;김용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43-654
    • /
    • 2012
  • 본 실험은 점착트랩을 이용하여 토마토에 나타나는 가루이류에 대한 방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는 두 종 모두 성충 대부분이 백색과 청색보다 황색 트랩에 포획되었다. 토마토 주위에 높이별로 점착트랩을 설치하였을 때 담배가 루이가 포획된 마릿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온실가루이는 상단에 설치한 트랩에 더 많이 포획되었다. 온실가루이는 기주가 어릴 때 트랩에 더 유인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에 대한 황색점착트랩의 유인력은 천적인 담배가루이좀벌과 온실가루이좀벌에 대한 트랩의 유인력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토마토유묘가 있는 스크린케이지 안에 황색점착트랩을 설치한 결과 담배가루이와 온실가루이 밀도가 80% 이상 감소하였다. 방제용 점착트랩을 설치한 토마토재배 온실의 가루이밀도가 무처리온실에 비해 3분의 1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제충국, 멀구슬 추출물의 천적에 대한 독성 및 배추좀나방 방제 효과 (Toxicology Study of Plant Extract made by Chrysanthemum Cinerariaefolium and Melia Azedarach against Natural Enemies and Plutella Xylostella on Chinese Cabbage)

  • 김도익;김선곤;고숙주;강범용;최덕수;김상수;황인천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9-571
    • /
    • 2010
  • 제충국, 멀구슬의 천적에 대한 독성을 평가하고 배추의 주요해충인 배추좀나방의 방제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포식성 천적인 이리응애류는 국제생물방제협회(IOBC) 기준으로 중간 정도의 독성을 보였으며 기생성 천적은 황온좀벌을 제외하고 비교적 안전하였다. 제충국은 1회 살포시에는 21일째부터 밀도가 떨어졌으며,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경우 초기의 밀도 억제는 낮았지만 21일째에는 91.1%까지 올라가 효과를 보였다. 멀구슬을 1회만 살포한 경우 14일째까지 96.7%의 높은 살충율을 보여 주지만 이후 약효가 떨어졌다. 7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할 경우 14일째부터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어 28일째까지 100%를 유지하였으며 살포방법은 멀구슬을 먼저 살포하고 제충국을 살포하는 체계가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토마토 반촉성 시설 재배에서 천적중심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 관리모델 (Greenhouse Whitefly and Thrips Management Model Using Natural Enemies in Semi-forcing Culture of Tomato)

  • 정태성;황미란;황세정;이재홍;이안수;원헌섭;홍대기;조점래;함은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403-412
    • /
    • 2017
  • 춘천지역 농가 및 강원도농업기술원 내 시험포장에서 반촉성재배토마토(2~6월)에서 트랩을 이용한 주요 해충의 발생밀도와 천적 등을 이용한 방제효과를 조사 하였다. 토마토 재배농가에서 주로 사용하는 약제와 유기농자재의 천적곤충에 대한 독성평가도 수행하였다. 반촉성재배 시 발생되는 주요 해충은 온실가루이(Trialeurodes vaporariorum)와 총채벌레류이었다. 온실가루이의 경우 4월 중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 이후 발생이 증가하였고, 총채벌레류는 4월 상순 경 발생을 시작하여 6월 이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독성약제 선발시험을 통해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의 천적인 온실가루이좀벌과 미끌애꽃노린재에 대해 60% 이하의 독성을 보이는 살충제 1종(spiromesifen SC), 살균제 1종(cyazofamid SC) 및 님 추출물이 함유된 유기농자재 외 1종을 선발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제시한 천적중심 관리모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토마토 반촉성 시설재배 시 온실가루이와 총채벌레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형포장에서 친환경농자재가 천적곤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to Insect Natural Enemies at Small Green Houses)

  • 이대홍;강은진;강명기;이희진;석희봉;서미자;유용만;윤영남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5-86
    • /
    • 2008
  • 시설재배지 내에서의 친환경농자재는 작물보호를 위하여 사용하기도 하고 작물의 생육을 도와주는 역할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친환경농자재는 각종 해충을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천적들과 중복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친환경농자재가 이러한 천적들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친환경농자재는 천적곤충에 영향을 많이 주는 것으로 보고된 10개를 선발하여 소형포장과 농가포장에서 평가하였다. 먼저 무당벌레 유충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친환경농자재를 사용하지 않은 무처리구에서는 무당벌레의 목화진딧물 포식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만, EFAMMo L과 EFAMPE D, EFAMME G, EFAMAE A등을 처리한 구에서는 무당벌레의 포식활동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진딧물의 개체수가 현저히 증가함을 알 수 있다. 온실가루이좀벌의 경우에, 친환경농자재를 살포한 시험구에서는 전체적으로 온실가루이 약충과 온실가루이좀벌 머미의 개체수가 조금씩 감소하였으며, 특히 IEFAM C, FEFAM D, EFAMSM B, EFAMPE D 등을 처리한 시험구에서 온실가루이좀벌 머미의 수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히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EFAMMo C를 살포한 처리구의 경우에는 온실가루이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온실가루이에 대하여 방제효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소포장에서 콜레마니진디 벌의 기생률을 검토한 결과 친환경농자재를 뿌린 구역보다는 무처리구에서의 기생률이 높았다. IEFAM C, FEFAM D, EFAMPE D, EFAMMo L 등을 살포한 구역에서 특히 낮은 기생률을 나타내었다. 잎굴파리좀 벌의 외부기생 머미가 방사 후 1주일 후부터 2주 후까지도 많이 관찰되었지만 처리구와 무처리구 사이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FAMMo C는 점박이응애, 칠레이리응애 모두 개체수를 감소시켰다. EFAMMo L은 점박이응애에는 피해를 주지 않은 반면에, 칠레이리응애의 개체수는 많이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