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ployment rate

검색결과 833건 처리시간 0.028초

장애인 고용부담금 부과 여부가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Quota-Levy System on Disability Employment Outcome in Korea)

  • 류정진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177-196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고용부담금 부과 여부가 장애인 고용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부과하는 기업과 부과하지 않는 기업의 장애인 고용률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11년도 장애인 고용실시상황 자료와 통계청 및 보건복지부의 거시 자료를 통합하였으며 자료가 내재적 구조임을 감안해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인 고용부담금 부과 여부는 장애인 고용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장애인구 수와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고용부담금을 부과할 경우 부과하지 않을 때보다 장애인 고용률이 0.7%p 이상 높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지역의 경기와 장애인 고용성과 사이에 인과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용성과는 기업이 속한 지역의 경기보다는 기업이 의무를 이행하도록 하는 강제력에 달려 있음을 시사한다.

제대군인의 전직지원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Support Status of the Retired Military Personnel)

  • 구영휘;이영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7-43
    • /
    • 2013
  • 제대군인의 취업률이 증가하지 못하는 원인은 글로벌 경제 위기의 여파로 전반적인 사회의 고용불안정성에 기인한 것으로 앞으로도 수년 동안 제대군인의 고용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군은 지난 20여 년간 제대군인 취업률 향상을 위해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은 전직지원과 관련한 교육지원정책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를 위해 국내 전직지원교육과 외국의 교육 실태를 조사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취업률 향상을 위한 졸업 학년 취업 대상 인원에 대한 탐색 연구 (A Preliminary Exploration Study on the Survey Analysis about the Senior year students for the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Rate)

  • 장은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22-1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취업률 향상을 위한 취업 대상자에 대한 2개 항목 23문항의 설문 지문 개발과 연구자 소속 대학의 취업 대상자 289명에 대한 응답 결과에 대한 설문지 분석을 통해 취업에 임하는 취업 준비 자세와 면담 및 상담과 관찰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효과를 얻었다. 이를 통해 지역적 특성과 현실을 고려한 바람직한 취업률 향상 방안을 정성적으로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Excellent Universities with Video and Media Field in the USA

  • Lee, Soonm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107-112
    • /
    • 2017
  • In this paper, I studied several universities which are especially famous for video and media fields in the United States to develop ou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 selected the outstanding US universities and researched the various indexes of corresponding department, internship program and other activities related with company. Then,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nd compared with the department of Video Broadcasting at the K women's university in our country. As a result, the retention rate and the graduate rate of the 4-years universities(bachelor's degree) are very higher than the 2-years associated degree among the US universities.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department of Video Broadcasting at the K women's university is the associated degree course, it shows up the highest the retention rate and the graduate rate than the US universities. Therefore, we are able to recognize that K Women's University has managed its students well. However, the employment rate of the K Women's University was poor than the US universities due to the lack of the internship programs, other activities supported by companies and the career service center.

광주지역의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이수자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 NCS 수준의 조절효과 (Relationship between Completers' Satisfaction of Job Training Programs and Training Performance in Gwangju Area: The Moderating Role of NCS Level)

  • 문연희;홍성우;신우진;최지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6권4호
    • /
    • pp.21-40
    • /
    • 2017
  • 본 연구는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과 같은 객관적인 취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데 있다. 또한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 간의 관계가 조절되는 경계조건을 규명하기 위하여 NCS 수준을 조절변수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모형의 분석을 위해 이용된 자료는 HRD-Net에서 제공하는 2016년도 광주지역 구직자 훈련 프로그램 중에서 취업률 정보가 제공되어 있는 513개의 훈련 프로그램이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모형에 포함된 주요 변인들의 특성을 살펴보면, 훈련 프로그램의 총합 만족도 점수는 4.46을 보여주고 있다. 훈련 프로그램의 NCS 수준은 2~6수준에 분포되어 있었으며, 3수준과 4수준이 각각 45.4%와 36.4% 순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은 3.32로 나타났다. 둘째,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는 취업률 측정 시점에 관계없이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와 취업률간의 관계는 NCS 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가 유의하게 도출되었다. 이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미치는 주효과(main effect)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NCS 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가 취업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훈련 프로그램 만족도에 기초한 훈련 프로그램의 질 관리 및 만족도 활용의 정교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궁극적으로 만족도가 취업률 향상과 연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취업과 결혼상태가 남녀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loyment and Marital Status on Health Status of Women and Men)

  • 박은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84-97
    • /
    • 1995
  • There is a widespread concern that women's increasing involvement in dual role (job plus family role) may harm their physical health. Longevity of women is longer than that of men. By contrast, prevalence rate is higher in women than men, and No. of prevalence days, No. of days in bed and No. of days with treatment are more in women. Generally, women live longer, but women are worse in health status than men. Rate of labor participation in women is increasing gradually in Korea. This study present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marital status and health for both Korean women and men to examine how women's increasing involvements in dual role affect their physical health.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were colle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the spring of 1992. Households, which were sampled by using a three-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were interviewed. Response rate was 99.43%. Of these, student or widowed or divorced people were excluded. 47,552 women and men aged 21-50 were available for the analysis. Health status was measured by self-assessed health status (1=excellent, 5=poor), No. of prevalent days, No. of days with treatment, and No. of days in bed in two previous weeks. And control variables are age, and educ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 1. Men have better self-rated health, fewer prevalent days, fewer days in bed, and fewer days with treatment than women. 2. The employed are more healthier than the non-employed. 3. Unmarried people are more healthier than married people. 4. Interaction effects of sex, marital status, employment are significant. This finding shows that effects of empolyment, marital status on health status is not same for women and men. 5. For male, employed people are more healthier than non-employed people. Unmarried people are more healthier than married people. This differences are significant. For female, The employed are more healthier than the non-employed. However, no differences are noticed between the married and the unmarried in health status. In conclusion, there is no evidence that women's involvements in dual role affect their physical health negatively.

  • PDF

여성의 종사산업과 자연유산 (Industry of Employment and Spontaneous Abortion of Female Workers)

  • 박정순;나명채;백도명;문옥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2호
    • /
    • pp.242-257
    • /
    • 1994
  • In Korea, female workforce has reached more than 40% of total working population, but the effects of work on spontaneous abortion are yet to be examined. This study 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pational effects on spontaneous abortion. Medical insurance claim data were us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mployment status and industry of employment on spontaneous abortion. The study population was composed of females, aged $15{\sim}44$, who were the beneficiary of medical insurance in the month of June, 1993. The working females covered by medical insurance for industrial workers, had the highest age-adjusted Spontaneous Abortion rate (SAB rate=claim frequency of spontaneous abortion/claim frequency of complication of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 6.65% whereas female dependants of medical insurance for industrial workers had the lowest age-adjusted SAB rate, 4.54%. Among industrial workers, the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had the highest age-adjusted Spontaneous Abortion ratio(SAB ratio=claim frequency of spontaneous abortion/claim frequency of completly normal delivery), 43.2/100 whereas those in financing and service industry had age-adjusted SAB ratio, 16.2/100 and 20.5/10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e adverse effect of manufacturing Industry on reproduction. Work environments such as chemical exposures, overwork, awkard posture, and job stress should be further studied for their effects on reproductive functions of female.

  • PDF

창의적 인력 양성을 위한 융합적 교육 방안 - 외국어 계열 학생을 중심으로 (Proposal about Convergence Education for Creative Manpower Training - Focused on Foreign Language Department's students)

  • 이정원;문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987-1994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 계열과 IT 계열의 창의적 인력 양성을 위한 융합적 교육 방안에 관한 제언을 목적으로 한다. 학계와 기업, 그리고 정부는 지금까지 대학졸업자의 취업을 위해서 수많은 변화와 노력을 시도하였고, 더 나은 방향을 제시하고자 여러 사업과 계획들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학졸업생의 취업률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남아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내 대학 및 전문대학의 취업률을 고찰하고, 상대적으로 취업률이 저조한 외국어 계열 대학의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 IT 계열과의 융합교육 방안을 제안한다. 세부적으로 창의성, 차별성, 현지성, 그리고 융합성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노동시장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역자유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효과 - 산업수준에서의 고용조정 속도와 고용의 임금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Trade Liberalization on Labor Market)

  • 배진한
    • 노동경제논집
    • /
    • 제37권4호
    • /
    • pp.25-57
    • /
    • 2014
  • 산업별 자료에 기초하여 무역거래 자유화 확대가 고용조정의 속도와 고용의 임금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고용조정 속도는 취업자 기준보다 피고용자 기준의 경우가 좀 더 빠르게 나타나며, 수입 비율이 높은 산업들에서 수출 비율이 높은 산업들에 비해서 좀 더 빠르게 나타난다. 또한 경제개방의 확대는 피고용자 기준으로 볼 때 고용조정 속도를 조금씩 느리게 만들고 있으며 이는 주로 수출 비율 상승에 의해 주도된다. 고용의 임금탄력성은 경제개방률이나 수출 비율이 높을수록 상승하여 '고용 없는 성장(jobless growth)'의 환경이 강화되고 있다.

  • PDF

Changes in Awareness of Major Employment Following Clinical Practice in Students of Physical Therapy

  • Kim, Myung-Hoon;Kim, Ga-Eun;Kim, Jun-Han;Park, Sung-Ho;Jo, Yong-Jun;Choi, Ji-Hye;Kim, Su-Hyun;Kim, Hyun-Ji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6호
    • /
    • pp.403-41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the clinical practice of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tudents. Methods: Research for this study included 390 participant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present stud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of the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s of subjects, the reasons for major employment preferences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s, and the preferred institution and field of major employment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Resul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of th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include females in their third year of college at age 20~24 years-old. As well, no religion, usual satisfaction with major, and motivation of choosing a physical therapy employment rate were the most common. A residency type in the form where one would cook one's own food and a clinical practice with a general hospital grade were seen most often. Regarding preference of major employment before and after clinical practice, the preference of major employment was 88%, which increased by 5.2% after clinical practice from 82.8% before clinical practice. The preference for no major employment due to lack of interest and no aptitude increased 43.5% from 23.9% after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The number of apprentices will increase despite practice institutions being limited; for practice of environment, content, etc., relatively changes are slow, and progress rapidly medical technology. It is a society in which expertise is required; in the present study, there is a value in providing the clinical data missing in physical therapy.