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population Rate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5초

청년층 고용통계의 변동성에 대한 지역별 비교분석: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 실업률을 중심으로 (A Regional Comparison Study for the Variability of Employment Statistics in Korean Young Man: Focus o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Rate, Employment Population Rate, Unemployment Rate)

  • 박종태;장희선
    • 서비스연구
    • /
    • 제5권1호
    • /
    • pp.35-43
    • /
    • 2015
  • 청년층 고용지표의 변동성에 대한 각 지역별 비교분석 결과는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실업대책이나 고용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중요하다. 이러한 비교분석 결과를 통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지역별 차별정책의 사용이 가능해 지는 동시에 세부적인 정책적용의 효율성도 제고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기초로하여 광역시와 도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청년층의 대표적인 고용통계 지표로서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 및 실업률 등을 고려하고 이 지표들의 변동성을 변동계수를 이용하여 광역자치단체 뿐만 아니라 각 시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세가지 고용지표 중 변동성이 가장 큰 고용지표를 제시하였고 각 고용지표에서 변동성이 가장 큰 광역자치단체를 제시하였다.

국내 청년층의 지역별 고용률에 대한 통계정보 서비스 분석 (The Analysis on the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for Regional Employment-Population Rate of Young Man in Korea)

  • 박종태
    • 서비스연구
    • /
    • 제3권1호
    • /
    • pp.75-86
    • /
    • 2013
  • 본 연구는 국내 청년층의 고용통계 내용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은 각 지역별 비교분석을 위주로 실시한 결과는 중앙정부는 물론 각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비교분석결과를 통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각 조직에서 차별화된 정책 수립을 가능하게 하는 근거로서 매우 유용한 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큰 틀에서의 정책은 물론 각 단위 조직의 세부적인 정책에서의 적용 효과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국내의 16개 시 도 지역을 기준으로 수도권을 비롯하여 강원권, 충청권, 호남권, 영남권 등 5개 지역을 분류하고, 이들 지역에 대한 전체 연령층 및 청년층의 고용률을 도출한 다음, 전체 연령층에 대한 청년층 고용률의 상대 비율을 계산하여, 이를 세부적으로 각 지역별로 비교분석한 것이다. 비교분석한 결과, 전체 연령층의 고용률은 모든 지역이 시간적인 추이에 변화가 없는 반면에, 청년층 고용률은 모든 지역에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나 수도권과 충청권은 최근에 다소 개선되는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년층 고용률의 상대비율에 대해서도 청년 고용률 통계와 마찬가지로 거의 유사한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저출산 가정의 출산율과 여성취업 경험 (An Analysis on the Fertility Rate and Women's Employment of Lower Fertility Household)

  • 윤소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2호
    • /
    • pp.159-16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rtility rate and the women's employment experience in household having one child, to observe the effects of related personal factor, family factor and social factor. The sample population included 276 married women in the reproductive ages(25$\~$45 years old) which are no additional pregnant or delivery after the first child birth.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shows some relevance between the plan of child birth and the experience of women for employment. Specially, the married women experiencing discontinuance of employment become to have a plan and motivation about the second child birth. Second, the motivations of child birth in woman of lower fertility household are related to her age, the existence of young child, and the education. Thirdly, as a result of Logit analysis, they have the plan to deliver additionally after first child birth in case of younger age and higher educational achievement than Master degree.

취업률 향상에 기여하는 공학인증 시스템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erating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ystem to Contribute to Improving Rate of Employment)

  • 손호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45-52
    • /
    • 2016
  • The employment rate of a college has long been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in college survival strategies. Employment rates may not be key to colleges' survival in other countries, but they are fundamental to colleges in Korea as seen in the Korean government-led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which has been underway since its introduction to colleges in Korea. Against this backdrop, i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ystem can contribute to improving employment rate in this context, it can take root more quickly. The process conducive to improving employment rates can be classified as both direct and indirect methods. With dwindling school-age population having impacts on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 directions of colleges have rapidly been shifting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NCS. Therefore, various survival strategies for colleges need to be developed. An indicator of employment rate of college graduates is among the most important things during this transition process. The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at Koje College has consistently shown good records during the past 5 years by matching the accreditation schemes and employment strategies. The department will help put in place the engineering technology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t the college through its various innovative and effective programs. To formulate a better employment strategy, it is needed to reflect and consolidate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cheme into the existing employment policy of college. In short, this paper examines both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scheme and the employment policy in ways that helps produce a coupling matrix structure. This study looks into the measures for improving employment rates by better adjusting the engineering education methods under the accreditation scheme.

서비스산업에서의 지역별 고용률의 변화에 대한 분석 연구 (A Analytical Study on the Change of Regional Employment Rate in the Service Industry)

  • 박종태;김동철
    • 서비스연구
    • /
    • 제2권2호
    • /
    • pp.23-33
    • /
    • 2012
  • 서비스업에서의 고용률 및 전체 고용률에 대한 상대비율이 최근 수년 동안 매우 많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역적으로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수도권 지역과 수도권 이외 지역과의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서 서비스업에서의 평균 고용률은 수도권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서비스업에서 고용률의 시기별 변화는, 수도권은 지속적으로 개선되는 추세를 보인 반면에 수도권 이외의 지역은 서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서비스업에서 고용률의 상대비율은 수도권과 강원권이 다른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시기별 변화도 이 두 권역이 다른 권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업에서의 평균 고용률이나 상대비율을 시도별로 비교해 보면 광역시가 도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시기별 변화를 비교해 보면 각 권역마다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우리나라 고용구조의 특징과 과제 (Employment Structure in Korea: Characteristics & Problems)

  • 장근호
    • 경제분석
    • /
    • 제25권1호
    • /
    • pp.66-122
    • /
    • 2019
  • 우리 경제가 성장하면서 경제활동인구가 늘고 고용률이 높아지는 등 고용이 양적으로 꾸준히 성장하였다. 그러나 생산가능인구가 2017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였고 여성 및 청년층의 고용은 부진한 상황이다. 비임금 근로자의 비중이 다른 나라나 소득 수준에 비해 크게 높은 수준이다. 또한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과 소규모 기업 종사 근로자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고용구조의 특징에 비추어 우리나라 고용구조의 과제는 노동시장 이중구조심화, 청년실업 증가, 여성 고용의 부진, 저생산성의 과도한 자영업 비중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가 심화된 데는 글로벌화에 따른 경쟁 심화, 대기업 우위의 원·하청관계, 대·중소기업 간 생산성 격차, 기업규모별 노동조합의 교섭력 격차 및 기업단위 노사협상 등의 제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청년실업은 대학진학률 상승으로 대졸자들이 크게 증가한 반면 노동시장 이중구조화로 1차 노동시장 규모가 늘지 않은 데다 대졸자들의 2차 노동시장 기피현상이 심화된 것을 주된 배경으로 한다. 낮은 여성 고용률과 고용의 질적 수준은 결혼·출산 이후의 뚜렷한 경력단절에 기인하며 가정과 직장생활을 병행하기 어렵게 하는 제도 및 문화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보인다. 생산성이 낮은 자영업자가 과다한 데에는 임금근로자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고 노동시장 이중구조로 인해 양질의 임금근로자 일자리에 취업하기 힘들다는 점이 주요한 배경으로 작용하였다. 우리나라의 고용 확대를 제약하고 고용구조를 악화시킨 주된 구조적 요인은 이중구조 심화인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공정거래 질서 확립과 중소기업의 생산성 향상 등 노동시장 이중구조 완화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청년 노동시장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직업훈련 및 고용지원서비스 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보육시설 확충 등 여성들이 일과 가정이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을 지속해 나가는 것도 중요하다.

취업 여부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ployment Status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 남혜경;이윤정;허정이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92-504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mployment of elderly over 65 years on elderly depression using the "Nation Elderly Survey 2014". Methods: The subjects were 10,451 elderly aged 65 or older who were selected from 16 cities and provinces via multilevel stratified sampling method. In an effort to represent well the nation's elderly population, composite sample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and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os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Results: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wer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Perceived health status,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nd employment status. It was found that the unemployed persons were 1.68 time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those who remain employed. Conclusion: Where the average life expectancy is getting longer and the poverty rate of elderly is high, employment activities of the elderly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erms of ensuring economic stability as well as in lowering medical expenses through reduction of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s of the elderly for economic, social and healthcare perspectives.

우리나라의 지역 특성이 지역 경제 성장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 분석 (Analyzing Factors and Impact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to Regional Economic Growth in South Korea)

  • 김근영
    • 도시과학
    • /
    • 제9권1호
    • /
    • pp.41-49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economic growth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 and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in consideration of population, industry and employment, housing and political characteristics on economic growth by region.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employment growth rate, manufacturing employment growth rate, local election turnout and the level of party consensu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having a positive impact on regional economic growth. Second, according to the GWR analysis, the population has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in the southern region of Korea, and the increase in the total number of employe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southern region of 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North Chungcheong Province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Finally, the voter turnout of urbanites is positively affecting economic growth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the southern coast, while North Jeolla and South Jeolla provinces have a posi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as the parties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equa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suggest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for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가족복지정책과 출산율 (Family Welfare Policies and Fertility Rate)

  • 채구묵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3호
    • /
    • pp.337-361
    • /
    • 2005
  • 본 논문은 OECD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 및 가족복지정책의 변화와 특성을 검토해 보고, 가족복지 유형별 출산율을 비교 분석해 본 후, 한국의 가족복지정책 마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해 보았다. OECD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은 1970년대에 인구대체수준 이하로 떨어졌으며, 그 이후에도 완만하게 출산율이 감소했으나, 1990년대에는 출산율이 낮아지는 국가들과 높아지는 국가들로 나누어진다. 이러한 출산율 변화 차이는 1970년대 이후 각국이 채택 추진한 가족복지정책과 상당한 관계를 갖고 있음을 암시해 주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은 1970년대 이후 출산율 감소에 관심을 갖고 인구관련 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범정부차원의 인구관련기관을 설립했으며, 가족복지 지원수준을 높여왔다. 그러나 각국의 가족복지 지원수준과 지원형태(노동중심 또는 양육중심)는 해당국가의 정치적 이념, 문화 역사적 배경, 경제환경 등에 따라 다르게 발전되어 왔다. OECD 주요 국가들의 가족복지정책을 유사한 특성을 가진 국가군으로 유형화하여 유형별 출산율을 비교해 본 결과, 가족복지 지원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중심에 비해 노동중심 지원수준 비중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형별 출산율 변화를 비교해 본 결과에서도 가족복지 지원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중심에 비해 노동중심 지원수준 비중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증가하거나 출산율 감소가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선진국의 출산율과 가족복지정책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출산율 및 인구관련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종합적인 대안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범정부차원의 인구관련기관을 설립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가족수당 신설,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의 기간 연장 및 육아휴직급여의 상향조정, 공보육시설 확대 등 가족지원체계를 확대해야 하고, 셋째 양육중심(가족수당 등) 지원수준 보다 노동중심(아동보육시설, 출산휴가 등) 지원수준에 비중을 많이 둘 필요가 있고, 넷째 사회구성원, 특히 청년층에게 자녀를 기르는 것이 어렵지 않으며 행복을 가져다준다는 희망을 갖도록 하는 사회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 PDF

여성의 종사산업과 자연유산 (Industry of Employment and Spontaneous Abortion of Female Workers)

  • 박정순;나명채;백도명;문옥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2호
    • /
    • pp.242-257
    • /
    • 1994
  • In Korea, female workforce has reached more than 40% of total working population, but the effects of work on spontaneous abortion are yet to be examined. This study 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pational effects on spontaneous abortion. Medical insurance claim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status and industry of employment on spontaneous abortion. The study population was composed of females, aged $15{\sim}44$, who were the beneficiary of medical insurance in the month of June, 1993. The working females covered by medical insurance for industrial workers, had the highest age-adjusted Spontaneous Abortion rate (SAB rate=claim frequency of spontaneous abortion/claim frequency of complication of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 6.65% whereas female dependants of medical insurance for industrial workers had the lowest age-adjusted SAB rate, 4.54%. Among industrial workers, the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had the highest age-adjusted Spontaneous Abortion ratio(SAB ratio=claim frequency of spontaneous abortion/claim frequency of completly normal delivery), 43.2/100 whereas those in financing and service industry had age-adjusted SAB ratio, 16.2/100 and 20.5/10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adverse effect of manufacturing Industry on reproduction. Work environments such as chemical exposures, overwork, awkard posture, and job stress should be further studied for their effects on reproductive functions of fem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