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ulsified fuel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벙커 C유를 사용한 에멀젼 연료유의 배기가스 특성 (Emission Evaluation of Emulsion Fuel Prepared from Bunker C Oil)

  • 임흥균;이명진;지경엽;임종주
    • 공업화학
    • /
    • 제28권2호
    • /
    • pp.186-19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OIMS90과 NP12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물/벙커 C 오일 비율, 계면활성제 농도 및 조성, 유화 시간, 교반 속도 및 시간, 온도 등을 변화시키면서 유중수적형(water-in-oil, W/O) 에멀젼 연료를 제조하였다. OIMS90과 NP12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에멀젼 연료는 벙커 C 오일에 비하여 미세먼지, $NO_2$, CO, $CO_2$$SO_2$ 등의 연소배기 가스 중의 대기 오염물 방출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특히 계면활성제 조성 OIMS90/NP12 = 4 : 6, 계면활성제 농도 500 ppm, 수분 함량 10%을 사용하여 $80^{\circ}C$에서 제조한 에멀젼 연료가 배기가스 오염물 저감 효과가 가장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보일러 효율 측정 시험 결과, 에멀젼 연료가 벙커 C 오일과 비교하여 우수한 디젤 엔진 에너지 효율을 나타내었다.

강체선회 유동이 분무 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lid Body rotating Swirl on Spray Structure)

  • 이충훈;최규훈;노석홍;정석호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137-146
    • /
    • 1997
  • Spray characteristics of high pressure injectors for diesel engines have been experimentally studie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effect of swirl. A constant volume chamber was rotated in order to generate a continuous swirl having the flow field of a solid body rotation, resulting in the linear dependance of the swirl number on the rotating speed of the chamber. Emulsified fuel is injected into the chamber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fuel sprays is visualized. The fuel spray developing process in D.I. diesel engine was investigated by this liquid injection technique. The effect of swirl on the spray tip penetration is quantified through modelling. Results show that the spray tip penetration is qualitatively different for low and high pressure injections. For high pressure injection case, a good agreement is achieved between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modeling accounting the effect of swirl. For low pressure injection, a reasonable agreement is obtained. It is found that excessive swirl may cause adverse effect on spray dispersion during the initial combustion period since the spray can not be impinged on chamber wall.

  • PDF

선박 유수분리기 전처리 장치 성능에 미치는 적층판의 영향 (An Effect of Laminated Plate on the Performance of Pre-separator for Marine Oily Water Separator)

  • 이진열;한원희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16권6호
    • /
    • pp.440-447
    • /
    • 2000
  • It's a tendency to strengthen related international laws as the importance on marine oil pollution recently becomes the issue. According to the regulation of IMO, oil discharge from ships is allowed under 15 ppm only and oil filtering equipment is essential. However, for large ships using heavy fuel oil of over S.G 0.98 and viscosity 380 cSt and system oil, it has been in difficulty to process with existing filtering type of oily water separator. Oily water pre-separator of laminated plate type which is one of gravity type separator has very simple structure and it also makes easier to maintain and repair. In another words, it fits well to process large amount of rich oil with high specific gravity. In this paper, oily water pre-separator of laminated plate type has been studied. The function of emulsified oil and 4 different types of oil have been analyzed and each character has been investigated and proved by experiments. As the result of it, the efficiency of separating oil water has been advanced by 10% in case equipped with pre-separator. In addition, the higher temperature is and the more laminated plate has, it turns out to be getting more effect.

BREAKUP LENGTH OF CONICAL EMULSION SHEET DISCHARGED BY PRESSURE-SWIRL ATOMIZER

  • Rhim, Jung-Hyun;No, Soo-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 /
    • 제2권3호
    • /
    • pp.103-107
    • /
    • 2001
  • Many researches on pressure-swirl injectors due to the variety of application have been conducted on the effects of nozzle design, operating conditions, properties of liquid and ambient conditions on the flow and spray characteristics. The breakup length of conical emulsified fuel sheet resulting from pressure-swirl atomizer using in the oil burner was investigated with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method with neat light oil and emulsion with water content of lotto% and the surfactant content of 1-3%. The injection pressure ranged from 0.1 to 1.2 MPa was selected. The various regimes for the stage of spray development withi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selected in this study is newly suggested in terms of Ohnesorge number and injection pressure. The breakup length for both criteria show the same tendency even though the random nature of perforation and disintegration process of liquid sheet. The stage of spray development is widely different with the physical properties of liquid atomized, mainly viscosity of liquid. The breakup length decreases smoothly with increase in the injection pressure for the lower viscous liquid.

  • PDF

오리멀젼 연소로 인한 가시백연의 원인 규명 (Investigation of Plume Opacity Induced by the Combustion of Orimulsion)

  • 김영훈;김종호;주지봉;이정진;김진수;곽병규;정진흔;박승근;이종협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97-303
    • /
    • 2007
  • 오리멀젼은 중유에 비해 황과 바나듐의 함유량은 높지만 경제성과 가채매장량이 우수하여 세계 여러나라에서 중유발전시설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생각되고 있다. 국내 Y화력발전소에서 오리멀젼을 발전시설을 가동하고 있으나, 가시백연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가시백연을 저감하는 일반적인 방법인 MgO 주입법을 시도하였으나 공급라인의 플러깅과 같은 잦은 고장이 발생하여 효과적인 가시백연 저감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시백연의 원인을 파악하여, 추후 지속연구를 통해 가시백연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정 데이터를 검토하였고, 전기집진기(EP, Electrostatic Precipitator) 전단, 배연가스탈황장치(FGD, Fuel Gas Desulfurization) 전단, 굴뚝자료모니터링시스템(TMS, Telecommunications Management System) 전단에서 각각 미세입자를 실측하여 입도분포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wet-FGD 내의 $SO_3$로 인한 입자의 재성장이 가시백연을 유발한다는 것을 밝혔다.

유화액적 배열에서의 자발화와 미소폭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Auto-ignition and Micro-explosion for Array of Emulsion Droplets)

  • 정인철;이경환;김재수
    • 에너지공학
    • /
    • 제16권3호
    • /
    • pp.113-119
    • /
    • 2007
  • 데칸에 물을 혼합하여 일정한 크기와 간격으로 유화액적배열을 형성하여 물과의 혼합비율, 액적의 수 그리고 액적 간격 등이 연소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고온의 연소실에서 파악하였다. 각각 10%, 20%, 30%의 물을 혼합하여 유화액적을 만든 후 일정한 크기의 액적을 각각의 서스펜더에 매달아서 일정한 간격의 액적배열을 만들어 고온에서 자발화를 시켰을 때, 점화지연, 수명시간, 전연소기간 그리고 미소폭발 등의 연소특성을 비교하였다. 대기압에서 연소실의 온도를 920 K로 하고 서스펜더의 수를 3개와 5개로 하였으며 액적배열의 간격은 $3{\sim}7\;mm$ 범위에서 1 mm 간격으로 각각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물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그리고 액적배열의 간격이 넓을수록 점화지연현상이 길게 나타났으며, 수명시간은 액적의 간격이 넓을수록 짧게 나타났으며 점화지연시간과 수명시간의 합인 전연소기간은 액적의 수량이 3개인 경우가 점화지연시간이 긴 관계로 5개에 비해 길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우라늄 정광의 용해/정제 및 핵연료 분말 가공공정에서 발생된 폐액의 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eatment of Wastes from the Uranium Ore Dissolution/purification and Nuclear Fuel Powder Fabrication)

  • 정경채;황성태
    • 공업화학
    • /
    • 제8권1호
    • /
    • pp.99-107
    • /
    • 1997
  • 핵연료분말 변환공정 중 우라늄 정광의 용해/정제 및 가공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의 처리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우라늄 정광의 용해/정제공정에서 발생된 폐액은 pH 1 이하의 강산성으로 AUC 분말 제조공정에서 발생된 폐액 중의 우라늄을 ADU 형태로 회수한 후 발생된 2차 여액 속의 미세 ADU 입자 용해를 위해 사용된다. 2차 여액 속의 미세 ADU 입자들의 용해를 위해 용해/정제 공정의 폐액을 사용해서 pH 4로 전처리한 후, lime을 이용하여 pH 9.2로 30분 정도 반응시킬 경우 여액 중의 우라늄 농도를 3ppm 이하로 처리할 수 있었다. 가공 폐액은 미세 oil droplet들이 emulsion 형태로 발생하며, 약 300ppm의 우라늄 농도를 나타내었다. 먼저, emulsion을 파괴시키는 방법은 질산을 가하여 급속가열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Emulsion 파괴 후 1mole NaOH를 가하여 $Na_2U_2O_7$형태로 우라늄을 회수하였으며, pH11.5에서 최적 처리조건을 나타내었으나 최종 여액 중의 우라늄 농도는 5ppm을 나타냈다. 여액 중의 우라늄 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lime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연구되었으며, 가공폐액을 직접 lime 처리하기 위해 4N 질산으로 emulsion을 파괴 시킨 후, pH 1.6에서 lime을 1.5g/100ml로 반응시킬 경우 여액 중의 우라늄 농도를 1ppm까지 낮출 수 있었다. 한편, 경수로형 분말 제조공정 중 우라늄 회수공정에서 발생된 폐액 중의 미량 우라늄은 NaOH를 가하여 우라늄을 침전시킨 결과, $Na{\cdot}U{\cdot}F{\cdot}NH_4$등이 혼합된 침전물이 얻어졌으며, 여과후 상등액에서는 우라늄은 감지할 수 없었다.

  • PDF

바이오 오일-에탄올 혼합 연료의 고압축비 디젤엔진에서의 연소 및 배기특성 (Combustion and Emission Characteristics of High-Compression-Ratio Diesel Engine Fueled with Bio Oil-Ethanol Blended Fuel)

  • 김태영;이석환;장영운;김호승;강건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8권6호
    • /
    • pp.501-511
    • /
    • 2014
  • 바이오매스 원료로부터 급속열분해 반응을 통하여 생산되는 바이오 오일은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 오일은 에너지 밀도와 세탄가가 낮고 점성도가 높은 연료의 한계성이 있으므로 디젤엔진에 적용하기에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안정적인 연소를 얻기 위해서는 바이오 오일을 세탄가가 높은 연료와 유화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바이오 오일과 화석연료는 극성이 달라서 서로 혼합되지 않으며 가장 손쉽게 혼합되는 연료는 알코올계 연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오일의 연료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탄올 연료와 혼합하였으며, 연료의 자발화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세탄가 향상제인 PEG 400, 2-EHN 도 첨가하였다. 또한 최대 15%의 바이오 오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디젤엔진에서 안정적으로 연소시키기 위하여 고압축비 피스톤도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